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란 무엇인가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판소리란 말의 뜻

2. 판소리의 역사

3. 판소리의 유파(제(制))

4. 판소리의 조

5. 판소리의 발성법과 성음 음악

6. 판소리의 장단

7. 판소리의 종류

8. 판소리의 명창과 고수
1) 순조 때 8명창(전기의 8명창)
2) 철종 때 8명창(후대의 8명창)
3) 근세 때 5명창
4) 최근의 명창들
5) 명고수

9. 판소리 감상

본문내용

춘향가의 주제는 사랑과 자유의 숭고함이며, 많은 설화를 소재로 씨줄과 날줄로 엮어 놓았다.
춘향가는 판소리 다섯 마당 중 가장 길다. 명창으로 손꼽히는 박동진 명창이 1969년 명동에 있던 국립극장에서 장장 8시간 동안 춘향가를 완창하자 사람들은 입을 다물지 못했다.
춘향가가 처음부터 이렇게 길게 만들어진 것은 아니었다. 오랜 세월 불러오면서 내노라하는 명창들이 개인적인 창법이나 성량, 기호 등에 따라 가락이나 사설을 새롭게 짜서 덧붙이기도 하고 잘라내기도 하면서 오늘날과 같이 잘 다듬어진 춘향가가 만들어진 것이다. 명창들이 특징 있는 가락으로 짜서 장기로 부른 춘향가의 각 대목은 더늠으로서 지금까지도 그대로 전해진다.
오늘날 많이 불리고 있는 춘향전 바디로는 정정렬 바디, 송만갑 바디, 김세종 바디 등이 있다. 현재 명창으로 알려진 성우향, 조상현 등은 김세종 바디를 잘하고 근래에 세상을 떠난 박봉술은 송만갑 바디에 능했으며, 정광수는 김창환 바디를, 김여란은 정정렬 바디를 잘한다.
해방 후 김연수는 춘향가를 다시 짜서 그의 제자인 오정숙이 8시간 이상을 불러 한때 세간의 화젯거리가 되기도 했다. 또 춘향가의 여러 바디를 독창적으로 소화시켜 만든 '김소희 춘향가' '박동진 춘향가'도 있다.
춘향가를 다 들어보진 못 했지만 춘향가는 진정 판소리 중의 판소리로서 앞으로도 많은 사람들에게, 그리고 전 세계적으로도 사랑 받고 자랑할만한 우리의 삶이자 가슴이다.
심청가
<심청전>은 <춘향전>,<흥부전>,<옹고집전>등과 함께 판소리 사설에 속하는 작품인데 작자와 연대는 미상이다. <심청전>은 동양 도덕의 근본사상인 효를 강조한 것이지만 <심청전>의 소재가 불교적인 설화인 만큼 불교적인 인과응보가 내용의 주된 구성이다. 심청이가 눈먼 아버지를 위해 뱃사람에게 몸을 팔아 죽음을 택하는 것은 유교적인 지극한 효를 나타내는 것이지만 마지막 장에서 불교 사상이 두드러지게 표현되고 있다. 그러므로 이 작품은 효의 유교사상과 인과응보의 불교사상이 복합적으로 묘사되고 있다. 서민들의 비참한 생활을 어떤 환상의 세계로 승화시킴으로써 마음의 위안을 받고져 하는 것이다.
특히 <심청전>이 여성층에 독자를 많이 두고 있는 까닭은 부녀간의 혈연적 사랑을 바탕으로 한 효녀 심청의 희생적 자기 부정에서 동정과 비애를 절감하다가 종말의 비극적인 소원성취에 이르러 희열과 통쾌함을 맛볼 수 있기 때문이다.
<심청전>의 무대가 황주 도화동으로 되어 있어서 우리나라의 황해도 황주로 알고 있으나 작품 속의 국명이나 하천명 등으로 보아서는 중국의 호북현에 있는 땅이다. 그리고 이종본으로 필사본, 목판본, 활판본 등이 전하는데, 한문소설 심청전, 국문소설 심청전, 판소리 소설 심청가, 심청황후전, 강상연 등이다. 작중 인물들도 심학규가 심현으로, 그의 처 곽씨가 정씨로 다르게 나타나기도 한다.
심청가의 갈래는 윤리소설, 설화소설, 판소리계소설이다.
배경사상은 유교의 근본사상인 효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나 불교, 도교의 사상도 일부 유입되고 있다.
