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스미디어 효과이론 - 탄환효과 이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 매스미디어 효과연구의 배경

Ⅱ . 본론
1) 탄환효과의 기본 가정
2) 바탕이 된 대중사회와 매스 미디어에 대한 견해
3) 탄환이론을 뒷받침한 역사적 배경
4) 탄환효과

Ⅲ . 결론

본문내용

는 결코 작다고 할 수 없다.
탄환이론의 실증적 연구사례로 「화성으로부터의 칩입」연구가 거론되고 그에 대한 비판 또한 제기되어 왔다. 그러나 특정 방송극으로 인해 청취자 7백만명 중 백만명이 보인 패닉현상에 대해 상반된 해석이 나오는 것은 효과의 개념과 관련하여 하나의 '착각'이 분명히 설명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방송국에서 방송내용은 실제상황이 아닌 허구라고 분명히 주지시켰음에도 불구하고 '백만명이나' 실제상황이라고 오인했다면 그것은 분명히 정상적인 효과라고 할 수 없는, 요컨대 메시지가 올바로 전달되지 않은데서 발생한 역효과이다. 더욱 우스운 것은 더 많은 수용자 6백만이 방송극이 실제상황이 아닌 허구로 '올바로' 알고 동요하지 않았다는 사실이 매스커뮤니케이션 효과가 작다는 논거인양 설명된다는 점이다. 방송극 「우주들의 전쟁」사례는 수용자의 정보습득원으로서 절대적인 지위를 갖는 매스미디어의 메시지가 왜곡수용될 때 나타날 수 있는 '잠재적인 파워'를 보여준 것이지 청취자들의 방송내용의 이해/오해 문제를 놓고 효과 자체의 大小를 논하는 것은 본질에서 벗어난 것이다.
3. 결론
결론적으로 탄환이론은 현대산업사회에서 매스미디어의 효과를 가장 핵심적인 도식으로 설명해주는 기본적인 수위의 이론으로서 오늘날에도 그 타당성을 잃었다고는 할 근거가 없다. 탄환이론의 기본가정 그 자체는 매스미디어의 강력한 직접적 효과를 긍정한 것이었지 효과 개념 자체를 편협하게 이해한 것은 아니었다. 다만 탄환이론의 비판론자들이 즉각적,단기적,가시적 효과를 부정하는 실험연구를 내놓으면서 탄환이론,피하주사이론 등의 악의적 명칭을 붙여 비판한 것이었다. 그러나 실험연구는 효과에 대한 제한된 가정에 입각했을 뿐 아니라 방법 자체에도 비과학적인 측면이 있음에도 불구, 연구 자체의 한계를 탄환이론의 부정논거로 활용하는 논리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 효과의 다른 영역에 주목한 최근의 연구는 문화적 규범이론, 미디어의존이론,모델링 이론,침묵의 와선,문화계발이론 등으로 분화되는 추세를 보여준다.
탄환이론의 올바른 이해를 위해서는 먼저 악의적인 그 명칭에 대한 재검토가 있어야 하며, 그 이론이 가장 기본적인 변인간 관계를 해명해 주는 원칙적인 수위에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가정에서 쓰인 용어를 효과의 개념을 비롯하여 보다 유연하게 해석하려는 시각이 필요하다. 이런 점에 동의한다면 탄환이론은 여전히 보편타당성을 갖고 있다고 얘기할 수 있다.

추천자료

  • 가격9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2.28
  • 저작시기2004.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39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