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의 종교상 고찰 - 유교와 불교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고려시대의 종교지형

Ⅲ. 유불의 종교사적 위상과 상관관계

Ⅳ. 결론

본문내용

성과 다양성에 대한 이해의 길을 열 수 있으리라는 기대를 가지게끔 만들어 줄 것이다. 고려사회를 단순히 불교사회로 규정하는 형태의 고려종교문화사 서술을 통해서는 고려시대의 다양한 문화적 역량을 충분히 해명할 수 없을 것이다. 아을러 고려인의 생활이 지니는 역동성 또한 해명할 수 없을 것이다. 본 연구는 고려시대의 종교지형을 역동적인 것으로 규정하면서, 특별히 유교와 불교의 병존구조에 대해서 주목하였다. 이러한 관점은 고려 종교문화사의 총체적인 이해에 적지 않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본 연구는 기나긴 고려종교문화사를 지나치게 거칠게 나누어 서술하였다는 점에서 일정 정도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다. 본 연구가 고려 건국 초기, 고려사회 제도 정비기, 몽골 간섭기, 여말선초를 시대 구분의 기점으로 삼은 것도 논란의 여지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가 이렇게 시대 구분을 한 것은 유불관계의 전환에 착안한 것이었다. 다음으로, 본 연구가 유불관계에 집중한 까닭에, 고려시대 종교문화의 중요한 축을 이루었던 풍수도참신앙이나 토착신앙, 그리고 도교를 아우르는 서술을 시도하지 못했다. 이 점에 대해서는 앞으로의 연구를 통해서 계속 보완해 나가도록 하겠다.
* 참고문헌
1. 일차사료
『삼국사기』
『고려사』
『고려도경』
2. 이차자료
강옥엽, 「고려 서경의 풍수지리적 고찰」, 『국사관논총』, 71, 1996.11.
국사편찬위, 『한국사 16:고려전기의 종교와 사상』, 국사편찬위, 1994.
국사편찬위, 『한국사 21:고려후기의 사상과 문화』, 국사편찬위, 1996.
금장태·유동식, 『한국종교사상사 Ⅱ:유교·기독교편』, 연세대 출판부, 1986.
김갑동, 『나말여초의 호족과 사회변동 연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90.
김기대, 「고려 팔관회에 대한 연구」, 서강대 석사논문, 1989.
김두진, 「왕건의 승려결합과 그 의도」, 『한국사총론』 4, 국민대, 1981
김영미, 「불교의 수용과 여성의 삶·의식세계의 변화:고려시대 여성의 가정생 활을 중심으로」, 『역사교육』62, 1997.
김용곤, 「고려 현종대의 문묘종사에 대하여」, 변태섭 편, 『고려사의 제문제』, 삼영사, 1986.
김충렬, 『고려유학사』, 고려대 출판부, 1984.
김해영, 「조선초기 사전에 관한 연구」, 정문연 한국학대학원 박사논문, 1993.
김형우, 「원 간섭기 고려불교계의 동향」, 『한국 불교사의 재조명』, 불교시대사, 1994.
김형우, 「고려시대 국가적 불교행사에 대한 연구」, 동국대 박사논문, 1992
김형우, 「고려시대 연등회 연구:設行 실태를 중심으로」, 『국사관논총』, 55, 1994.9.
문철영, 「고려중기 사상계의 동향과 신유학」, 『국사관논총』, 37, 1992.
박호원, 「고려 무속신앙의 전개와 그 내용」, 『민속학연구』, 1, 1994.
박호원, 「고려의 산신신앙」, 『민속학연구』, 2, 1995.
변동명, 「고려후기 성리학의 수용과 승려의 유불관」, 『국사관논총』, 71, 1996.
서경수, 「나말여초의 신앙형태」, 『한국종교학』, 1, 1972.
서영대, 「무교, 도교, 풍수지리설」, 『한국사특강』, 서울대출판부, 1990.
양은용, 「고려시대의 도교와 불교」, 한국도교사상연구회 편, 『도교와 한국사상』, 범양 사 출판부, 1987.
양은용, 「고려중기 도교의 성행과 그 성격」, 한국도교사상연구회 편, 『도교의 한국적 변용』, 아세아문화사, 1996.
유병덕, 「고려시대의 종교사상과 그 특성」, 『한국학입문』, 학술원, 1983.
유승원, 「고려사회를 귀족사회로 보아야 할 것인가」, 『역사비평』, 1997 봄호.
윤이흠, 『한국종교연구 Ⅰ』, 집문당, 1986.
이기백·민현구 편, 『사료로 본 한국문화사, 고려편』, 일지사, 1995.
이은봉, 「토착신앙과 풍수도참사상의 발달」, 『전통과 사상』, IV, 정문연, 1990.
이은봉, 「고려시대 불교와 토착신앙의 접촉관계:연등회·팔관회의 종교의례 기능을 중심으로」, 『종교연구』, 6, 1990.
이은봉, 「한국종교사 서술의 가능성과 과제」, 『종교문화연구』, 창간호, 1999.
이종은·양은용·김낙필, 「고려중기 도교의 종합적 연구」, 한국도교사상연구회 편, 『도교사상의 한국적 전개』, 아세아문화사, 1989.
이희덕, 『고려유교정치사상의 연구』, 일조각, 1984.
전기웅, 『나말여초의 정치사회와 문인지식층』, 혜안, 1996.
정병조·이석호, 『한국종교사상사 Ⅰ:불교·도교편』, 연세대 출판부, 1991.
진영일, 「고려전기의 災異思想에 관한 일고:군왕의 성격과 관련하여」, 변태섭 편, 『고려사의 제문제』, 삼영사, 1986.
진영일, 「고려사 五行·天文志를 통해 본 유가 질서 개념의 분석」, 『국사관논총』, 6, 1989.12.
채상식, 「고려후기 불교사의 전개양상과 그경향」, 불교학회 편, 『고려중후기불교사 론』, 민족사, 1986.
채상식, 『고려후기불교사연구』, 일조각, 1991
최병헌, 「고려시대의 오행적 역사관」, 『한국학보』13, 1978.12.
최병헌, 「고려건국과 풍수지리」, 『한국사론』 18, 국사편찬위원회, 1988
최연식, 「고려말 성리학적 정치담론의 형성」, 『동양고전연구』, 6, 1996.
최종성, 「국행 무당 기우제의 역사적 연구」, 『진단학보』, 86, 1998.
최종성, 「국행기우제와 민간기우제의 비교연구」, 『종교학연구』, 16, 1997.
한국역사연구회, 『고려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1』, 청년사, 1997.
한국종교연구회, 『한국 종교문화사 강의』, 청년사, 1998.
한국중세사학회, 『고려시대사강의』, 늘함께, 1997.
한기문, 「고려 태조의 불교정책:창건 사원을 중심으로」, 『대구사학』, 22, 1983.2.
한우근, 『유교정치와 불교』, 일조각, 1993
허흥식, 「고려사회의 불교적 기반」, 『고려사회사연구』, 아세아문화사, 1981.
허흥식, 「13세기 고려 불교계의 새로운 경향」, 불교학회 편, 『고려중후기불교사론』, 민족사, 1986.
허흥식, 『고려불교사연구』, 일조각, 1986.
홍윤식, 「고려사 世家篇 불교기사의 역사적 의미」, 『한국사연구』, 60, 1988.3.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3.12.05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64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