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비평의 유형과 미술비평교육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술비평의 유형과 미술비평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언

Ⅱ. 미술비평의 유형과 미술비평교육
1. 미술비평의 유형
1) 다케우치 도시오
2) 스톨니츠
3) 임두빈
4) 리사르
5) 펠드먼
6) 월프
2. 미술비평교육

Ⅲ. 교육적 미술비평의 과정과 그 연구
1. 펠드먼의 미술 비평 단계
2. 펠드먼의 비평단계
3. 브라우디와 그리어의 미적 정사 단계
4. 미틀러의 비평과 감상지도 단계
5. 앤더슨의 ‘교육적 미술비평’의 모델
6.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 이론

Ⅳ. 미술비평 학습의 모델로서의 ‘비평적 탐구’
1. 학생들의 개인적 반응을 촉진하기 위한 질문
2. 비평적 탐구를 위한 학급토론의 방법
3. 학생들의 개인적 반응에서 작품의 예술적 의도로 이동
4. 학급 토론에 대하여 결론 내리기
5. 비형식적인 짧은 글과 에세이 쓰기

Ⅴ. 교육적 미술 비평 과정의 탐구와 그 지도 방법
1. 존슨 M.H. Johnson의 비평
2. 현장 적용방법의 탐구-‘비평적 담화’와 ‘비평적’탐구‘의 조화
3. 미술비평의 교수-학습
4. 미술작품의 양식에 관한 지도
5. 미술비평과 자료로서의 작품

Ⅵ. 비평 작품에 대한 다양한 반응의 촉진 방법
1. 작품에 대한 개인정 반응을 위한 촉진 방법
2. 형식 분석 단계에서의 반응 촉진 방법
3. 다양한 해석적 반응을 위한 촉진 방법

