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서 밀러(Arthur Miller)의 “시련(The Crucible)”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서 밀러(Arthur Miller)의 “시련(The Crucible)”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작가 연구
1) 아서 밀러(Arthur Miller)의 작품세계
2) 아서 밀러의 비극관

2. 작품 설명
1) 시대적 배경
2) 작품의 의의

3. 내용 및 주제 분석

4. 인물 분석

5. 중심인물 분석
● 애비게일 윌리암스의 구체적 인물 분석
1) 외모 및 신체적 특성
2) 대사언어
3) 행동
● 존 프락터의 구체적 인물 분석
1) 외모 및 신체적 특성
2) 대사언어

6. 프락터의 죽음을 통해 작가 Miller가 나타내고자 하는 비극적 승리

7. 프락터 외 Round Character로서의 등장인물 분석- 해일 목사와 엘리자베스

8. 연극과 영화

본문내용

로 중첩하여 결말에 이르기 때문에 자기가 어디에 어느 순간에 위치해 있는지 잘 알아야 한다. 그러나 영화 배우들은 자기가 연기하고 있는 부분이 그 영화의 어디에 해당하는지 전혀 모르고 있을 수 있다. 어느 때에는 사정에 따라 결말을 제일 먼저 촬영할 수도 있다. 따라서 연극 배우들은 자기의 능력을 집중해야 할 부분을 정확히 알고 연기를 해야 하지만 영화 배우들은 순간순간에 능력을 발휘해야 한다. 여기에서 영화배우들은 표현력만 있다면 최소한의 연극적 기교만으로도 연기를 잘 할 수 있게 된다.
연극 연출가와 영화 연출가도 상당히 다른 면이 있다. 자네티는 <영화의 이해(Understanding Movies)>에서 이 둘 사이의 차이점을 이렇게 말하고 있다.
연극에서 연출가란 본질적으로 해석작업을 하는 예술가인 셈이다. 만약 우리가 <리어왕>의 형편없는 공연을 볼 경우, 우리는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혹평하는 것이 아니라, 그 작품의 한 특정한 해석을 혹평하는 것이다. 연극에서 연출가는 동작의 패턴, 배우의 적절한 몸짓, 그리고 공간적 관계를 창조하지만, 이 모든 시각적 요소들은 극작가에 의해 창조되는 대본에서의 언어 다음에 위치를 정하는 2차적인 것이다. 원작과 연출가의 관계는 연극 배우와 자신의 역에 대한 관계와 같다. 연출가는 이미 쓰여진 것에 많은 것을 더할 수 있지만 그가 공헌하는 것은 보통 원작 그 자체에 대해 2차적인 것이다. 이를테면 작가에 의해 설정된 범위 내에서 일종의 즉흥극을 하는 것이다.
연극에서의 연출가는 작가와 제작진을 위한 일종의 중개인이다. 즉 연출가는 대본의 전반적인 해석을 책임지며, 여타의 해석을 하는 작업자들 - 배우, 디자이너, 기술자-에게 그 해석의 범위를 잡아 준다. 연출가는 또한 모든 제작요소들이 전반적 해석에 맞추어져 있는지 살펴야 한다. 연출가의 영향력은 실제 공연보다도 리허설 때 강해지는 경향이 있다. 실제로 관중들 앞에 일단 막이 오르면, 연출가는 무대에서 일어나는 일을 통제하는 데 무력하다.
반면 영화감독은 최종적 결과에 대해 훨씬 많은 통제력을 가진다. 영화감독 역시 제작 이전의 모든 활동을 지배한다. 그러나 영화감독이 성취할 수 있는 정확성의 정도를 연극에서 얻기란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영화감독은 사람과 대상물을, 정확히 그가 원하는 것을 얻을 때까지 다시 찍을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보았듯이 영화는 움직이는 영상을 통하여 주로 의사전달을 하며, 시각적인 요소의 대부분을 결정하는 것은 바로 감독이다. 쇼트의 선택, 앵글, 조명효과, 필터, 렌즈효과, 구도, 구성, 카메라의 움직임, 편집 등, 나아가서 감독은 의상, 세트의 디자인, 그리고 배경선택을 검토한다.
