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비평의 의미와 그 과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술비평의 의미와 그 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감상과 비평
2. 미술 비평의 의미
3. 우리나라 미술비평의 현실

Ⅱ. 본론
1. 펠드먼의 미술비평 4단계와 그 내용 및 지도 방법
1) 기술(記述)단계
2) 분석단계
3) 해석단계
4) 판단단계
2.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 이론
1) 비평적 담화와 비평적 탐구
2) 미술비평 학습의 모델로서의 비평적 탐구
●<탐구단계와 비평적 탐구 단계>(▶표로 제시)
3) 학생들의 개인적 반응을 촉진하기 위한 질문
4) 비평적 탐구를 위한 학급 토론의 방법
5) 학생들의 개인적 반응에서 작품의 예술적 의도로 이동
6) 학급 토론에 대하여 결론 내리기
7) 비형식적인 짧은 글과 에세이 쓰기
3. 기타 미술비평 단계
1)미틀러(G.A Mittler)
2)앤더슨(T. Anderson)
4. 검토 및 시사점
1) 펠드먼의 단계에 비평의 유형을 도입해 본다는 것에는 두 가지 의미가 있다.
2) 비평적 담화(펠드먼)와 비평적 탐구(게히건)의 비교

Ⅲ. 결론

본문내용

: 작품의 미술적 양식을 결정하기 위하여 유사 작품과 비교
-판단 : 역사적 전개에 있어서 그 작품의 중요도를 결정
④ 최종적인 결정 내리기 - 교사에 있어서나 학생에 있어서나 영구불변의 것이 아 니고 체험을 통해 변화해 가면서 작품에 관해서 지적인 결정을 내리게 되며 다시 작품 그 자체나 주변의 정보를 담보로 해서 자기 결정을 정당화한다.
2)앤더슨(T. Anderson)
특징 : 학과중심 미술교육에서의 미술비평(페드먼, 브라우디, 그리어)은 전문가들이 행하는 미술비평과는 다르다는 지적이 많다. 학생은 미술비평가의 역할 수행을 모델로 삼 을 수 있다. 학생은 전문적인 미술비평가는 아니지만 미술비평가란 전문가가 작품 의 의미와 가치를 판단하기 위하여 연구하고 글을 써서 타인과 교감하려는 작업은 학생들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견해를 반영한 것이 앤더슨의 교육적 미술비 평 이론이고 단계이다.
단계 : ① 반응 단계의 조작 - 작품을 처음 보고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반응의 단계
② 지각 분석 단계의 조작
-재현 : 흥미를 끌고 눈에 띄는 특징을 말로 재현
-조형상의 분석 : 형과 형의 관계나 형과 테마의 관계 발견
-조형상의 특징 지우기
③개인적인 해석 단계
④작품을 둘러싼 상황의 검증 - 작품에서 얻은 정보보다는 작품에 대한 정보 다룸.
⑤종합
-해결 : 개인적인 해석과 상황의 검증에 있어서 결정된 전문가의 해석을 참고로 하여 해석을 분명히 함.
-평가 : 표현주의, 형식주의, 모방주의, 실용주의, 개념주의 등의 이론을 적용.
4. 검토 및 시사점
1) 펠드먼의 단계에 비평의 유형을 도입해 본다는 것에는 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수용자 개인이 하나의 미술작품을 감상할 때 기술, 분석, 해석, 판단과 같은 단계에 따라 순차적으로 보든, 과정 상호간의 유기성을 고려하여 감상하든, 그런 과정을 밟아간다는 것은 실제상 하나의 방법으로 이용해도 별 허물이 없을 것이다. 어떤 작품을 감상할 때 수용자 내면에서 일어나는 비평적인 의식의 전개는 각 비평방법의 성격과 기능에 의존하여 흘러갈 수도 있기 때문이다.
둘째, 학생들의 비평학습에서 펠드먼의 단계에 비평의 여러 유형들을 도입해본다는 것은 학생들이 미술비평 학습을 경험할 때 하나의 방법이지, 반드시 이런 과정을 겪어야 한다는 경직된 생각은 피해야 할 것이다. 만약 교사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미술비평 학습을 전개해 나갈 때 특정한 어떤 과정을 적용하지 않고 자유롭게 진행시켜 나간다고 하더라도 그런 과정과 그런 비평양식을 의식하면서 자유자재로 채용해서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데 의미가 있다.
2) 비평적 담화(펠드먼)와 비평적 탐구(게히건)의 비교
