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시대 민족지의 사회사상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문제의 제기

2. 연구문제 및 방법
1) 연구문제
2) 연구방법

3. 주제별 관심도 및 주요 관심사

4. 주제별 주요 주장
1) 대외문제에 대한 주장
2) 대내문제에 대한 주장
① 정치문제에 대한 주장
② 경제문제에 대한 주장
③ 사회문제에 대한 주장

5. 사회사상의 구조

6. 사회사상의 추이

7. 사회사상에 대한 비판적 이해

본문내용

여 보수 민족운동에 반기를 들었다. 문화적 민족주의자들이 전개한 물산장려운동이나 민립대학 설립운동등에 급진주의자들은 공격의 화살을 퍼부었다. 이런 분파적 민족운동은 취약한 국내 민족운동의 기반을 더욱 위축시켰다. 뒤늦게 급진세력은 코민테른의 강력한 지도 하에 보수주의자들과 통일전선을 형성하고자 하였으나, 그 노력은 일제의 강력하고도 기술적인 와해 전술에 힘없이 무너졌다.
일제 하에서 보수 민족지가 엘리트주의와 평화주의를 고집한 것은 사상적 한계가 아닐 수 없다. 그렇다면 이들 민족지가 평화주의와 엘리트주의에 집착한 이유는 무엇일까 ? 그 이유의 하나를 우리는 일제의 가혹한 통제정책에서 찾을 수 있다. 이미 말한 바 있지만 일제의 한국 지배는 유례없이 가혹한 것이었다. 이른바 대정데모크라시 시기에 총독부에서는 문화정치를 한다고 선전하였으나 그것은 극히 제한된 속에서 민족분열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되었으며, 사회운동 세력, 반제 항일운동 세력에 대한 정보 파악과 단속 감시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수준의 것이었다.(서중석,1991, p.46) 1931년 만주 침략 이후에는 집회 결사의 자유가 총독부 시정에 동조하는 체제적 활동 이외에는 봉쇄되었으며 1937년 경부터는 황국 신민화 정책이 강행되었다. 이런 강압정치 하에서 주식회사 체제의 상업주의 언론이 민중주의와 폭력주의를 취할 수는 없는 일이었다.
그러나 보다 본질적인 이유는 다른 쪽, 언론 자본의 성격에서 찾아야 한다. 사실 민족지의 자본은 일제의 식민지 개발 전략에 조응하여 산업자본으로 육성되고 전화된 자본이었다. 일본은 식량 수탈을 위해 토지제도를 개편하지 않고 오히려 지주계급의 기득권을 보호하면서 그들을 산업자본으로 육성했다. 「동아일보」를 발행한 김성수 자본은 바로 그런 전형이었다. 1920년대의 「조선일보」 역시 계급기반은 「동아일보」와 동일한 것이었다. 1930년대 들어 방응모가 「조선일보」의 소유권을 넘겨 받았지만 그의 자본 역시 일제의 수탈적 식민지 개발 정책에 조응하여 확보한 것이었다. 신문 자본의 이런 성격은 일부 진보적 언론인의 노력이나 저항에 크게 구애됨이 없이 일관되게 그들 신문이 평화주의와 엘리트 주의를 고수하게 한 것이다.
민족지가 평화주의와 엘리트 주의에 집착한 근본적인 원인은 그것이 언론자본의 계급적 이익을 보장하기 때문이다. 그들에게 계급이익으로부터 벗어날 것을 기대하는 것은 순진한 희망 사항에 지나지 않는다. 계급이익을 초월한 사회운동은 현실적으로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민족운동의 비극은 보수주의자들이 계급적 한계를 벗어나지 못한 사실 보다는, 엘리트 세력과 민중 세력의 계급적 이익이 상충하여 본질적으로 두 세력의 연대가 불가능하게 된 사회적 조건에서 찾아야 한다. 민족운동의 양축이었던 두 세력의 계급 이익이 상충하게 된 것은 가깝게는 일본의 교묘한 식민지 지배 전략에, 멀게는 우리 나라의 자본주의 이행과정이 안고 있었던 문제점에 기인할 것이다.
<참고문헌>
* 김규환, 『일제의 대한 언론 선전 정책』 (이우출판사,1978)
* 김동규, 「일제하 언론과 농민운동에 관한 연구 - 농민지 조선농민을 중
심으로」 서강대 대학원, 1985.
* 김민환, 「일제시대 언론사의 시기구분」 『언론과 사회』 1.(1993.4)
pp.46-66
* ------, 「일제시대 민족지의 사설 주제분석」 (한국언론학회 학술발표
회, 1993.5.)
* ------, 「일제시대 민족지의 대외문제 인식」 (한국언론학회 학술발표
회, 1993.5.)
* ------, 「일제시대 민족지의 정치문제 인식」 (최정호교수 화갑 논문집
『언론사상과 언론사』, 1993) pp.329-353
* ------, 「일제시대 민족지의 경제문제 인식」 (한국언론학회 학술발표
회, 1993.11.)
* ------, 「일제시대 민족지의 사회문제 인식」 (미발표, 1994.5.)
* 김현대, 「일제하 동아일보의 민족운동사적 고찰 - 문화정치 기간(1920
-1928)의 사설분석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1987.8.
* 박찬승, 『한국 근대정치사상사 연구』 (역사비평사,1992)
* 배진한, 「1920년대 조선 . 동아 두 신문의 사회경제적 성격에 관한 연
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8.2.
* 서중석, 『한국 현대민족운동 연구』 (역사비평사,1991)
* 송정민, 「한국언론의 문화에 대한 인식-1920년대 『동아』『개벽』을 중심
으로」 『언론문화연구』 4.(서강대) 1986.
* 유재천, 「일제하 한국신문의 공산주의 수용」 (문학과 지성사,『한국언
론과 이데올로기』 1990) pp.285-352.
* ------, 「일제하 한국잡지의 공산주의 수용」 (문학과 지성사, 『한국언
론과 이데올로기』 1990) pp.353-373.
* 이경숙, 「일제하 민간지 자본의 성격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1982.2.
* 이 연 , 「일본통치하의 조선에 있어서의 언론통제」 일본 상지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
* ------, 「일제하의 조선중앙정보위원회의 역할」 『서강대 언론학 논선』
13 (1993)
* 이해창, 『한국신문사 연구』 (성문사, 1972)
* 임근수, 『언론과 역사』 (정음사,1984)
* 정진석, 『일제하 한국언론투쟁사』 (정음문고, 1979)
* 최민지, 『일제하 민족언론사론』 (일월서각, 1978)
* 최옥자, 「한국신문의 문화주의에 대한 고찰」 『 우범 이해창교수 회갑기
념 논문집 』 pp.307-341.
* 최 준, 「군국 일본의 대한 언론정책」 『아세아연구』 2권 7호 (1961.7)
* ------, 「식민통치 시대의 언론투쟁」 『한국신문사 논고』 (일조각,1982)
* Michael E. Robinson (김민환 역), 『일제하 문화적 민족주의』 ( 나남,
1990 )
* ------, Colonial Publication Policy and the Korean Nationalist
Movement in The Japanese Colonial Empire 1895-1945 edited
by Ramon H. Myers and Peattie, Prinston Univ. Press. 1984.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3.12.23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01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