연극은 일회성을 면할 수 없기 때문에 연출가가 의도한 정확성을 위하여 새로운 시도를 할 수 없으나 영화는 그렇지 아니하다는 지적은 영화 <서편제>가 증명하고 있다. 등장인물들이 노래를 부르며 걸어가는 배경이 노래의 내용과 어울리지 않는다고 하여 임권택은 전국에서 상영이 끝난 필름에 그 부분을 새로 찍어 편집하였다. 이는 영화가 지닌 기계성과 편집의 장점을 이용한 것이다. 그런데 때로는 관객들이 이 편집으로 인하여 감독이 완성해 놓은 작품을 그대로 감상하지 못할 경우도 있다. 심의위원회에서 소위 말하는 가위질을 하더라도 앞뒤를 이으면 그대로 한편의 영화가 되기 때문이다. 이는 연극에서는 상상할 수도 없는 일이다.
이처럼 영화에서는 배우들의 연기와 촬영기술에 못지 않게 수준 높은 편집 기술이 요구되는데, 장면화한 필름을 이어진 사건 제시로 만들기 위해서는 극히 짧은 시간의 오차라도 배제해야 하기 때문이다. 흔히 말하는 영화에서의 볼거리 제공은 촬영 기술과 편집 기술의 조합으로 가능한 것이다. 넓은 바다나 사막의 풍경, 대규모의 인력동원 등은 연극에서 찾을 수 없는 영화의 강점이기도 하다. 또한 영화는 군중장면(mob scene)이나 등장인물들의 심리묘사 혹은 상상으로 가능한 것들을 관객들이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해 준다. 필름과 컴퓨터의 결합은 이러한 것을 영화의 최장점으로 꼽히게 하고 있다. 이에 반해서 연극은 좁은 무대에서 삶의 진실을 보여 준다. 관객들이 극장을 찾는 까닭은 배우들의 어깨 너머로 새로운 세계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땀을 흘리며 무대 위를 오가는 배우들의 연기는 자기가 맡은 바에 충실하려는 노력으로 받아들여진다. 그래서 무대 위의 연기에 충실하지 못한 배우는 연극을 계속할 수 없으며, 그러한 극단의 연극에는 관객들이 찾아오지 않는다.
영화는 촬영기나 영사기 혹은 음향기기의 사용을 통하여 연극이 가진 장면의 제한성을 쉽게 극복하고 있다.
연극
영화
공통점
1. 일정한 서사적 사건을 배우의 연기와 그들이 연기하는 배경을 통해 보여줌
2. 배우들의 연기를 통제하는 연출가나 감독의 존재가 있다.
3. 극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여러 가지 효과적인 장치의 동원
차이점
신체조건의 구애 거의 없음
신체 조건의 구애를 받음
장면이 시간적으로 중첩하여 결말에 이름
시간 순서에 관계없이 장면 촬영
연출가는 최종적 결과에 대한 통제력 부족
감독은 최종적 결과에 대해 많은 통제력 가짐
편집의 영향력 적음
편집기술 중요
실제적인 사실 묘사
상상적 장면 표현 가능
장면의 제한성
장면의 자유성
참고문헌 ----------------------------------------------
1 김정수, "밀러의 극작품 『시련』에 나타난 마녀사냥의 집단적 광기", 외대어문논 집 Vol.15, 2000.
2. 윤여복,, "현대 비극의 개념", 동아영어영문학 Vol.2, 1986.
3. 김정수, "현대 비극으로서의 The Crucible연구", 외대어문논집 Vol.4, 1988.
4. 황순향, "『시련』(The Crucible)에 나타난 권력과 주체의 양상", 신영어영문학13 집, 2000.
5. 김정수, "Suicide in The Crucible and After the Fall" , 외대어문논집 Vol 11. No.1, 1993
6. 이태주, 『교수의 연극론』, 새문사, 1998
7. 이홍우, 『연극의 이해』, 월인, 1999
8. 김일영, 『연극 총론』, 중문사, 1997
  • 가격1,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4.02.11
  • 저작시기2004.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30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