심청가의 근원설화는 내용상으로는 '인신공희(人身供犧)설화', 효자 불공 구친 설화, '맹인 득안 설화', 문헌상으로는 <삼국사기>의 효녀 지은 설화, <삼국유사>의 '빈녀 양모'와 '거타지 설화', 전남 '성덕산 관음사 연기 설화'에 나오는 '홍장(洪莊)처녀 이야기' 등이 있다.
<심청전>은 판소리계 소설이다. 이 작품의 주제는 '효(孝)'이다. 이 효는 유교적 덕목만이 아니라 인간의 보편적 심성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한편, 이 작품은 대표적인 세속 소설이기도 하다. 조선 후기 사회상을 반영하는 단적인 예는 심봉사와 뺑덕어미와의 갈등에서 볼 수 있다. 심봉사는 딸을 죽음의 구렁텅이로 보내 놓고는 돈으로 인해 공연이 마음이 헤퍼지는 범속하기 짝이 없는 인물로 전환하고 있다. 심청이 보이는 비극적 행위에 비하면 심봉사의 행위는 희극적인데, 사실은 이것이 화폐가 위력을 발휘하기 시작한 당대의 모습이기도 하다. 한편 뺑덕어미는 인간의 본능에 충실하게 삶을 즐기자는 인물로 당대 사회에서 하나의 유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심청가를 듣고 현재 우리에게 효에 대한 것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아버지의 눈을 뜨게 하기 위해 자기의 목숨을 버리는 것이 바람직한 효인가 하는 의문을 주기도 했다.
자식의 희생만큼 큰 아픔이 부모에게는 없기 때문일 것이다.
홍보가
이 소리 역시 「춘향가」 「심청가」와 거의 같은 시대의 것이거나 , 그보다 앞섯을 것이다. 이러한 추측은 8명창 중에 가장 선배인 영조 정조 때의 권삼득의 「더늠」이 「홍보가」 중 제비 후리는 대목이었다는 점이 뒷받침 해 준다. 「홍보가」의 주제는 형제간의 우애이며, 실학의 영향을 입은 근대적 경제사상이 강조되었다. 경판, 신재효본, 이선유본 등이 대표적 창본이다.
흥보가의 성격은 풍자적이고 해학적이다. 그리고 배경은 조선후기이며, 공간적 배경은 충청 전라 경상 3도가 서로 맞닿은 지역이다.
흥보가의 주제는 흥보의 착한 심성이고 전체적인 주제는 형제간의 우애다.
흥보가의 갈등은 흥보로 대표되는 농촌 빈민층과 놀부로 대표되는 반사회적인 지주 계급의 갈등이다. 흥보가 땅을 형인 놀부에게 빼앗기고 쫓겨난 것은 생산 수단인 토지를 상실한 농민들의 고난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문학사적 위치는 중세 사회에서 근대 시민 사회로 이행하면서 경제적 성장을 바탕으로 시민 계급의 중요한 구성원이 된 인물들의 형상화에 중요한 전범이 되었다.
흥보가는 일상적인 언어를 사용하여 생생한 구어체로 표현하였다. 특히 전라도 사투리의 구사를 통해 향토색을 드러내었다. 조선후기의 몰락하는 양반과 평범한 사람들의 생활상을 사실적으로 드러내었다. 대조 과장하는 수법을 통해 해학적 골계미를 풍부하게 표현하였다. 문학의 세유형인 노래하기, 이야기하기, 보여주기의 요소를 모두 지니고 있다.]
난 흥보가를 아주 재미있게 들었다. 하지만 선인가 악인에 대한 보은과 정치가 현실에서 모색되지 못하고 제비가 물어다 준 박씨에 의한 비현실적인 방법으로 실현됨으로써 작품 전면에 흐르는 사실성 또는 현실성과 배치되는 한계를 느낄 수 있었다..
  • 가격1,3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3.12.21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96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