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문의 삼민주의 연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손문사상 형성기의 시대적 배경
1) 불평등 조약을 통해 본 외부의 압력
2) 청조의 내부적 모순
3) 개혁에서 혁명으로

3. 삼민주의의 내용
1) 민족주의
민족주의와 국가주의
민족주의와 세계주의
2) 민권주의
기초개념
정부
3) 민생주의
민생주의와 사회주의
민생주의의 정책

4. 삼민주의의 흐름
1) 생성과정
성장과정과 사상의 형성기
흥중회 시기
중국동맹회 시기
국민당 시기
중화혁명당 시기
2) 러시아 혁명과 5·4운동의 영향

5. 결론

6. 참고문헌

본문내용

확대, 코민테른의 이해관계 대변 등을 목적으로 한 것이었다. 끝으로 변화된 내용을 살펴보기로 한다. 1924년 1월의 국민당 제1차 전국대표대회에서의 「대회선언」에서 가장 중점을 둔 강조사항은 '철저한 反帝' 인식의 확립이다. 지금까지 가장 인식이 늦었던 이 「反帝」에 대한 철저한 자세변화는 三民主義의 발전에 주요한 의미를 갖는다. 「선언」은 과거의 혁명정부가 행했던 反혁명세력과의 일시적인 타협을 강력히 비판하고, 모든 중국문제의 근원을 제국주의의 침략 때문으로 규정하였으며, 군벌과 제국주의를 명백한 동질적 존재로 단정함으로써 「反帝」를 확실히 구분하였다.
民族主義는 이때에 비로소 대외적으로 反帝를 언급하고 있으며 대내적으로는 과거의 민족동화에서 5族의 일률적 평등에 의한 민족자치권 승인을 통해 자유연합적 공화정부를 수립하자고 주장된다. 대외적인 면 뿐 아니라 대내적으로도 더 진보된 개념임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民權主義에서는 前期에 비해 직접 민권(창제, 복결, 파면, 선거=政權)을 첨가하여 강력하면서도 民治를 하는 만능정부를 구상하였다. 또한 反혁명적인 단체, 개인에게는 일체의 자유, 권리를 禁한다는 조항은 民權主義에서도 反帝, 半封建을 명확히 하기 위한 것이다. 民生主義에서는 새로이 '자본절제'가 첨가된다. 이는 민간경영 규모를 넘은 기업은 국유화해야 한다는 정책으로 평소 손문의 지론대로 경제적 병폐를 방지하면서 국가의 생산력을 높여 민생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전기의 民生主義는 경제적 병폐의 방지에 중점을 두었으나 후기에는 보다 적극적으로 구체적인 정책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토지분야에서도 농민운동중에 성장한 농민의 계급적 이익에 대한 욕구에 부응하여 농민에게 토지를 소유시키려는 「耕者有其田」정책을 내세운다. 이것은 전기의 도시중심의 地價문제에서 농촌토지로 그 범위가 확대되었으며 토지법, 토지 사용법, 地價세법, 토지 징수법 등을 명문화하였다. 또 성장한 노동자계급에 대한 반응으로 勞力法을 제정하여 노동자를 보호하고자 하였다. 그 외에도 기존의 일체 불평등조약을 취소할 것을 명시하여 과거와 같은 열강의 차관원조를 기대하지 않고 있다.
그리고 국·공합작을 통한 직접적인 정책들은 개조의 성격을 가장 정확히 표현해 준다. 합작의 결실인 3대 정책은 연소, 용공, 부조농공으로서, 볼세비키黨을 참고한 黨지도역량의 강화, 혁명군대로서의 황포군관학교 설립 등과 함께 대중을 중심으로 한 反帝, 半封建 투쟁의 혁명당을 새로이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5. 結論
「三民主義」는 구성분자인 3개주의간에 '相互補完性'을 지니면서 상호작용을 하는 '有機體적인 綜合體系'이다.
