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과 교육의 운용체계 - 국어과 교육과정, 국어과 교재, 국어 교수 학습 체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과 교육의 운용체계 - 국어과 교육과정, 국어과 교재, 국어 교수 학습 체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ꊱ 교육 과정과 국어과 교육과정

ꊲ 국어과 교육 과정의 체제

ꊳ 국어과 교재의 개념과 기능

ꊴ 국어과 교재의 중요성

ꊵ 국어 교수-학습 체제
Ⅰ. 국어 교수-학습의 특성
Ⅱ. 국어 교수-학습의 주요 변인
Ⅲ. 국어 교수-학습의 이론과 모형
Ⅳ. 국어수업의 기술
Ⅴ. 국어교사의 역할과 자질
Ⅵ. 국어수업 평가

ꊶ 그 밖의 운영체제

본문내용

맞게 흐름을 두고 있다.
학급 일을 나누어 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이지만 어떤 일을 고정시켜 두기보다는 주기적으로(나는 한 학기에 한두 번에 그친다.), 골고루 일을 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러면 아이들의 희망을 받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내 15년 경험으로는 1인 1역할로 교실의 모든 일을 나누는 것이 좋았다. 청소 확인은 청소가 끝나면 하루 반장에게 확인을 받고 표시하고 가면 된다. 아무래도 바닥 청소는 정리가 힘들기 때문에 교사의 손길이나 잔소리가 늘 필요하다. 교사의 역할은 손을 아끼지 않고 깨끗한 척 내숭떨지 않는 것이다.
교실 꾸미기
고학년이라면 학급운영 위원회나 어린이회에서 환경구성 준비팀을 구성하여 아이들에게 맡기면 아이들이 계획을 세워 온다. 그 다음에 교사와 의논을 하면 무엇 보다 좋다. 아이들의 의견이 너무 판에 박혀 있다면 교사가 방향과 아이디어를 낼 수 있다. 자주 바꿀 수 없다면 아이들에게 맡겨라. 아니면 대자보 판을 많이 두면 좋겠다.
아이와 가정형편을 알아서 아이들 가까이 다가가기
- 우리 아이 소개하기 조사표 이용. 기초 조사표 이용. 조사를 하는 이유가 아이들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가까이 가기 위해서여야 한다.
- 학습 장애, 교우 관계 정도를 관찰 조사하여 도움 방법 알아내기
- 아이에 대한 선입견이나 편견을 버리고 아이를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사랑하기
세워도 지키기 어려운 학급 경영계획 세우기
- 할 수 있는 계획을 욕심 내지 않고 세우고, 혹시 잘 안 돼도 실망하지 않기, 그리고 혼자서 하지 말고 작은 연구모임 만들어 흔들리지 않기
- 선배 교사나 모범을 따를 것
- 안 되거나 잘못되면 바로 수정하여 그 때부터 새로 시작할 것
① 아이들에게 늘 솔직할 것 : 화났다. 섭섭하다. 잘 모르겠다. 미안하다. 고맙다.
손잡고 말하고 체벌하기(?), 바쁘다. 안녕하세요 - 안녕 (못)하다.
② 교사의 말과 행동이 너무 다르지 않아야 한다.
교과지도
아이들이 듣지 않으면 나도 말하지 않는다.
집중하면 즐겁게 가르치겠다.
관심 집중 탐구 앎 실천(나눔과 섬김)
학습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들이 꼭 배워야 할 내용인지, 왜 이걸 배워야 하는지 알도록 해야 한다. 그래야 학습이 강제되지 않는다. 이건 수업 내용이 바뀔 때마다, 필요할 때마다 확인해야 한다.
아이들 삶의 자리에서 학습 내용을 가져오고, 아이들 스스로 학습할 필요를 느낀 바탕에서 수업이 시작된다면 학습에서 꼭 필요한 인지적 긴장은 저절로 이루어질 것이다.
