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사회 사상과 새로운 사회관의 모색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문제 제기

Ⅱ. 현대 사회학의 사회관
1. 개체 중심적 관점
2. 전체 중심적 관점
3. 양자의 공동 기반

Ⅲ. 동아시아 사상의 통일체적 세계관
1. 유가의 통일체적 세계관
2. 도가의 통일체적 세계관

Ⅳ. 통일체적 세계관의 사회학적 함의
1. 사회 명목론과 사회 실재론의 대립의 해소
2. 사회학의 중요한 개념에 대한 새로운 규정
3. 사회 문제론과 사회 발전론에의 기여

본문내용

이에 반해서, 통일체적 관점에서 보면, 사물을 포함한 모든 존재는 하늘의 이 또는 도를 품부받아 자신의 성을 갖고 있으므로, 모든 존재들은 근원적으로 평등하다. 그러나 이러한 자신에게도 내재하여 있는 성을 깨닫고 체화한 정도에 있어서는 사람마다 차이가 존재한다. 정자(程子)는 "중인(衆人)은 이것을 가지고 있으되 알지 못하고, 현인은 실천하되 다하지 못하니, 능히 그 형체를 채우는 것은 오직 성인뿐이다"
)『孟子』,「盡心 上 38」, 程子 註, "衆人有之而不知 賢人踐之而未盡 能充其形 惟聖人也."
(孟子, 盡心 上 38의 註; 성백효, 1994: 404)라고 하였다. 여기에서 불평등의 위계에서 자신의 위치는 천리를 얼마나 자각하고 있으며, 체화하고 있는가의 정도에 의해서 결정된다.
3. 사회 문제론과 사회 발전론에의 기여
합리성을 논의하는 부분에서 언급하였듯이, 사회관의 차이는 삶의 궁극적 목적이 무엇이며, 인간다운 삶이란 어떤 것인지에 대한 상이한 해석을 낳는다. 통일체적 세계관은 삶의 목적과 참된 삶에 대한 개체 중심적 관점이나 전체 중심적 관점과는 다른 새로운 해석을 제공하며, 이는 사회 문제와 사회 발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가능하게 한다. 사회 문제란 구조화된 인간의 삶의 비인간화라고 정의할 수 있다. 그러므로 결국 무엇이 사회 문제인가 하는 것은 무엇이 인간다운 삶인가에 대한 규정과 직결된다. 근대 이후 서구 사회에서는 개체 중심적 사회관이 주류를 이루어왔다. 개체 중심적 사회관에 입각해서 보면, 인간다운 삶이란 개인이 자신의 생리적, 사회적 욕구를 마음껏 충족시키는 삶을 뜻하며, 그러하기에 사회 문제에 관한 연구는 개체의 욕망 충족이 구조적으로 좌절되는 측면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이에 반해서, 전체 중심적 사회관에 입각해서 보면, 사회가 개인의 삶에 적절한 규율을 제공하고, 인간의 욕구를 적절히 규제하는데 성공하였을 때, 인간다운 삶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사회 문제에 관한 연구는 사회의 이러한 기능의 약화, 와해를 초래하는 사회 질서의 혼란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통일체적 관점에서 보면, 부분과 전체의 통일성을 자각하고, 체화시켜나가는 삶이야말로 인간다운 삶의 의미가 된다. 그러므로, 부분과 전체의 분리 자체가 심각한 문제로 인식되며, 더구나 개체와 개체간에 또는 개체와 전체간에 상호 반목하고, 폭력이나 억압, 구속이 행해지는 상황은 비정상적인 상황으로, 심각한 사회 문제로 인식된다.
사회 발전에 대해서도 동일한 논리가 적용될 수 있는데, 개체 중심적 관점에서 보면, 사회 발전이란 개체의 자유와 욕망 충족을 구속하고, 억압하는 사회 구조를 타파하고, 이러한 욕망 충족이 보다 원할하게 이루어지는 사회로의 이행을 의미한다. 전체 중심적 관점에서 보면, 사회 발전이란 사회 혼란을 종식시키고, 전체 사회가 부분들간의 유기적 연관 관계가 확립된 가운데 질서를 유지하는 상태로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통일체적 관점에서 보면, 사회 발전이란 개인과 개인 또는 개인과 사회간의 분리와 반목을 해소시키고, 개체들이 개체와 전체간의 통일성을 자각한 가운데, 개체와 전체가 창조적 조화를 이루고 있는 상태로 변화해 가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사회관에 따라서 사회 문제와 사회 발전에 대한 판이한 인식이 이루어지게 된다. 통일체적 세계관은 현대 사회학이 사회 문제론과 사회 발전론의 영역에서 이론의 현실에의 부적합성과 한계에 직면해 있다는 현실을 고려할 때,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고 현실 적합성 있는 새로운 사회 문제론과 사회 발전론의 구성을 통하여 사회학이 새로운 활력을 찾는데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세계관적 기초를 제공하여 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경동. 1989. 『社會學의 理論과 方法論』. 박영사.
김병효. 1996. 『亞山의 中庸講義』. 소강.
김재범. 1997. 『周易의 認識原理의 社會學方法論的 含意』.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박완식 편저. 1993. 『大學·大學或問·大學講語』. 이론과 실천.
신용하. 1985. "서설: 공동체에 대한 현대인의 추구". 신용하 편. 『공동체 이론』.
11-17쪽. 문학과 지성사.
이영찬. 1996. "한국의 근대화에 따른 문제점과 유교의 역할." 우리사회연구 3: 215-253.
______. 1997. "유교 합리성의 모색." 사회과학논총 16: 111-123.
전경갑. 1993. 『현대와 탈현대의 사회사상』. 한길사.
최봉영. 1994. 『韓國人의 社會的 性格』. 느티나무.
______. 1998. "'사회'라는 개념에 전제된 개체와 전체의 관계와 유형". 1998년 전기 사
회학 대회 발표문.
『論語』. 1989(영인본). 학민문화사.
『大學』. 1989(영인본). 학민문화사.
『孟子』. 1989(영인본). 학민문화사.
『中庸』. 1989(영인본). 학민문화사.
『大學·中庸集註』. 성백효(역주). 1991. 전통문화연구회.
『莊子』. 안동림(역). 1993. 현암사.
朱熹. 『朱子語類』. 黎靖德(편). 王星賢(點校). 1994. 北京: 中華書局出版.
大賓晧. 1992. 『老子의 哲學』. 임헌규 역. 인간사랑.
蒙培元. 1996. 『중국 심성론』. 이상선 역. 법인문화사.
陳鼓應. 1997. 『老莊新論』. 최진석 역. 소나무.
淺野榮一·古賀英三郞 편저. 1982. 『어떻게 社會科學을 할 것인가』. 한마당편집실 역. 한
마당.
馮寓. 1993. 『천인관계론』. 김갑수 역. 신지서원.
브로느프스키·매즐리시(J. Bronowski and Bruce Mazlish). 1986. 『西洋의 知的 傳統』.
차하순 역. 학연사.
니스벳(Robert A. Nisbet). 1985. "공동체 이론의 역사." 신용하 편. 『공동체 이론』.
pp. 102-154. 문학과 지성사.
카프라(Fritjof Capra). 1985. 『새로운 科學과 文明의 轉換』. 이성범·구윤서 역.
범양사출판부.
Ritzer, George. 1983. Sociological Theory, New York: Alfred A. Knopf.
짜이틀린(Irving Zeitlin). 1985. 『사회학 이론의 발달사』. 이경용·김동노 역. 한울
아카데미.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3.12.13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80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