홍경래의난의주도세력과농민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주도세력의 성격
1) 주도세력의 구성
2) 구성원의 역할과 성격

3. 농민층의 참여
1)저항적 정세의 고양
2)농민층의 참여 양상

4. 맺음말

본문내용

치열하게 항쟁을 수행하였다는 역사적 의미를 이해해야 한다. 또한 농민참여라는 측면에서도 재평가되어야 한다. 거사 단계부터 구성원이 농민층이었다. 그러나 독자적인 생활기반을 갖춘 농민들이 자원하지는 않았다. 다만 정주성 농성 때 성밖의 농민들까지 합세한 넉 달 가까운 항쟁은 강인한 농민세력의 힘을 확인케 한다. 이와 같이 홍경래 난은 주도세력의 성격이나 참가층의 성격 모두에서 농민 항쟁으로서의 성격이 더욱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물론 그것은 많은 한계를 내포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한계는 주도세력과 참가층의 성격이나 동향과 같은 저항세력 내부의 문제에서가 아니라 기본적으로 당시 사회모순의 성격으로부터 설명되어야 할 것이다.
필자도 언급한 바와 같이 거사 초기에 민중들이 심정적 동조가 아닌 눈앞의 이익을 보고 참여한 것이 아쉽다. 양민이 직접 나서서 군수를 찌른 일이나 정주성 농성군의 열정적인 전의는 집단적 최면 현상이나 군중 속의 익명성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섣불리 사회변혁으로 해석하기에는 곤란할 듯 싶다. 하지만 반봉건을 강조한 점이라든가, 어두웠던 조선시대를 어떻게 극복해 가고 있었는가, 당시대의 일반적인 모순관계와 거기에 대한 저항이 어떠했는가에 초점을 맞춘다는 등 많은 부분에서 필자의 설명에 공감한다. 특히 일부의 평가절하적 의견에서 자유롭다는 점에서 지역적 차별에 의한 국지적인 내란이 아닌 당시 혼란한 사회상을 반영한 봉기라는 부분이 좋다. 비교적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전개로 주도세력을 기준에 따라 눈에 띄게 분류해 주었던 점과 사회모순으로부터 온 농민항쟁의 배경을 자세히 설명해 주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3.11.22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40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