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2. 본론
3. 결론
본문내용
서로 달라 보이는 문학 역시 모두 그것을 읽는 사람들에게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렇다면 권력을 지지 옹호하는 문학을 단순히 나쁜 관점에서 만으로 세속적이다, 문학의 순수성을 잃었다고 할 수 있을까? 권력이나 사회 체제에 회의적이며 개혁, 대립하는 문학을 더 좋은 문학이라 할 수 있을까? 문학은 단순히 글을 쓰는 것에 불과 할지도 모른다. 한쪽 관점이 너무 세속적이고 권력의 비호 속에 사람들을 조장한다고 해서 나쁜 문학이라고 할 수도 없고, 또한 민중, 항쟁 문학 등의 권력과 대립하는 문학이 더 문학적인 순수성을 가졌다, 진정한 문학이라고 주장 할 수도 없을 것이다. 문학이 단순히 권력이라는 현실을 돕거나 반대하는 존재의 의미만을 가지는 것도 아닐 것이다. 문학과 권력의 관계는 문학 자체의 관점문제만이 아니라 그 문학을 쓴 글쓴이의 주변상황, 신념, 사상 등에 따라 정해지는 것이며 이것을 읽는 독자의 평가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고 본다.
이번 발표에서 우리는 문학과 권력을 외적인 방법으로 비교해 보았지만 문학을 권력과의 관점에 따라 비교해서 읽을 것이 아니라 문학 자체로 경험하고 수용해보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번 발표에서 우리는 문학과 권력을 외적인 방법으로 비교해 보았지만 문학을 권력과의 관점에 따라 비교해서 읽을 것이 아니라 문학 자체로 경험하고 수용해보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추천자료
일본의 중세문학
김동인의 문학적 활동과 경향
[영미문학 페이퍼] 패치아담스Patch Adams - 진정한 삶의 추구
[영미문학배경의 이해][A+받은 독후감]오이디푸스를 읽고서-오이디푸스에 담긴 고대 그리스인...
북한의 문학
황석영 문학에서의 비주류 의식
서얼의 문학적 전개 양상
[남북한현대문학사A+] 북한 주체 시대의 영도사 총서 『불멸의 력사』작품분석
최치원의 문학
[중세르네상스영문학] The Merchant's Tale(상인의 이야기) _ Geoffrey Chaucer(제프리 초서) 저
현대 문학의 위상
현대사회에서 문학의 위상
건국이후 중국문학의 발달과정에서 사회주의 현실주의에 대한 해석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