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서지능 감성지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서지능 감성지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가. 정서지능의 의미
(1) 정서지능의 개념
(2) 정서지능에서 “지능”의 의미
(3)정서 지능에서 “정서”의 의미

나. 정서 지능의 구성요소
(1) 정서의 인식과 표현(Appraisal and Expression of Emotion)
(가) 자아의 정서 인식과 표현 능력
(나) 타인의 정서에 대한 정서의 인식과 표현 능력
(2) 정서의 조절(Regulation of Emotion)
(가) 자아의 정서 조절 능력
(나) 타인의 정서에 대한 조절 능력
(3) 정서 지능 활용 능력(Utilizing Emotional Intelligence)
(가) 융통성 있는 계획 세우기(Flexible Planning)
(나) 창조적 사고(Creative Thinking)
(다) 주의집중의 전환(Mood Redirected Attention)
(라) 정서의 동기화(Motivating Emotion)

다. 정서 지능의 관련 변인에 대한 선행 연구
(1) 정서 지능의 발달 경향성
(2) 정서 지능과 지능 지수(IQ)와의 관계
(3) 정서 지능과 학업 성취와의 관계
(4) 정서 지능과 사회성과의 관계

본문내용

하기 위해서도 정서 지능과 IQ와의 관련성을 밝혀야 한다. 정서 지능이라는 특정하고 고유한 능력이 실제로 존재한다면, 기존의 지능이나 지능 검사와는 변별되어야 하며 독립적인 구인이라는 결과가 도출되어야 한다(Mayer & Salovey, 1990).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 하는 Block(1995)의 연구를 살펴보면, 정서 조절 능력, 정서인식 능력과 IQ는 서로 독립적인 구인이다 .이 연구는 정서 지능 전체와 IQ와의 관련성을 살펴 본 연구는 아니었다. 정서 지능이라는 개념보다 자아 탄력성(ego resilience)라는 개념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 개념의 주요 구성 요소는 정서적인 자기 조절(emotional self-regulation), 자극의 적응적 통제(adaptive impulse control)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 개념들은 정서 지능의 주요 구성 요소가 되므로, 자아 탄력성을 정서지능에 대한 대리적인 측정으로 사용할 수 있다(Goleman, 1995). 이 연구의 결과, IQ와 자아 탄력성간에는 아주 약한 정도의 상관이 나타났으며, 서로 독립적인 구인이라는 결과가 나타났다. 정서 지능과 내적 개방성(internal openness), 감정이입, 방어기제, IQ와의 관계의 대한 연구(Mayer & Salovey, 1995) 역시, 정서 지능과 IQ는 서로 상간이 없으며 독립적인 구인이라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 분야의 연구를 정리해 보면, 정서 지능은 IQ와 상관이 없거나 상관이 나타나더라도 미미한 수준인 것으로 보인다.
(3) 정서 지능과 학업 성취와의 관계
지능과 지능 지수(IQ)라는 개념이 등장한 이래로 지금까지, 심리학자들은 지능을 가지고 학업 성취와 사회적 성취에 대해서 어느 정도 예언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정해 왔다. 그러나 지능을 측정하는 지능 지수(IQ)가 한정된 학업 성취를 진단하는데 그칠 뿐이므로 학교에서의 학습 능력을 예언하는 지표는 되지만 성인이 실제 사회 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보다 포괄적인 지적 능력을 예언할 수 없다는 비판이 계속 제기되었다(이성진, 1996).
정서 지능과 학업 성취도의 관계 연구는 정서 지능의 하위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Mischell(1990)은 4세 아동을 대상으로 아동의 정서 조절 능력을 측정하여 15년간 종단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정서 조절 능력과 학업 성취도는 정적인 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정서 인식 능력과 감정이입 능력도 학업 성취도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Mayer & Geher, 1996; Mayer, Salovey & Dipaolo, 1990). 이 연구에 따르면 자신과 타인의 정서에 대한 인식 능력이 높은 사람은 그 능력이 낮은 사람에 비해서 학업 성취도가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이입과 관련해서도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국내에서도 이와 유사한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정서 지능의 측면을 포함하고 있는 Gadner의 다중 지능(Multiple Intelligence)과 학업 성취도와의 관계 연구가 그것이다(류숙희, 1996). 이 연구에서 7개의 다중 지능 중 대인 지능과 학업 성취도의 상관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r=46). 이는 대인 관계 기술이 뛰어나고 사교성이 있으며, 대인간의 갈등을 잘 해결하는 능력과 학업 성취도는 정적인 상관이 있음을 말한다. 정서 지능의 개념은 다중 지능 중에서 대인 지능의 개념에서 출발했으며(Mayer & Salovey, 1990; Goleman, 1995). 대인 지능의 개념은 정서 지능의 하위 구성 요소 중 정서 조절 능력, 정서 활용 능력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들을 정리해 보면, 정서 지능 구성 요소들의 일부는 학업 성취도와 유의미한 관련이 잇는 것으로 보인다.
(4) 정서 지능과 사회성과의 관계
정서 지능은 자아뿐만 아니라 타인에게도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정서 지능이 높은 사람은 사회성이나 대인 관계 기술도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Cacipppo, 1991; Hatch, 1990), Hatch는 대인 관계 기술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은 아동과 청소년을 관찰한 결과, 대인 관계 기술이 뛰어난 아동은 타인의 감정을 쉽게 알 수 있고, 타인의 감정에 대해서 적절하게 반응할 줄 알았다. 또한 타인의 얼굴 표정에서 정서를 읽을 수 있고, 타인의 감정이나 동기, 관심(interest)에 대해서 쉽게 통찰할 줄 알았다(1990).
또한, 사회적 능력에서 중요한 것은 자신의 감정을 적절하게 표현하는 기술이라는 주장(Goleman 1995)도 있는데, 이는 자신의 감정을 타인에게 표현함으로써 타인의 감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즉시적인 효과를 보이기 때문이다.
비언어적인 단서를 통찰해내는 능력에 대해서 광범위한 연구를 했던 Rosenthal(1977)은 타인의 감정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단서를 파악하는 능력이나 감정이입의 능력은 학교나 사회 생활에 보다 잘 적응하게 한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비언어적인 단서를 통해서 타인의 감정을 읽는 능력은 적응력, 사교성, 친밀성, 타인의 감정에 대한 민감성, 사회성 등과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감정이입 능력이 뛰어난 사람은 자신과 타인의 정서에 대해서 정확한 평가와 표현을 하며 사회 생활에 적응적인 방법으로 정서를 조절한다는 연구 결과(Mayer & Salovey, 1990) 역시 정서 지능과 사회성의 관계에 대한 시사를 준다.
참고문헌
1. 강신복, 강용호(1999), 체육행정학. 보경출판사
2. 강신복(1987), 체육과 교육 Ⅰ. 서울: 방송통신대학 출판부
3. 강신복(1993), 체육교육과정이론. 서울 : 보경문화사.
4. 곽윤정(1997), 정서지능의 발달경향성과 구인타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 논문
5. 김언주(1996), "EQ의 의미 인성과 창의성교육을 위한 새로운 도전", 학교경영, 28(6) 27-31
6. 문용린(1997), EQ가 높으면 성공이 보인다. 서울 : 글이랑
7. 황정규(1995), 인간의 지능, 서울 : 민음사
8. 황태호(1997), 감성지능(상)(하), 서울 : 비젼코리아.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4.01.18
  • 저작시기200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20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