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진 사대부의 역사적의의 -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의 세대교체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사대부의 기원과 성격

3. 고려말의 정국과 조선의 건국

4. 맺음말

본문내용

문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선 사대부의 기원과 성격은 한국 중세사에 대한 인식과 관련이 깊은 것이었다. 사대부 존재에 대한 인정과 권문세족과의 차별성 여부에 따라 한국 중세 정치사에 대한 설명 자체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위에서 설명한 연구사적인 접근의 결과 현재 사대부의 존재에 대해서는 모든 연구자 사이에서 공감을 얻고 있는 듯 하다. 특히 80년대 이후 비록 반론이 있기는 하였지만, 대체로 사대부에 대한 다양한 관점에서의 접근은 오히려 사대부의 성격을 보다 명확하게 해주고 있으며, 이는 권문세족과 사대부의 차이점을 보다 명확하게 규정해주고 있다고 판단된다.
다만, 현재까지의 연구는 사대부와 민과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야 할 점이 많다고 생각된다. 사대부의 개혁론이 정치적인 차원에서만 머물렀던 것이 아니라 사회전제로 그 의미를 확장할 수 있으려면 아무래도 민의 동향과 개혁론의 상관관계에 대해 좀더 풍부한 해설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으로 공민왕대 이후 정국의 동향과 사대부의 성장, 그리고 조선 건국의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들이 성장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우선 좌주문생관계와 혼인관계, 성리학적 동류의식이 자리잡고 있었다. 그들은 이러한 관계를 바탕으로 정치세력으로 성장할 수 있었으며, 우왕대 두 세력으로 자기분열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한 측면에서 사대부는 지속적인 성장을 하였다고 할 수 있겠다.
이를 통해 조선건국의 의미를 유추해보면, 우선 충선왕대 이후 개혁정치의 종착점과 지배세력의 교체 과정이었다는 점에서 조선 건국의 의미를 찾을 수 있겠다. 곧, 권문세족에 의한 사회경제적인 모순의 극복 과정이 개혁정치였다면 창왕대 전제개혁안과 과전법의 공포, 그리고 조선의 건국은 지배세력인 권문세족 대신 개혁세력이 사대부가 지배세력으로서 자리매김하게 되는 결정적인 구실을 하였다는 점에서 개혁의 종착점으로서의 역할과 함께 지배세력의 교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金泰永, 1983 『朝鮮前期土地制度史硏究』 知識産業社
韓永愚, 1983 『朝鮮前期社會經濟硏究』 乙酉文化社
朴龍雲, 1987 『高麗時代史』 一志社
金光哲, 1991 『高麗後期世族層硏究』 東亞大學校 出版部
朴連鎬, 1993 『朝鮮前期 士大夫敎養에 관한 硏究』 韓國精神文化硏究院 博士學位論文
邊東明, 1995 『高麗後期性理學受容硏究』 一潮閣
姜芝 , 1996 『高麗 禑王代(1374年-88年)의 政治勢力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李益柱, 1996 『高麗·元關係의 構造와 高麗後期 政治體制』 서울大學校 博士學位論文
李佑成, 1997 『韓國中世社會硏究』 一潮閣
金塘澤, 1998 『元干涉下의 高麗政治史』 一潮閣
