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의 신분과 직업 - 승려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승려의 적합조건
ⅰ. 출가(出家)
ⅱ. 구족계(具足戒)
ⅲ. 승계(僧階)
ⅳ. 왕사(王師)와 국사(國師)

Ⅲ. 승려로서의 규범
ⅰ. 율령을 통한 승려행동 규제
ⅱ. 국가 질서 위반에 대한 규정
ⅲ. 계율 위반 및 수행 관련 규정

Ⅳ. 승려들의 호국활동
ⅰ. 승려와 호국
ⅱ. 군사적인 호국활동
ⅲ. 비군사적인 호국활동

Ⅴ. 맺음말

본문내용

분포(分捕)하여 죽이고 승도들은 보제사(普濟寺)에 모여 있었다. 그러자 그 다음 날 명종(明宗)은 지주사(知奏事) 이광연(李光挻). 부승선(副承宣) 문극렴(文克謙)을 보내어 승도(僧徒)들을 위유(慰諭)했다.
『高麗史』 世家19 明宗 4年 12月, 辛未 條
위에서 보는 것과 같이 승려 군종(軍宗)하여 그 무예를 떨치기도 하고 아예 절에서 군사를 일으켜 집권자를 주살하기도 하는 등 국정(國政)에도 매우 큰 영향력을 떨치고 있었다. 또, 절 하나에서 승병 2천명을 일으켰다는 단적이 예를 통해서도 사원과 승려들의 세력이 엄청났다는 사실 또한 알 수 있다.
ⅲ. 비군사적인 호국활동
고려시대 비군사적인 호국활동이란 호국에 대한 광의의 개념설정, 즉 한마디로 말해 국태민안과 관련되는 직접적, 간접적인 모든 활동을 다 포함하는 것이므로 그 종류도 매우 다양하다고 할 수 있다. 이를 크게 3가지 측면에서 살펴보면, 먼저, 고려시대 성행된 각종 법회와 도장을 통한 호국활동을 들 수 있다. 고려 474년간에 설행(設行)된 법회(法會)와 도장(道場)이 총(總) 83종류(種類)에 총설행회수가 1038회에 달(達)하는데 그러한 법회(法會),도장(道場)은 인왕(백고좌)도장, 김광명경도장(金光明經道場), 또는 사천왕도장(四天王道場)과 같은 순불교적(純佛敎的)인 호국법회, 도장으로부터 왜적기양법회(倭賊祈 法會), 진병도장(鎭兵道場), 또는 북제천병보국도장(北帝天兵護國道場)과 같은 직접적인 호국법회, 도장이 있었다. 거기에 소재도장(消災道場) 또는 운우도장(雲雨道場)과 같이 민생과 관계되는 광의적인 호국법회, 도장등 대부분이 호국적이 성격을 띠고 있다. 이러한 호국적인 행사에 참여한다고 할 때 그 자체가 호국적인 행위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승려들이 그들의 본분(本分)을 충실(充實)하게 다하며 교단(敎團)의 분열을 지양(止揚)하여 화회의 교단을 이루려고 한 것이 곧 호국적인 행위와 직결된다고 하는 점이다. 승려(僧侶)는 곧 국민의 정신적인 지주(支柱)의 구실을 다하는 존재이므로 그들이 분열과 대립을 일삼는다면 이는 곧 국민정신의 산란(散亂)을 방지하는 호국적인 활동을 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앞에서 설명한 국사(國師),왕사(王師)와 같이 군왕(君王)에게 도리와 시책(施策)의 방향등을 개진(開陳)함으로써 호국적인 기여를 한 점을 들 수 있다. 이토록 꼭 무력적인 호국적 성격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비군사적인 호국활동도 다양한 방법으로 활발히 전개되었음을 알 수 있다.
Ⅴ. 맺음말
