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산업의 통계에 대한 연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문화산업의 정의 및 통계작성 현황

Ⅲ. 해외 문화산업 통계 사례

Ⅳ. 문화산업 통계의 개발 방향

Ⅴ. 문화산업 기간통계의 개발 방안

Ⅵ. 문화산업 세부통계 및 동향통계의 개발 방안

Ⅶ. 맺음말

본문내용

하는가에 따라 단기지표들 사이의 괴리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 장기적으로는 한 산업의 생산과 유통이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더라도, 단기적으로는 괴리될 수 있기 때문이다.
. 예컨대 제조업의 경우 다음 <그림 3>과 같이 생산단계에 대해서는 생산지수를, 출하단계에서는 재고지수와 출하지수를 별도로 설정하고 있다.
<그림 3> 제조업의 단계별 지수
생산
생산자
재고.출하
유통
생산자 생산지수
생산자 재고지수
도소매 판매액지수
생산자 출하지수
이 경우 문화산업의 경우에도 이와 유사한 구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영화의 경우, <그림 4>와 같이 영화 제작과 영화 배급, 영화 유통을 구분하여 각각 별개의 동향지표를 설정할 수 있다.
생산
생산자
출하
유통
영화제작동향
영화배급동향
극장매출액동향
<그림 4> 영화산업의 단계별 동향지표
이들 각 단계에 있어 특히 필수적으로 파악되어야 하는 항목들로는 사업체별 매출액, 수출액, 종사자, 제작 현황 등을 들 수 있고, 그 외에 추가적으로 현재 제작중인 프로젝트 현황과, 직종별 부족인원 및 향후 채용 계획 등의 조사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조사대상 선정에 있어 동향 조사의 특성상 표본조사가 불가피하나, 문제는 표본의 선정 기준이 된다. 표본추출 기준으로는 i) 매출액(문화산업 관련 매출액 상위순), ii) 제작편수(문화컨텐츠 연간 제작편수 상위순), iii) 종사자수(문화산업 관련 종사자 수 상위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문화산업의 경우 매출액과 종사자 기준을 적용하기 곤란하다. 예를 들어 영화제작이나 대형게임물 제작의 경우, 하나의 작품 완성에 장기간이 소요되고, 그 기간 동안에는 전혀 매출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또한 종사자수의 경우에도 문화상품 제작에 참여하는 근로자가 사업체와 장기적·안정적 고용관계를 맺지 않은 경우가 많이 있기 때문이다. 제작실적의 경우에도 전년도 제작실적이 전혀 없더라도 현재 대규모 제작이 진행중인 경우가 있으므로, 매출액과 유사한 문제점이 지적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적절한 표본선정 기준을 찾아내는 것이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될 수 있다.
다음으로 조사결과의 집계에 있어 문화산업 동향 지수의 작성을 고려할 수 있다. 이는 제작편수, 매출액 등을 기준년대비 지수로 환산하여 발표하는 것으로, 상이한 물리적 단위를 갖는 조사결과를 하나의 집계치(aggregate value)로 환산할 수 있고, 그 국민경제적 중요성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 지수작성의 가중치로는 산업생산지수의 경우와 같이 국민경제적 중요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각 분야별 부가가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Ⅶ. 맺음말
통계의 중요성은 그 자체로서는 잘 드러나지 않으며, 구체적인 정책적 필요성과 연관하여 제기되는 경우가 많다. 문화산업 통계의 경우도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다. 최근 들어 문화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문화산업이 갖는 경제적 중요성도 새로 부각되면서, 문화산업에 대한 통계를 체계적으로 구축하는 것은 문화산업 자체 뿐만 아니라 국민경제적으로도 큰 중요성을 갖는다고 할 것이다. 이 글에서는 문화산업 통계가 어떻게 구축되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대강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글에서 제시된 방향은 어디까지나 큰 틀에 불과한 것으로, 그 구체적인 실천 방안은 보다 세부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향으로의 문화산업 통계의 구축이 이뤄지고, 지속적인 통계자료의 축적이 이뤄진다면 우리나라 문화산업 발전에 중요하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통계청을 비롯한 여러 기관의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앞으로 계속 필요함을 지적하는 것으로 이 글을 정리하고자 한다.
〈참 고 문 헌〉
(1) 기업은행, 『기은조사』, 2000. 봄.
(2) 노동부, 『노동력수요동향조사보고서』, 1999.
(3) ______, 『매월노동통계조사보고서』, 1999. 12.
(4) ______, 『제조업고용동향전망조사보고서』, 1997.
(5) 대한상공회의소, 『기업경기전망조사보고』, 2000. 2/4분기.
(6) 大韓印刷工業協同組合聯合會, 『1998年度 全國組合員業體 基本實態調査報 告書』, 1999.
(7) 대한출판문화협회, 『1999 한국출판연감』, 1999.
(8) 디자인하우스, 『한국디자인연감』, 1997.
(9) 산업자원부, 『디자인 센서스 조사연구』,한국산업디자인진흥원, 1998.
(10) 산업자원부·한국산업디자인진흥원, 『제조업 디자인 투자실태 조 사결과』(디자인투자실태조사결과보고서), 1999.
(11) 영화진흥위원회, 『영화연감』, 1999
(12) (財)新映像産業推進センタ, 『新映像産業白書』, 1999.
(13) (주)제일기획, 『'98 광고연감』, 1998.
(14)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중소기업경영실태 및 동향』, 1999. 4/4분기.
(15)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 1997.
______,『광공업 통계조사보고서』, 1999.
______,『도소매업 통계조사보고서』, 1999.
______,『도·소매업 판매액지수』, 2000. 2.
______,『산업생산연보』, 1998.
______,『산업생산통계』, 1999. 12.
______,『산업 총조사보고서』, 1999.
______,『서비스업 통계조사보고서』, 1999.
______,『통계목록』, 1999.
(16) 국언론재단, 『1999/2000 한국신문방송연감』, 2000.
(17) 한국영상음반협회, 『한국 음반·비디오 연감』, 1999.
(18)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99년 정보통신산업통계연보』, 1999.
(19) Statistics Norway(SSB); http://www.ssb.no/
(20) Statistics Canada; http://www.statcan.ca/start.html
(21) Japan Statistics Bureau and Statistics Center; http://www.stat.go.jp/english/1.htm
(22)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Israel); http://www.cbs.gov.il/engindex.htm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3.12.24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03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