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 실학자들의 역사인식 - 해동역사와 동사강목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17․18세기 실학과 역사인식의 변화

3. 한치윤․한진서의 해동역사

4. 안정복의 《동사강목》

5. 맺음말

본문내용

한 안정복의 작사정신은 높이 평가되어야 마땅하다.
姜世求, 『東史綱目硏究』, 민족문화사, 1994. p321-323참조.
마지막으로 역사적 사실을 분석하여 현실개혁의 논리적 배경을 찾아보려 한 안정복의 실학적 역사인식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동사강목』 사론에 나타난 안정복의 현실 개선안에는 대부분 역사적 배경이 설명되고 있다. 현실개혁 인식이 역사인식에 바탕을 둔 안정복의 실학사상을 뜻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6. 맺음말
이상과 같이 조선후기 실학자들의 역사인식을 한치윤·한진서의 『해동역사』와 안정복의 『동사강목』을 통해 살펴보았다.
중세사학은 經史一體·中華史觀·왕실중심의 서술·정통성의 명분론 등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조선후기의 사학이 근대사학을 배태하고 있었다면 먼저 위의 중세적 특징에서 탈피하면서 근대사학의 특징인 역사학의 학문적 독자성, 주체적 민족사관, 그리고 실증적 객관성, 인과관계에 의한 발전성 등의 규명에 충실하려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
『동사강목』이 춘추적·강목적인 사관에 의해서 한국사의 계통을 분명히 했고, 『해동역사』는 객관적인 입장에서 한국사의 폭을 넓혀주었다. 『동사강목』이 인용서적의 제약과 『해동역사』는 왜곡된 외국 측 자료의 비판 없는 사용에서 오는 무의식적인 오류를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종래의 한국사의 無徵과 오류를 시정하고 보다 실증적인 史實의 구명을 이루어 주었고, 한국사를 체계화 계통화 시켜서, 역사의 상한을 연장시키고, 역사의 폭을 왕실중심에서 문화전반에 까지 확장시켜 주었다. 역사학의 이론과 방법 면에서 근대 역사학의 방향으로 가고 있었다고 보여진다.
<참고문헌>
<실학자들의 역사인식>
황원구, 「실학파의 역사이론」, 『한국의 역사인식』(상), 창작과 비평사
조광, 「조선후기의 역사인식」, 『한국사학사의 연구』, 을유문화사
정구복, 「조선후기의 역사의식」, 『한국사사상사대계』(5),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조성을, 「역사학의 발달」, 『한국사』(35), 국사편찬위원회
박인호, 「조선시기 역사지리학의 추이와 특징」, 『조선사연구』7, 조선사연구회
조동걸, 「조선후기 실학자들의 역사서술」, 『현대한국사학사』, 나남출판
<동사강목>
강세구. 『동사강목연구』. 서울: 민족문화사, 1994.
강세구. 『순암 안정복의 학문과 사상 연구』 . 서울: 혜안, 1996.
강세구. 「동사강목의 저술배경 - 남인의 참여와 관련하여 -」. 『동아연구」 17.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1989.
강세구. 「성호사후 순암 안정복계열 성호학파의 전개」. 『실학사상연구』 10, 11 (홍이섭선생 25주기 기념호). 서울: 관악실악회, 1999.
강세구. 「순암 안정복의 '동사강목','지리고'에 관한 일고찰」. 『역사학보」112. 역사학회, 1986.
강세구. 「순암 안정복의 고려인식」. 『실학사상연구』14. (정명호박사정년기념호). 무악실학회, 2000.
강세구. 「순암 안정복의 충절론에 관한 일고찰 - "동사강목"의 사론을 중심으로 -」. 『국사관총』34, 1992.
강세구. 「안정복의 국방론 - 동사강목의 사론을 중심으로 -」. 『실학사상연구』 2, 1991.
강세구. 「안정복의 역사고증방법 - '동사강목'(고이)를 중심으로 -」. 『실학사상연구』1, 1990.
강세구. 「안정복의 역사이론 전개와 그 성격」. 『국사관논총』93집, 국사편찬위원회, 2000.
강세구. 「유형원, 이익과 안정복의 학문적 전승관계」. 『실학사상연구』5·6, 1995.
강세구. 「하학지남을 통해 본 안정복 학문의 성격」. 『진단학보』77, 1994.
금장태. 「안정복의 서학비판론」. 『한국학』19, 1978.
김문식. 「18세기 후반 순암 안정복의 기자 인식」. 『한국실학연구』2. 한국실학연구회, 2000.
김병수. 「순암 안정복의 사상연구 - 그의 이기론을 중심으로 -」. 『향토서울』51, 1992.
김수태. 「안정복의 "대록지"」. 『향토연구』9. 천안향토사연구소, 1998.
박종기. 「동사강목 고려편 검토 - 안정복의 수택본을 중심으로 -」. 『성곡논총』24, 1993.
반윤홍. 「순암 안정복의 향촌자위론 연구」. 『군사』5.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1982.
변원림. 「안정복의 역사인식」. 『사총』17·18. 고려대학교 사학회, 1973.
심우준. 『순암 안정복 연구』. 일지사, 1985.
심우준. 「순암 안정복의 사관』. 『논문집』25. 중앙대학교, 1981.
심우준. 「순암 안정복의 지방행정론 - '순암연구'의 일단면 -」. 『논문집』18 (인문사회과학계). 중앙대학교, 1973.
이봉규. 「순암 안정복의 유교관과 경학사상」. 『한국실학연구』2. 한국실학연구회, 2000.
조광. 「조선왕조시대의 신라인식 - 동사강목을 중심으로 -」. 『민족문화연구』16.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2.
차장섭. 「안정복의 역사관과 동사강목」. 『조선사연구』1, 1992.
최동희. 「신후담 안정복의 서학비판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75.
최동희. 「안정복의 서학비판에 관한 연구」. 『아세아연구』19권 2호,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1976.
한상권. 「순암 안정복의 사회사상 - 민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한국사론』17.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1987.
한영우. 「안정복의 사상과 동사강목」. 『한국학보』53, 1988.
황운구. 「안정복」. 『한국사시민강좌』6, 1990.
<해동역사>
황원구, 「한치윤-해동역사를 중심으로」, 『실학논총』(이을호박사 정년기념), 1975.
이태진. 「해동역사의 학술사적 검토」. 『진단학보』 53·54. 진단학회, 1982
지두환, 「《동사강목》 과 《해동역사》에 나타난 역사인식의 차이」, 『한국사학사연구』, 1997.
한영우. 「한치윤」. 『한국사시민강좌』7, 1990.
한영우. 「해동역사의 연구」. 『한국학보』37, 일지사, 1985.
황원구. 「한치윤의 사학사상 - 해동역사를 중심으로 -」. 『인문과학』7집, 연세대학교, 1962.
황원구. 「해동역사의 문화사적 이해」. 『진단학보』53·54. 진단학회, 1982.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3.12.05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64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