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 3.1운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공주 3·1 운동의 배경
1. 사회경제적 배경
2. 항일 민족 의식의 발흥

Ⅲ. 공주 3·1 운동의 전개
1. 유구면(維鳩面)의 3·1 운동
2. 공주면(公州面)의 3·1운동
3. 정안면(正安面)의 3·1운동
4. 기타 지역의 3·1 운동

Ⅳ. 공주3·1운동에 대한 일제의 탄압

Ⅴ. 공주 3·1운동의 특징

Ⅵ. 마치며

본문내용

전개되었다. 그리고 이상의 독립 만세 운동을 제외한 나머지 공주 지역의 3·1 운동은 구체적 기록이 전해지지 않아 알 수는 없지만 일제의 억압과 탄압에 시달린 농민들에 의하여 자연 발생적으로 전개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로 독립 만세 운동의 전개 과정에서 활동한 인물들은 농민과 학생들이다.
유구면 독립 만세 운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왜인에 피검되어 재판을 받은 인물 23인 가운데 농민이 21명으로 농민들이 다수 참여하여 이 운동이 전개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공주면의 운동은 교사들의 주도가 있었지만 독립 선언서와 태극기를 제작 배포하고 시장에서 독립만세를 부른 것은 학생들이었으므로 실제는 학생들에 의해 전개된 운동이었다. 정안면의 운동에서도 왜경에 피검되어 재판을 받은 인물 25인도 전부 농민이었다. 주도자 유림 이기한도 직업이 농업이었다. 이처럼 공주지방 3·1 운동 특징의 하나는 주체 세력이 다른 지방에 비해 지식인이나 종교인이 적은 반면에 농민의 활동이 두드러진데 있다.
셋째, 3·1 운동의 전개는 무력적인 방법과 평화적인 방법이 병행되었다.
유구면과 정안면에서 주재소를 파괴하고 일본 군경과 대치하여 충돌하였다. 그러나, 유구면과 정안면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는 평화적인 방법으로 독립 만세 운동을 전개하였다. 이 평화적인 방법은 야간을 이용하여 산상에서 횃불을 흔들면서 독립 만세를 부르는 것으로 이때 마다 일경이 출동하여 무장을 하지 않은 농민들을 향하여 사격을 가하였다.
넷째, 충남 도청 소재지인 공주에도 도 단위 치안기관이 치안통제를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3·1 운동이 전개되었다.
당시 공주에는 도 경찰부·헌병수비대·군 파견 부대·경찰서 및 6개 순사 주재소가 있어 전국적으로 전개된 3·1 운동이 공주 지역에도 파급될 것을 우려하여 삼엄한 치안 유지 활동을 전개하고 있었다. 그러나 일본의 탄압에도 개의치 않고 충남의 도청이 있는 공주면을 위시한 인근 7개 지역에서 독립 만세 운동이 전개되었다.
Ⅵ. 마치며
구한말의 근대화 운동이 내·외적인 요인에 의해 성과를 거두지 못한 상태에서 일본 세력의 침투가 가속화되었다. 특히 1900년대 일제의 침략이 노골화되면서, 공주는 충남의 도청 소재지로써 일제의 탄압을 많이 받았다. 그러나 일제의 탄압 밑에서 항일 독립 의식은 더욱 강하여져 적극적인 3·1 운동이 폭발할 수 있었다.
공주 지역의 3·1 운동은 종교인, 유학자 및 교사가 주도를 하고 농민과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전개한 독립 만세 운동이었다. 특히 전개과정에서 적극적이고 폭력적인 저항 의식을 표출한 인물들은 농민들이었다. 주재소를 파괴하고 일제의 군경과 대치 충돌하면서 사상자까지 발생한 것은 농민들의 적극적인 독립의지의 표현이었다. 또한 횃불을 흔들면서 독립 만세 운동을 전개한 것도 농민들이었다. 다른 지방과 달리 지식인과 종교인의 적극적인 활동이 두드러지지 않은 상황에서 독립 운동의 실질적인 전개는 농민들의 몫이었다. 이러한 관점으로 볼 때, 공주 지역의 3·1 운동은 일제의 지배에 대한 농민들의 민족 운동의 일환으로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공주지역의 3·1 운동은 일제의 강압적인 탄압 속에서 전개되었으며, 더욱이 일본 헌병이 증파된 상태인 4월 1일 이후에 집중적으로 전개되었다. 충남의 다른 인근 지역에 비하여 사상자가 많이 발생한 것은 일제의 탄압이 그 만큼 심하였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비록 일제의 강압적인 탄압으로 공주 지역의 3·1 운동은 약화되었으나 공주 지역의 3·1 운동은 일제의 침략과 지배 하에서 전개된 항일 운동이었으며 외세로부터 독립하려는 민족 운동이었다 할 수 있다.
< 참고 문헌 >
* 공주 대학교 박물관, 『공주의 역사와 문화』1995
* 공주문화원향토문화연구소, 『공주의 맥』, 1992
* 김상기, 「조선말 문석봉의 유성의병」,『역사학보』134·135합집, 1992
* 국사편찬위원회, 『한민족독립운동사』3·1 운동, 1988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독립운동사』2, 1966
*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제3권-3·1운동사(하), 1971
< 참고문헌 >
송정호, 1987,「백제후기 보살입상의 연구」,홍익대 미술사학과
박영환, 1990「백제불상조각의 조형성」, 홍익대학교
유원재, 1991, 「무령왕대의 대외관계」,
유원재, 1996, 「백제의 역사와 문화」, 학연문화사
김성구, 1990, 「부여의 백제요지와 출토유물에 대하여」, 백제연구
성주탁, 2002, 「백제의 사상과 문화」, 서경문화사

키워드

공주,   3.1운동,   공주면,   유구면,   정안면,   충청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3.12.17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87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