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가에 나타난 사상적 배경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서
(1) 불교의 유입
(2) 신라 불교의 특징

2.본
(1) 풍요
(2) 도솔가
(3) 안민가
(4) 제망매가
(5) 원왕생가
(6) 도천수대비가
(7) 찬기파랑가
(8) 혜성가
(9) 우적가

3.결

본문내용

이라고 단정짓기는 힘들 것이다.
(9) 우적가
自矣心米 제 마음의
?史毛達只將來呑隱 모습이 볼 수 없는 것인데
日遠鳥逸□□過出知遣 日遠鳥逸 달이 난 것을 알고
今呑藪未去遣省如 지금은 수풀을 가고 있습니다.
但非乎隱焉破□主 다만 잘못된 것은 强豪님,
次弗□史內於都還於尸郞也 머물게 하신들 놀라겠습니다.
此兵物叱沙過乎 兵器를 마다하고
好尸曰沙也內乎呑尼 즐길 법을랑 듣고 있는데,
阿耶唯只伊吾音之叱恨隱?陵隱 아아, 조만간 善業은
安?尙宅都乎隱以多 아직 턱도 없습니다.
1행의 '제 마음'은 自性으로써 一切衆生의 심성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각자의 심성은 중생들이 갖고 있는 마음의 본성으로 佛性과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3-4행은 해가 저물어 새가 숨어버린 '日遠鳥逸'과 '달이 난' 부분을 결부시킬 때 그동안 미망의 상태에 있던 시간을 깨닫고 거기에서 벗어나기 위해 수도하러 가는 영재의 모습을 볼 수가 있다. 작품에서 주목해야 하는 것은 마지막 결구에서의 노승이 도적에게 보였던 교화의 내용이 부처와 비교할 때 아주 작은 존재라는 것을 말하는 부분이다. 병기로 위협하는 도적들을 교화하는 노승의 행동 또한 중생을 구제하는 善業으로 평가할 수 있는 것인데도, 노승은 아직도 턱없이 부족하다고 말하면서 상대적으로 절대자의 덕을 높이 찬양하고 있는 것이다.
원성왕대에 영재가 도적을 만나 그들을 교화시킨 사건이 구전되었다는 점은 아주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원성왕대는 전부문에 걸쳐 많은 문제가 있던 시기였다. 14년 동안 해마다 각종 재난과 이변이 일어났다. 이런 시기에 도적떼가 횡행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며 그들의 성격 또한 폭악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이러한 도적들마저 교화시킨 영재의 이야기는 교화의 일례로써 구전시키기에 알맞은 것이었고 그 이야기가 구전되면서 백성들의 정서에는 자연스럽게 부처의 공덕신앙이 투영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앞에서 《삼국유사》소재, 대부분의 향가에 나타난 불교관을 살펴보았다. 불교는 신라의 국교였고 따라서 향가에는 당연하게 불교 계통의 노래가 많았다. 더욱이 《삼국유사》의 저자인 일연이 승려였고 《삼국유사》의 편찬에 있어서도 불법 교화의 의도가 충분히 작용했을 것을 고려한다면 이러한 현상은 자연스러운 결과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 - 앞에서도 잠깐 언급을 하였다. - 신라인의 불교관이 순수한 불교적 신앙심에 의해서 생겨난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관음신앙에 의지해 아들의 득안을 기원한 희명도, 현세적 세계에서 탈피하여 내세지향적인 왕생극락을 염원하는 광덕 등등, 이들의 신앙은 주술 또는 무속 신앙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점이다. 일연이 향가가 "천지와 귀신을 감동시킨 일이 한두 번이 아니었다"고 적고 있는 것을 보더라도, 향가가 갖는 주술성이나 그 효험에 대해서 신라인들이 얼마나 깊은 신뢰를 갖고 있었는지를 추측할 수가 있다. 그리고 <혜성가>나 <도솔가>를 통해서 향가가 갖는 주술성이 천상계나 인간 세계에 조성된 변괴를 물리치게 하는 중요한 기능을 담당했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향가에서의 주술성은 불교사상만큼이나 많은 사상적 비중을 차지했다는 것을 쉽게 알 수가 있다.
국가에서 관장하고 교리로써 다스리는 것이 불교였다면, 민중들이 스스로의 마음을 다스리고 발원의 기반으로 삼았던 것은 주술적 사고관이었다. 그리고 그 주술적 사상을 더욱 굳건한 신앙으로 발전시켜준 것이 불교였다고 정의를 내려도 무관할 것이다. 그리고 '향가'라는 주술적 수단을 통해서 작게는 개개인의 발원과 크게는 국가의 안정과 염원이 구체화된 것이라고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김완진, 『향가와 고려가요』,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반교어 문학회, 『신라가요의 기반과 작품의 이해』, 보리사, 1998.
임기중 外, 『새로 읽는 향가 문학』, 아세아문화사, 1998.
김완진, 『한국고전시가작품론』, 집문당, 1995.
김광순 外, 한국문학개론, 경인문화사, 1996.
李永泰, 「삼국유사 소재 향가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1997.
강둘이, 「찬기파랑가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7.
鄭茂燮, 「鄕歌에 나타난 佛敎思想 硏究」,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향가에 나타난 사상적 배경
- 불교관을 중심으로
목차

(1) 불교의 유입
(2) 신라 불교의 특징

(1) 풍요
(2) 도솔가
(3) 안민가
(4) 제망매가
(5) 원왕생가
(6) 도천수대비가
(7) 찬기파랑가
(8) 혜성가
(9) 우적가
  • 가격1,2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3.12.15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83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