金仁昊, 1999 『高麗後期 士大夫의 經世論 硏究』 혜안
都賢喆, 1999 『高麗末 士大夫의 政治思想硏究』 一潮閣
李亨雨, 1999 『高麗 禑王代의 政治的 推移와 政治勢力 硏究』 高麗大學校 博士學位論文
高惠玲, 2001 『高麗後期 士大夫와 性理學 受容』 一潮閣
閔賢九, 1968 「辛旽의 執權과 그 政治的 性格」(上), (下) 『歷史學報』38, 40 歷史學會
李起男, 1971 「忠宣王의 改革과 詞林院의 設置」 『歷史學報』52 歷史學會
金潤坤, 1974 「新興士大夫의 擡頭」 『한국사』(8) 국사편찬위원회
閔賢九, 1977 「整治都監의 設置經緯」 『論文集』11 國民大學
閔賢九, 1980 「整治都監의 性格」 『東方學志』23·24合輯 延世大學校 國學硏究院
朴天植, 1980 「高麗 禑王代의 政治權力의 性格과 그 推移」 『全北史學』4 全北大學校 史學會
高惠玲, 1981 「李仁任 政權에 대한 一考察」 『歷史學報』91 歷史學會
鄭玉子, 1981 「麗末 朱子性理學의 導入에 관한 試考」 『震檀學報』51 震檀學會
文喆永, 1982 「麗末 新興士大夫들의 新儒學 受容과 그 특질」 『韓國文化』3 서울大學校 韓國文化硏究所.
金海榮, 1984 「鄭道傳의 排佛思想」 『淸溪史學』1 韓國精神文化硏究院 淸溪史學會
李楠福, 1984 「麗末鮮初의 座主·門生關係에 관한 一考察」 『藍史鄭在覺博士古稀紀念 東洋學論叢』 고려원
閔賢九, 1987 「白文寶硏究-政治家로서의 活躍을 중심으로-」 『東洋學』17 檀國大學校 東洋學硏究所
周采赫, 1988 「元 萬卷堂의 設置와 高麗 儒者」 『孫寶基博士停年紀念 韓國史學論叢』 知識産業社
鄭治憲, 1991 「麗末鮮初 科擧文臣勢力의 政治動向」 『韓國學報』64 一志社
高惠玲, 1992 「高麗後期 士大夫의 槪念과 性格」 『擇窩許善道先生停年紀念 韓國史學論叢』 一潮閣
都賢喆, 1993 「高麗後期 朱子學 受容과 朱子書 普及」 『東方學志』77·78·79合輯 延世大學校 國學硏究院
金成俊, 1994 「고려말의 정국과 원·명관계」 『한국사』(20) 국사편찬위원회
박재우, 1995 「총론: 고려말 정치상황과 신흥유신」 『역사와 현실』15 한국역사연구회
이익주, 1995 「공민왕대 개혁의 추이와 신흥유신의 성장」 『역사와 현실』15 한국역사연구회
이익주, 1995 「권문세족과 사대부」 『한국역사입문②』 풀빛
홍영의, 1995 「고려말 신흥유신의 추이와 분기」 『역사와 현실』15 한국역사연구회
金塘澤, 1997 「高麗 禑王 元年(1375) 元과의 외교관계 再開를 둘러싼 정치세력 간의 갈등」 『震檀學報』83 震檀學會
金塘澤, 1998 「高麗 禑王代 李成桂와 鄭夢周·鄭道傳의 정치적 결합」 『歷史學報』158 歷史學會
김인호, 1998 「여말선초 군주수신론과 『대학연의(大學衍義)』」 『역사와 현실』29 한국역사연구회
이익주, 1998 「고려말 신흥유신의 성장과 조선건국」 『역사와 현실』29 한국역사연구회
李益柱, 2000 「書評: 金塘澤 著《元干涉期의 高麗政治史》一潮閣, 1998」 『韓國史硏究』110 韓國史硏究會
이익주, 2001 「14세기 전반 성리학 수용과 이제현의 정치활동」 『典農史學』7 서울市立大學校 國史學科
이형우, 2002 「高麗末 新進士類의 정치적 역할-朝鮮 建國勢力의 정치·사회적 기반 재검토의 일환으로-」 『한국사학보』12 고려사학회
도현철, 2002 「조선왕조 성립에 대한 평가」 『한국전근대사의 주요 쟁점』 역사비평사
이익주, 2002 「원간섭기 개혁정치의 성격」 『한국전근대사의 주요 쟁점』 역사비평사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3.12.06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66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