이것이 軍政, 訓政, 憲政의 3단계의 진화과정을 거쳐서 현실정치구조 속으로 구체화되는데, 이 같은 「三民主義」의 현실적이고 실천적인 특성들이 가장 극명하게 표현된 것이 1924년의 국·공합작이었다. 즉 三民主義는 20C를 전후한 중국의 엄청난 變革 흐름의 중심에 위치하면서, 서구열강에 의한 사회전반에 걸친 강력한 충격으로부터, 중국을 주체적으로 유지·발전시키기 위하여 産生된 「自救」적인 이론체계였으며, 무엇보다도 당시의 중국적인 특수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 생성, 변화해 간 역사적, 시대적 산물이었던 것이다. 또한 「三民主義」자체가 孫文이라는 특정한 인격적 요소가 수행한 혁명과정상의 역할과 함께 형성되어 왔기 때문에, 三民主義에 대한 이해를 위한 접근에 있어서 시대적 배경의 전개과정에 대한 통찰이 더욱 요청된다 할 것이다. 그러나 「三民主義」에 대한 이 같은 점들의 고려가 배제된다면, 우리는 그것을 이해하는 데 상당한 혼란을 피하기 힘들다.
孫文 자신이 중국의 傳統社會에서 성장하여, 서양의 학문, 사상적인 영향을 직접 받았었고, 「救國」의 목적을 위해 헌신해 온 실천가로서의 면목을 강하게 소지하고 있기 때문에 그의 사상을 관념적이고 논리적인 관점에서만 파악하려 한다면, 비논리적이고 부적절한 난해함을 발견하게 된다는 뜻이다. 그 단적인 예로써 民生主義를 社會主義나 大同主義로 언급한 경우를 들 수 있다. 이처럼 孫文의 사상에는 동일한 대상에 대해서도 視差와 狀況에 따라서 서로 상이하고 복합적인 개념의 片鱗들을 발견할 수 있으며 또한 중국의 전통사상과 서양의 사상들이 혼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당시의 중국이 처한 상황이 봉건세력과 제국주의 열강의 桎梏으로부터 해방되는 것을 최우선적으로 요구하고 있었으며, 三民主義 역시 그러한 목표를 위한 방법론의 일환으로서 발생하였기 때문에 나타난 귀결이다.
孫文은 혁명의 완성을 보지 못하였으며 三民主義 역시 사상적 完備함을 끝마치지 못한 상태에서 후계자들에 의한 자의적인 계승을 받고 있다. 즉 國民黨 右派의 대표적 이론가인 대계도의 해석이나, 장개석의 이해관점, 그리고 모택동의 新民主主義에서 보이는 전략적인 수용의 측면, 끝으로 國民黨 左派에서 나타난 정책적 표현들을 그 實例로 열거할 수 있으나 그 어느 것이나 孫文思想에 대한 본질적인 완성을 기했다고 확언하기는 어렵다.
오늘날 三民主義에 대한 연구는 보다 넓은 영역에서 시도되고 있으며, 臺灣과 大陸 兩체제의 統一問題와 함께 향후의 평가문제도 중요한 관심사가 되고 있다. 三民主義에 대한 兩체제의 일치된 평가는 현대 중국의 변혁운동에 대한 보다 명확하고 본원적인 성격을 규명해 줄 수 있다고 생각되며, 기대되는 문제인 것이다.
6. 참고문헌
掘川哲男 著, 李陽子 譯, 《中國近現代史》,삼지원, 1994.
文賢貞,〈孫文의 新三民主義 思想形成에 관한 一考察〉, 숙명여자대학교 대학 원, 1996.
閔斗基 編, 《中國現代史의 構造》, 서울, 청람문화사, 1983.
, 《中國近代史 硏究》, 서울, 일조각, 1973
, 《中國革命運動의 硏究》, 서울, 일조각, 1985.
,《辛亥革命史》, 민음사, 1994.
외 편, 《東洋史 硏究 資料 輯要》,지식산업사,1981.
외, 《中國國民革命의 分析的 硏究》, 서울, 지식산업사,1985
小島晉治·丸山松幸 著, 朴元 譯, 《中國近現代史》,지식산업사, 1990
시프린 著, 閔斗基 譯,《孫文平傳》,지식산업사.1990.
李洪吉,〈三民主義 變遷 過程 硏究〉,전남대학교 대학원,1993.
  • 가격3,000
  • 페이지수33페이지
  • 등록일2003.12.06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66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