앞에서 고려시대의 승려에 관해 알아보았다. 과정과 규범을 중심으로 알아보았는데 이를 통해 당시 계급적으로도 상당한 지위에 있었던 승려라는 지위를 보다 자세히 알 수 있게 되었던 것 같다. 고려시기 승려들 가운데서 수행과 교화의 모범을 보인 고승도 있었지만 무신집권과 몽고의 압제 기간에 동안에 불교제도의 와해와 더불어 승려가 대단히 세속화 되고 세속에 섞여 가정을 꾸미거나 몽고승의 유목생활이 확산되었다. 또, 승과를 거치지 않고 국가의 부족한 재정을 이용하여 돈을 주고 승계와 주지직을 얻었다. 심지어 국사와 왕사가 주지임명권을 가지게 되는 등 불교계의 권한은 오히려 증가하는 추세였으며 일반 정치에 간여하는 경우도 생겨나게 된다. 불교계의 권한의 증대와 정치세력과의 결탁, 그리고 세속화는 신도들의 신앙심을 식히고 지식인들의 비판대상이 되기 마련이었다. 이러한 불교의 양상에 따라 고려시대의 승려의 자질도 최선과 최악의 양면성을 보여준다.
승려에 대한 너무 포괄적인 이해를 가지고자 승려라는 주제로 글을 작성하였지만, 주제의 범위가 너무 넓고 글의 작성구조 또한 미흡하다고 생각된다. 또 보고서 작성 마지막에 첨가한 승려들의 호국활동에 대해서는 본인이 꼭 추가하고 싶은 면이어서 추가하였지만, 역시 본인의 자료수집과 능력부족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했다고 생각된다. 이 밖에도 정치적이나, 또는 인물에 관한 점등 보다 다양한 승려의 내용을 첨가하지 못하고 본 보고서를 마무리 짓는 점을 매우 아쉽게 생각한다.
♠. 참고문헌
1. 단행본
김상기, 1961『고려시대사』, 동국문화사우정상,
우정상, 1968『한국불교사』, 신흥출판사
박용운, 1985『고려시대사 상』, 일지사,
-----, 1987『고려시대사 하』, 일지사
허흥식, 1986『고려불교사연구』, 일조각
鎌田茂雄, 1988『한국불교사』, 민족사
불교신문사. 1994『한국불교사의 재조명』, 불교시대사,
한국중세사학회, 1997『고려시대사강의』, 늘함께.
2. 연구논문
박경자, 1969「고려조의 사원전 고찰-그 확대와 경영을 중심으로-」『숙대사론』4(숙명여 자대학교 사학회)
서경수 외, 1976「고려, 조선의 고승11인」『신구문고 40』(신구문화사)
이재창, 1977「고려시대 승려들의 호국활동」『불교학보 14;미산 홍정식박사 화갑기념특 집』(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김두진, 1982「왕건의 승려결합과 그 의도」『한국학논총』4(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추만호, 1983「고려 승군 고」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유정수, 1984「고려시대의 과거제도 연구-초기를 중심으로-」중앙대 대학원 사학과 석사 학위논문
김호동, 1992「고려 무신정권시대 승려지식인 지눌, 혜심의 현실대응」『민족문화논총』13
최영호, 1995「화엄종계열 승려의 "강화경판 고려대장경"각성사업 참여」『부산사학』29 (부산사학회)
변동명, 1996「고려후기 성리학의 수용과 승려의 유불관」『국사관론총』71(국사편찬위원 회)
-----, 1997「고려 최씨무인정권시기의 유자 출신승려」『전남사학』11(전남사학회)
정동락, 1996「'강화경판 고려대장경' 조성의 참여 승려층과 대몽항쟁」『교남사학』7(영남 대학교 국사학회)
이병희, 1999「고려시기 승려와 말」『한국사론 41,42 -일계김철준선생10주기추모논총-』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 2001「고려시대 승려의 개인재산」『전농사학 -송남 이존희 교수 정년기념 논총』 7(서울시립대학교 국사학과)
김영미, 2002「고려시대 불교계 통제와 율령 - 승려행동 규제를 중심으로 -」『사학연구』 67(한국사학회)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3.12.05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65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