Ⅶ. 미술 비평 학습과 교사의 역할

Ⅷ. 결언

본문내용

구나 그룹 학습의 전개는 도서관을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탐구 의욕을 크게 고취시킬 수도 있는 경험이 제공된다. 도서관 학습은 다양한 형태로 전개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개별적인 과제를 갖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혼자 도서관을 찾아 자기 문제의 해별을 추구하게 할 수도 있고, 교실 학습을 마치고(분석단계까지) 해석을 내리기 위한 자료를 얻기 위하여 전체가 학교 도서관을 찾을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프로젝트 학습 형태로 그룹별로 자유로이 도서관을 이용 탐구한 뒤 학급 전체에 보고하도록 하는 등 여러 가지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작품의 의미를 해석하기 위하여 도서관에서 얻어야 할 단서 자료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다.
작가의 생애
작품의 제작의도, 에피소드
작품의 시대, 사회적 배경
미술사가나 비평가들이 해설해놓은 자료
같은 작가의 다른 작품 살펴보기
같은 시대 다른 작가의 작품과 비교
미술사의 연표 등에서 작가와 작품의 위치 확인
작가에 대한 문헌들
Ⅶ. 미술 비평 학습과 교사의 역할
비평적 탐구 학습에서 교사는 판단자가 아니라 촉진자의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을 알았다. 학생들이 미술작품이 갖고 있는 미적 특질을 발견해내기 위하여 여러 측면에서 탐색하거나 질문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화하고 토의할 때 교사는 무엇을 할까. 예술을 가르치는 교사의 역할에 대해서 알아보자.
첫째. 교사는 학생들이 한 이야기를 기억해주고 주의 깊게 들어줌으로써 더욱 적극적이며 주체적인 비평 활동으로 고무시켜야 한다. 어린이들은 때때로 다른 어린이들에 의해 말해진 평가를 선생님을 통해 확인하려 한다. 만약 선생님으로부터 승인을 받지 않으면 다른 어린이가 말한 것을 무시할 지도 모른다. 어린이들은 선생님의 '좋다'는 한 마디에 감명을 받을지도 모른다. 이러한 배려가 무시될 때 학생들의 눈은 작품으로부터 떠나버리고 말 것이며 대화는 더 이상 심화 진전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학생들의 대화가 핵심을 벗어날 때는 바로잡고 토의 주제에 초점을 맞추도록 도와줄 수도 있을 것이다.
둘째, 교사는 학생들에게 미술 비평가로서의 모습을 보여야 한다. 아이스너는 미술 수업에서 교사가 비평적인 활동을 하고 있을 경우 교사 자신은 교육적으로 중요한 모델로서 연출하고 있다고 하였다. 이른바 '암묵적 효과'를 의미하는 것이다. 옛날의 도제제도에서와 같은 효과이다. 펠드먼도 「비평가로서의 교사」란 글에서 교사가 할 수 있는 중요한 사실은 비평적인 행동을 학생들에게 시범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하였다.
셋째, 비평학습에 임했을 때 교사는 학생들에게 작품에 대한 기술적이며 분석적인 반응을 이끌어내기 위하여 여러 가지로 계획된 질문들을 할 수 있다. 소크라테스의 방법인 '질문법(대화법)'으로 초등학생들뿐만이 아니라 유치원 어린이들에게도 할 수 있다고 하였다.
넷째, 학생들의 작품은 수집되고 보관되어지는 대상이 아니라, 탐구되고 토의될 수 있는 기대를 그들에게 갖도록 해주는 것이다. 학생들의 작품에 대하여 진지하게 이야기할 때 교사는 그들의 참된 세계와 만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섯째, 교사는 종합적인 경험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교사가 비평의 교수-학습에 필요한 어떤 형태의 지식이든 가진다는 것은 유용한 것이다. 아울러 삶에 대한 풍부한 경험, 실망과 절망, 희망과 사랑을 체험했으며 따뜻한 심정을 지닌 교사이어야 한다.
끝으로 좀 더 강조해서 언급해야 할 것이 바로 '자기 비평의 개방성'이다. 발렛은 비평가들은 언어에 의해 자기 관점을 독자에게 설득하려고 시도하지만 그것이 수정되는 데 대해 개방적이어야 한다고 했다. 스톨니츠도 비평가의 유연성을 강조했다.
이와 같이 비평은 다양한 의미와 가치를 내포하고 있는 미술작품에 대해 해석하고 가치 판단 하는 일에 있어서 제한적이거나 교조적이어서는 안 된다. 그 다양성은 인정함으로써 새롭고 다양한 의미와 가치를 발견해잴 때 예술작품의 의미와 가치는 더욱 풍부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교실은 비평적인 분위기가 허용되어야 하며, 예술 감상에 있어서 작품의 의미를 탐구하는 자유로움이 있어야 한다. 미술 비평 활동의 주체인 학생과 자극자여야 하는 교사 사이에는 언어적 기능을 매개로 한 대화가 역시 개방성과 유연성을 지녀야 한다.
Ⅷ. 결언
교사가 어린이에게 예술작품의 사회 문화적 배경과 조형적 특질을 잘 설명해 이해시킨다고 해서 미술 감상과 비평교육을 효과적으로 진행한다고 할 수는 없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미술감상은 지식이나 이해 중심의 교육으로 치우치기 쉬워서, 미술과 어린이 사이를 더 멀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진정한 미술감상과 비평 교육은 감상자인 어린이가 자기 나름으로 보고 느끼는 시각 체험을 풍부하고 충실하게 할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다. 그래서 어린이들이 보는 것에 관심과 흥미를 느낄 수 있게 배려하고 작품의 구석구석까지 즐겁게 관찰하고 탐구할 수 있게 전략을 강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교사는 어린이들이 미술작품 앞에서 가슴으로 느끼는 감성과, 예리하고 독창적인 눈으로 볼 수 있는 시각적 능력을 통합적으로 기를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여 적용해야 하는 것이다.
우리 아동들은 그동안 미술비평에 관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하지 못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시범적으로 분석적 감상 수업을 전개한 뒤에는 미술작품을 관찰하고 자신이 반응한 내용들을 훌륭하게 기술할 수 있다고 한다. 아이들의 비평문의 내용을 분석해보면 묘사적인 것과 해석적인 것도 있으며, 가치 평가적인 것, 혹은 내면화된 내용도 있을 정도로 훌륭하다. 이것을 근거로 우리는 만약 아동에게 미술비평에 관한 더욱 계획적인 프로그램을 적용해 지도하거나, 특히 비평에 관한 '글쓰기' 프로그램을 개발해 적용한다면 미술작품을 보는 눈이 더욱 더 심화될 것이며 훌륭한 비평문도 쓸 수도 있게 될 것이라고 강조한다. 우리의 이번 조사가 아이들의 미술 비평 교육에 미약하나마 도움이 될 수 있다면 하는 바램이다.
참고문헌 ----------------------------------------------
1. 미술비평 /A.리샤르, 백기수, 최민 역. 열화당
2. 미술의 이해/최병식/숙대출판부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4.02.11
  • 저작시기2004.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29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