첫째, 비평적 탐구는 탐색하고 발견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진다. 이에 비해 비평적 담화에서는 말하기와 쓰기를 통해 해석하고 평가하는 활동이 주가 된다. 둘째, 비평적 담화가 '직선적인 과정'으로 진행되어 마지막 단계인 평가단계로 학습이 마무리되는데 비해, 비평적 탐구는 '순환적 과정'이다. 셋째, 비평적 탐구는 작품의 비평에 관한 전문화된 지식과 배경 정보를 확실히 연구하는 시도들을 포함한다. 비평가는 작품을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서 작가의 전기나 작품 생산에 관한 맥락적인 지식들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에 관하여 그들 자신이 깊이 있게 연구한다. 이와 같이 관련 지식을 획득하기 위하여 연구한다는 것은 탐구과정의 본질적 한 요소로 고려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작품을 보고 여러 가지 특성을 이야기한다는 것은 이런 본질적 요소가 결여될 것은 물론이거니와 작품을 이해하기 위해서도 불충분한 것이다. 넷째, 비평적 탐구는 공동체의 노력이다. 그에 비하여 직선적인 비평적 절차는 학생들이 사고를 바꾼다거나 다른 사람의 의견을 묻는다거나 서로 공동으로 연구할 기회를 거의 주지 못한다.
그러나 실제 학교 현장에서 미술의 감상과 비평학습을 위하여 하나의 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지 펠드먼의 담화론과 게히건의 탐구론을 두고 계속 논쟁하려는 데 의의를 두고 있지는 않다. '비평적 담화'와 '비평적 탐구'는 어느 한쪽만도 아니고 두 모델의 장점을 상호보완적인 입장에서 취해야 한다. 다시 말하면 교수-학습 과정은 학습 전개의 특수성에 의거하여 '단계론'을 수용하고 과정상의 지도원리는 '탐구론'을 반영하도록 한다.
Ⅲ. 결론
우리는 앞에서 미술비평의 의미와 그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아직은 우리에게 미술비평이 그리 쉽게 다가오지 않는 것이 사실이다. 사람들은 저마다 작품을 보고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말하곤 한다. 그러한 것들은 거의가 사람 개개인의 주관적 선호도에 따른 단편적이면서도 감상적인 반응이며 그러한 것이 미술비평이 될 수는 없다. 그만큼 우리가 미술작품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 눈을 가진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미술비평을 하기 위해서는 작품을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안목이 필요하다. 단순히 형(形)과 색(色)과 구도(構圖)의 차원이라고 하는 조형적 요소들에 대한 기술적 측면의 달통한 안목만 가지고는 부족하다. 물론 미술비평에 있어서 조형적 요소들에 대한 이해는 기본적인 것이다.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비평이 이루어 질 수 없다. 왜냐하면 하나의 미술 작품은 그것을 창조한 작가의 전인격(全人格)의 소산이기 때문이다. 즉 삶의 제반요소들이 총체적으로 참여하여 조형언어로써 표출된 것이 미술작품인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작가 개인의 삶의 총체적 성격을 보다 깊게 바라보면, 거기에는 한 개인의 것이라 말할 수 없는 시대의 저변을 지배하고 흐르는 거대한 정신적 분위기를 감지하게 된다. 그것은 예술가의 정신이 세계와 우주의 정신의 반영체로서도 작용하기 때문이다. 미술비평은 이와같이 다양한 제반요소들을 넓고 깊게 통찰할 수 있어야 한다.
참고문헌 ----------------------------------------------
1. 김춘일(1984).『미술교육론』. 서울 : 홍성사
2. 노재우(1982).『미술교육론』. 서울 : 학우사
3. 리샤르, 백길수, 최민(1980).『미술비평사』. 서울 : 열화당
4. 임두빈(1996).『미술비평이란 무엇인가』. 서울 : 서문당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4.02.09
  • 저작시기2004.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28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