아이들이 학습의 내용을 스스로 정하지 않은 현실에서라면, 교사는 한 단위 수업마다 충분한 학습하는 뜻을 설명하고 수업 중에라도 우리가 무엇을 왜 학습하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단위 수업을 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일년을 두고 흐름을 갖고 발전하는 학습계획이 되어야 한다. 3월부터 잘 하도록 하기 보다 달이 더할수록 교사와 학생의 호흡이 맞아 더 나은 학습이 되어야 한다. 2월이 되면 못 다한 학습으로 분초가 아쉬워야 한다.
① 제발 첫 주부터 교과서 진도를 나가지 말라. 수업 일수는 충분하다.
② 최대한 학습의 진지성을 확보해야 한다. 즐거우면서도 인지적 긴장감이 있는 수업이 되도록 탄력을 가져야 한다.
③ 학습의 내용이 교육과정 목표에 맞는지, 우리 아이들 현실에 맞는지 미리 확인하라. 그렇지 않고 준비가 안 되었으면 과감하게 진도를 중지하고 아이들과 신나게 놀아라.
④ 늘 교육 내용과 방법이 교육목적과 맞는지 의심해 보아야 한다.
⑤ 더 나은 교육 내용과 교육 방법을 찾는 일과 공동 연구에 힘써라.
⑥ 교사의 자리 옆에는 언제든지 바꾸어 가르칠 수 교재가 넉넉하게 있어야 한다.
⑦ 초등학교 교육의 특성은 교사의 일관된 삶의 태도와 깨어있는 지성에서 아이들이 배운다는 것이다. 가르치는 내용이 무엇이든지 아이들의 삶과 연결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⑧ 수업을 시작하기 전에 교과서를 내 놓고 배울 쪽을 펴놓아야 하는 것이 일반화 되어있다. 하지만 교과서가 필요한지, 필요하다면 언제쯤 필요한지 생각해 보아야 한다.
⑩ 모든 학문의 내용은 자연과 문화에서 나오는 것이다. 자연과 사람의 삶 속으로 가까이 가지 않는 학습은 문자화된 기호일 뿐이다. 모든 지식은 기호로 되어있다. 교실에서의 교과서 공부란 우리가 어떤 단서를 가지고 비밀의 문을 열듯이 하나하나 풀어 가는 것일 뿐이다. 참 단순하다. 몇 가지 기호가 체계화되어 있을 뿐이다. 만약 이런 기호가 없었다면 우리가 나름대로의 기호로 표현해 내면 되는 것이다. 수학이란 그저 숫자로 표현된 암호일 뿐이고, 음악도 국어도 모두 암호라는 언어로 되었다. 그래서 나는 가끔 수업 시간이 되면 오늘은 어떤 비밀들이 나올까? 암호를 풀어봅시다. 라고 말한다.
학습장 정리(교과서를 만드는 아이들)
발도르프 학교 이야기를 보면 몇 년의 학습 과정을 거치고 나면 학습장이 교과서가 되어있다.
학습장 정리를 잘 하게 하는 방법은 잘 정리한 학습장을 만들어 보여 주는 것이 첫 단계일 것이다. 그러고 다음 단계로 아이들이 스스로 학습장을 정리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다. 다음 학습 시간에 지난 시간에 배운 내용을 반드시 되물어 보면 아이들은 기록의 필요성을 저절로 알게 된다. 우리 학교 현실이 학년마다 담임이 바뀌는 형편에서 학습장 정리조차도 흐름이 끊어지는 것은 아쉽다. 아이들 공책은 대부분 줄 공책인데 꼭 그렇게 해야 하는지도 생각해 볼 일이다. 또 다양한 색깔과 재질의 필기도구가 필요하다.
학급운영의 의미와 그 사례까지 알아보았다. 이 안에는 학급운영을 하면서 알아야 할 교사자신의 특성과 학생에 대해서도 나와있다. 학급운영이 단순한 지침서가 아니라 현장에서 교사와 학생이 함께 만들어가는 것이기에 그러한 것이다.
교육과정과 교재, 교수-학습 방법 역시 교실을 움직이는 체제이다. 그러나 이를 바탕으로 현장에서 살아숨쉬는 교육은 학급운영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참고문헌 ----------------------------------------------
1. 노명완 외2인(1994),「국어과교육론」,서울:갑을출판사.
2. 강경호 외(2000), 초등 국어과교육론, 박이정.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4.02.29
  • 저작시기2004.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39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