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의 식민통치와 이에 대한 민족해방운동 및 항일무장투쟁에 관한 사실적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제의 식민통치와 이에 대한 민족해방운동 및 항일무장투쟁에 관한 사실적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1장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1. 일제의 무단통치와 식민지체제
2. 수탈을 위한 토지조사와 농민층의 몰락
3. 무단통치하의 민족운동
4. 1919년 3․1운동

제2장 일제의 기만적 문화정치와 민족해방운동
1. `문화정치`와 민족분열 책동
2. 산미증식계획과 식민지 자본주의의 이식
3. 민족주의운동의 분화와 전개
4. 사회주의운동의 등장과 민중들의 저항

제3장 전시하 일제의 수탈과 항일무장투쟁
1. 일제의 전시체제와 식민지 수탈정책
2. 민족개량주의운동의 확산과 친일파의 활동
3. 나라 안의 민족해방운동
4. 항일무장투쟁

본문내용

혁명적 농민조합운동
① 일제의 전시체제에서 사회주의자들의 일부는 공장, 광산, 농촌으로 들어가 혁명적 노동 조합과 농민조합을 활발히 조직
② 혁명적 노동조합운동(비합법적인 비밀결사)
ㄱ. 대규모 중화학공장이 들어선 평안도와 함경도에서 주로 발생
ㄴ. 튼튼한 혁명적 노동조합과 농민조합을 만드는데 역점을 둠
* 태평양 노동조합사건, 적색노동조합활동, 적색노조 원산좌익위원회 결성 등
③ 혁명적 농민조합운동
ㄱ. 청년동맹, 여성동맹, 소년동맹 등을 편입하여 결성
ㄴ. 야학과 독서회, 강연회 등을 통해서 농민들의 민족의식과 계급의식 일깨움
ㄷ. 전국각지에서 할발히 벌어짐(함경북도 명천의 혁명적 농민조합 운동이 대표)
④ 1930년대 말에 일제의 탄압으로 사라져 갔지만 해방직후 건국운동의 밑거름이 됨
2) 국학운동과 건국동맹
① 국학운동
ㄱ. 안재홍, 정인보 등과 함께 정약용의 <여유당전서> 편찬사업을 펼치며 일제의 황민화 정책에 대응
ㄴ. 한글학자들은 조선어학회를 만들어 우리말을 연구하고 대중에게 보급
* 일제는 조선어학회사건(1942)을 일으켜 탄압하자 이윤재는 감옥, 박두진은 붓을 꺾 고 침묵으로 저항
② 건국동맹
ㄱ. 여운형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비밀조직체로서 해방을 준비
ㄴ. 일제의 패망이 빨리 옴으로서 건국동맹의 계획은 실현되지 못했지만 해방직후 들어 선 건국준비위원회의 대중적 토대가 됨
4. 항일무장투쟁
1) 재만조선인의 항일무장투쟁
① 1937 ∼ 1945년에는 중국과 만주를 중심으로 항일 무장투쟁이 활발
② 조선혁명군(양세봉) - 중국의용군과 힘을 합해 일본군과 치열한 전투
③ 한국독립군(이청천) - 동만주 지역에서 중국군과 연합하여 쌍성보전투, 대전자령전투 에서 큰 승리
④ 간도의 조선 농민과 사회주의자들이 결합하여 '추수폭등' '춘황투쟁'을 벌임
⑤ 항일유격대는 만주 지역의 유격대를 동북인민혁명군으로 통일하고 8곳에 해방구를 세 우고 토지개혁 등 사회개혁 실시
* 동북인민혁명군은 동북항일연군으로 확대 개편
⑥ 조선인 항일유격대 - 보천보전투 승리가 대표적인 것
* 조국광복회 조직 - 동북항일연군 제2군이 국경지대로 옮겨와 반일민족통일전선을 실현하고 독립적인 인민정부를 수립할 목적으로 조직
* 혜산진사건 - 유격대토벌에 힘을 기울여 조국광복회 국내조직원 수백명 검거 사건
2) 조선의용대와 조선의용군
① 1931년 일제가 만주를 침략하는 사건이 일어나면서 조선인들 사이에는 중국 관내의 모 든 항일세력은 통일되어야 한다는 여론이 일기 시작
② 한국대일전선통일연맹 결성(1932) : 의열단, 한국독립당, 조선혁명당 등의 연합
민족혁명당 결성
③ 조선민족전선연맹 결성(1937) : 민족혁명당, 조선민족해방운동자동맹, 조선혁명자동맹과 연합 조선의용대 창설
* 조선의용대 - 중국 화북지방에서 여러 차례 항일전을 치룸
④ 화북조선청년연합회 결성 : 최창익, 허정숙, 무정 등과 조선의용대가 결성
⑤ 화북조선독립동맹 : 김두봉 등 민족주의자와 화북조선독립동맹과 연합
* 조선의용대는 조선의용군으로 이름 변경하고 일제가 망한 뒤 북한으로 들어가 인 민군으로 편입
3) 중경 임시정부와 한국광복군
① 임시정부는 1932년 운봉길의사의 상해 의거로 새로운 활기를 찾기 시작
② 김구, 조소양 등은 민족혁명당을 탈당하고 한국국민당 조직(1935. 11)
③ 임시정부는 민족혁명당에서 탈당한 조선혁명당과 한국독립당의 일부세력과 연합하여 한국광복운동단체연합회 결성(1937. 8)
* 중국 관내 항일단체는 조선민족전선연맹(민족혁명당 중심)과 한국광북운동단체연합 회(한국국민당 중심)으로 양분
④ 임시정부는 중경에 자리를 잡고(1940), 한국국민당, 조선혁명당, 한국독립당 등 3당은 한국독립당으로 합당(1940)하여 임시정부(김구가 주석) 강화
* 한국독립당 - 일제의 패망에 대비하여 '건국강령' 발표(1941. 11)
⑤ 김원봉의 조선민족전선연맹이 임시정부에 합류로 중국 관내 독립단체의 통일
⑥ 임시정부의 한국광복군 창설(1940. 9)
ㄱ. 화북 지방으로 가지 않은 조선의용대 참여와 국민당의 군사원조로 군대 모습 갖춤
ㄴ. 임시정부가 중국국민당정부와 맺은 '한국광복군 행동준승 9개항' 때문에 독자적 군사 행동권을 갖지 못함
ㄷ. 일본에게 선전포고(1941. 12)를 하고 영국군의 요청으로 인도·미얀마전선에 8명의 공작대를 파견하고 미국과 합동작전도 꾀함
⑦ 일제가 패망하면서 임시정부와 한국광복운은 미·소 당사국 두 나라로부터 아무런 인 정을 받지 못하고 개인자격으로 조국에 돌아옴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4.02.04
  • 저작시기2004.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26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