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ꊱ 음악교육의 성격
ꊲ 음악교육의 목적
ꊳ 음악교육의 두 가지 지향점들
ꊴ 지향점들에 비추어 본 학교 음악교육의 성격
ꊵ 지향점들의 상호 의존성
ꊶ 음악듣기에 바탕을 둔 음악교육
ꊲ 음악교육의 목적
ꊳ 음악교육의 두 가지 지향점들
ꊴ 지향점들에 비추어 본 학교 음악교육의 성격
ꊵ 지향점들의 상호 의존성
ꊶ 음악듣기에 바탕을 둔 음악교육
본문내용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자연주의 교육을 내세운 루소(Jean Jacques Rousseau, 1712-1778)는 학생들에게 노래하고 악기를 연주하는 표현 활동 외에 보다 나은 음악의 이해를 위해서 창작을 가르치도록 했다.4) 하지만 인간의 가장 자연스러운 음악적 속성의 하나인 음악듣기의 교육에 대해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다.
음악듣기가 20세기 이전의 음악교육에서 거의 논의되지 못했던 것은 그만큼 음악교육의 위상과 성격이 오늘날과 달랐다는 것을 말해 준다. 그러므로 음악듣기 교육의 적극적 도입은 곧 현대 학교 음악교육의 방향을 말해 준다고 해도 크게 틀리지 않다. 비록 음악기능의 연습이 계속 학교 음악교육에서 필요하고 또 중요하지만, 음악듣기 교육이 바탕에 존재하지 않으면 구태의연한 음악교육이 되고 만다. 특히 모든 사람들에게 고루 필요하다고 생각되어 설정된 공교육에서 "공통과목"으로 나타나는 음악 교과는 음악듣기 교육을 통해서 그 본래적 의미를 현실적으로 지켜나갈 수 있다.
참고문헌 ----------------------------------------------
1. "음악교육학의 이해", 『음악과 민족』, 제6호, 1993
음악듣기가 20세기 이전의 음악교육에서 거의 논의되지 못했던 것은 그만큼 음악교육의 위상과 성격이 오늘날과 달랐다는 것을 말해 준다. 그러므로 음악듣기 교육의 적극적 도입은 곧 현대 학교 음악교육의 방향을 말해 준다고 해도 크게 틀리지 않다. 비록 음악기능의 연습이 계속 학교 음악교육에서 필요하고 또 중요하지만, 음악듣기 교육이 바탕에 존재하지 않으면 구태의연한 음악교육이 되고 만다. 특히 모든 사람들에게 고루 필요하다고 생각되어 설정된 공교육에서 "공통과목"으로 나타나는 음악 교과는 음악듣기 교육을 통해서 그 본래적 의미를 현실적으로 지켜나갈 수 있다.
참고문헌 ----------------------------------------------
1. "음악교육학의 이해", 『음악과 민족』, 제6호, 199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