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담에 나타난 우리 언어 문화 - 민족성과의 관련성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속담에 나타난 우리 언어 문화 - 민족성과의 관련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사람과 삶에 관한 속담과 우리 민족성과의 관련성

3. 가정생활과 여성에 관한 속담과 우리 민족성과의 관련성

4. 경제생활에 관한 속담과 우리 민족성과의 관련성

5. 유교문화에 관한 속담과 우리 민족성과의 관련성

6. 언어에 관한 속담과 우리 민족성과의 관련성

7. 마무리지며

본문내용

있다.) 여기서 또 다른 특성을 하나 더 제시 하자면 '한국 속담에는 상스런 표현이 많다'는 것을 말 할 수 있다. 예컨대 '열녀전 끼고 서방질한다,' '종년 간통은 누운 소타기'등 우리는 남녀의 부정을 원색적으로 표현하였다. 이러한 속담의 외설적 언어는 상민들의 고달픈 상황을 반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렇게 우리의 속담이 솔직하고 담대하게 표현된 원인은 서양 속담이 주로 철학자 성직자, 정치가들의 인생철학을 반영해, 위에서 아래로 전파된 반면 우리 속담은 민중의 입에서 생겨나 입에서 입으로 귀에서 귀로 구전 또는 이전된 까닭이다.
속담은 잡초처럼 솟아난 민초의 예지를 담은 대중문화의 야사, 사회사이며, 지역과 계층, 성별에 따라 조금씩 표현을 달리하며 번득이는 재치와 해학으로 가히 삼라만상을 어우르는 언어예술이자, 인간사의 원리와 이치를 비유한 속 깊은 말장난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1. 김사엽, 〈속담론〉, 서울, 대건출판사, 1953
2. 최근학, 〈속담사전〉, 서울, 경학사, 1972
3. 김선풍, 〈속담에 나타난 민족성〉, 한국민속학 5집, 1972
  • 가격7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4.02.02
  • 저작시기2004.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26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