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제품 기초
1. 류마티스 관절염의 병태생리
2.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
3. DMARDs
[2] 부믹 정
1. 제품개요
2. 기타 유사약물과 비교
1. 류마티스 관절염의 병태생리
2.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
3. DMARDs
[2] 부믹 정
1. 제품개요
2. 기타 유사약물과 비교
본문내용
1. 류마티스관절염의 병태생리
면역세포들과 싸이토카인의 반응을 통하여 류마토이드인자 등이 생성되어 면역복합체가 작용하므로써 면역반응이 관절 및 연골조직의 파괴 형태로 나타난다.
2.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
◎ 류마티스관절염 치료원칙
통증과 염증을 억제하고 관절의 기능소실을 최소화하여 정상 생활로 복귀하는데 치료의 목표
치료의 종류
일반 보존적 요법 및 환자 질병에 관한 교육
약물요법
수술요법
2-1. 일반 보존적 요법
질환이 매우 심하거나 특별한 합병증이 발생한 경우에, 석고부목 고정, 관절의 운동, 적절한 영양공급, 물리치료, 휴식, 열 치료, 전기 치료, 적절한 운동 등을 시행한다.
2-2. 약물 요법(1)
◎ 원칙적인 약물요법 단계 요약
1 단계 : 아스피린 &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2 단계 : 저용량 경구 스테로이드제
3 단계 : 항류마티스제(DMARDs)
4 단계 : 관절내 스테로이드제 주사
2-2. 약물 요법(2)
합성부신피질호르몬제(Corticosteroids)
가능한 한 소량의 스테로이드 요법(5-10mg 1회/일)
류마티스 환자에서 관절 손상을 늦추며, 프레드니손 .5mg/day 이하의 용량에서는 골다공증의 빈도가 증가하지 않는다는 보고가 있다.
고용량 스테로이드 요법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가 전신 증상으로 신경증, 혈관염, 늑막염, 심막염, 공막염이 있을 때에 사용한다.
2-2. 약물 요법(3)
항류마티스제
(DMARDs, Disease Modifying Anti-Rheumatic Drugs)
: 질병의 진행을 억제하는 약물
소염제는 근본적인 질병의 진행을 막지 못하며, RA는 질병 초기에 관절의 손상과 변형이 오기 때문에, 의사의 확진이 내려진 후 가능한 한 빨리 항류마티스제를 병용사용해야 한다.
항류마티스제는 투여후 수주-수개월이 경과해야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하므로 초기에는 소염제와 함께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양한 부작용에 대비하여 정기적인 추적검사(모니터링)가 필요하다.
2-2. 약물 요법(4)
약제 병용투여 치료
가급적 부작용을 줄이고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여러 약제를 병용투여하는 방법이 소개되어 methotrexate와 hydroxychloroquine, methotrexate와 sulfasalazine, gold와 hydroxychloroquine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런 항류마티스제들은 이미 오래 전에 개발되었고 국내에서도 제품 생산이 부분적으로 가능하여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다.
3-3. 수술요법
약물요법이 효과가 없을 때 고려해야 하며, 수술의 목적은
1) 통증완화
2) 기능개선
3) 변형된 관절형태 교정
이다.
면역세포들과 싸이토카인의 반응을 통하여 류마토이드인자 등이 생성되어 면역복합체가 작용하므로써 면역반응이 관절 및 연골조직의 파괴 형태로 나타난다.
2.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
◎ 류마티스관절염 치료원칙
통증과 염증을 억제하고 관절의 기능소실을 최소화하여 정상 생활로 복귀하는데 치료의 목표
치료의 종류
일반 보존적 요법 및 환자 질병에 관한 교육
약물요법
수술요법
2-1. 일반 보존적 요법
질환이 매우 심하거나 특별한 합병증이 발생한 경우에, 석고부목 고정, 관절의 운동, 적절한 영양공급, 물리치료, 휴식, 열 치료, 전기 치료, 적절한 운동 등을 시행한다.
2-2. 약물 요법(1)
◎ 원칙적인 약물요법 단계 요약
1 단계 : 아스피린 &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2 단계 : 저용량 경구 스테로이드제
3 단계 : 항류마티스제(DMARDs)
4 단계 : 관절내 스테로이드제 주사
2-2. 약물 요법(2)
합성부신피질호르몬제(Corticosteroids)
가능한 한 소량의 스테로이드 요법(5-10mg 1회/일)
류마티스 환자에서 관절 손상을 늦추며, 프레드니손 .5mg/day 이하의 용량에서는 골다공증의 빈도가 증가하지 않는다는 보고가 있다.
고용량 스테로이드 요법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가 전신 증상으로 신경증, 혈관염, 늑막염, 심막염, 공막염이 있을 때에 사용한다.
2-2. 약물 요법(3)
항류마티스제
(DMARDs, Disease Modifying Anti-Rheumatic Drugs)
: 질병의 진행을 억제하는 약물
소염제는 근본적인 질병의 진행을 막지 못하며, RA는 질병 초기에 관절의 손상과 변형이 오기 때문에, 의사의 확진이 내려진 후 가능한 한 빨리 항류마티스제를 병용사용해야 한다.
항류마티스제는 투여후 수주-수개월이 경과해야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하므로 초기에는 소염제와 함께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양한 부작용에 대비하여 정기적인 추적검사(모니터링)가 필요하다.
2-2. 약물 요법(4)
약제 병용투여 치료
가급적 부작용을 줄이고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여러 약제를 병용투여하는 방법이 소개되어 methotrexate와 hydroxychloroquine, methotrexate와 sulfasalazine, gold와 hydroxychloroquine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런 항류마티스제들은 이미 오래 전에 개발되었고 국내에서도 제품 생산이 부분적으로 가능하여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다.
3-3. 수술요법
약물요법이 효과가 없을 때 고려해야 하며, 수술의 목적은
1) 통증완화
2) 기능개선
3) 변형된 관절형태 교정
이다.
추천자료
[의학] 뜸의 효능과 뜸요법
경피신경전기자극치료
현대인에게 나타나는 성인병과 대처방안
임상병리 검사 및 특수검사와 간호
근골격계 장애 대상자 간호
달맞이꽃종자유와감마리놀렌산
자가면역질환 정리
[간호학]데일리OS
근골격계병태생리
임상검사 임상적 의의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추간판탈출증 HIVD 성인간호학 A+ case study
백혈구대상자간호,호중구감소증, 백혈병, neutropenia, leukemia, 백혈병치료, 백혈병간호
[신장질환] 신장질환의 종류와 증상 및 치료방법 - 신염(급성사구체신염, 만성사구체신염, 네...
[간호학] 백혈구 장애 대상자 간호 (호중구감소증 & 백혈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