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이청준 소설의 정신분석학적 연구
----「퇴원」을 중심으로
1) 오이디푸스 컴플렉스에 따른 현실과의 갈등 -거울 단계의 상징적 아버지의 법칙
2) 오이디푸스 컴플렉스의 극복과 주체의 사회화 -- 주체회복과 퇴원
2.윤동주 시에 나타나는 시인의 잠재의식
--마광수
----「퇴원」을 중심으로
1) 오이디푸스 컴플렉스에 따른 현실과의 갈등 -거울 단계의 상징적 아버지의 법칙
2) 오이디푸스 컴플렉스의 극복과 주체의 사회화 -- 주체회복과 퇴원
2.윤동주 시에 나타나는 시인의 잠재의식
--마광수
본문내용
를 흘리고 싶어하는 시인의 소망에서 우리는 마조히즘적 쾌감을 동경하는 시인의 잠재심리를 엿볼 수 있다. 그리고 피를 흘리겠다는 표현을 '배설의 욕구'로 파악할 수도 있다. 인간은 누구나 잠재의식 속에 성욕과 가학욕(공격욕)을 본능적으로 지니고 있다. 공격욕이 직접 나타나는 것이 곧 사디즘이며 사디즘의 대상이 자기자신이 될 때 그것은 마조히즘으로 변한다. 윤동주 시인이 공격하고 싶어했던 대상이 일제치하의 암울한 현실상황이었는지, 아니면 자신의 내부 깊숙이 자리잡고 있는 동물적 욕망이었는지, 그것은 잘 알 수 없다. 하지만 어쨌든 이 시인은 내성적 성격이었기 때문에 직접적인 사디스트(예컨대 폭력에 의한 해방쟁취를 주장한 신채호 같은 테러리즘 옹호자)가 되지 못하고 소극적인 마조히스트가 된 것이다.
또한 공격욕과 성욕이 항상 같이 따라다닌다는 것을 감안해 보면, 이 시인이 공격하고자 했던 대상은 일제나 현실상황이 아니라 자기자신의 내부 깊숙이 잠재해 있는 리비도였다고 볼 수 있다. 윤동주의 주변인물들의 회고에 의하면, 그는 결벽주의자여서 별로 연애에 빠져보지도 못하고 술이나 담배에도 무관심했던, 지극히 윤리지상적인 인물이었다고 한다. 말하자면 초자아(super-ego)가 강한 인물이었던 것이다.
초자아가 강할수록 본능적 욕구는 억압을 받는데, 그럴 때 리비도적 욕구는 곧잘 문학작품을 통해 환치되어 대리충족을 시도하게 된다. 남성의 성욕과 공격욕이 합쳐져서 이루어지는 가장 종국적인 행위가 '정액의 배설'이라고 볼 때, 이 시에 나오는 '피를 흘리고 싶다'는 표현은 정액을 배설하고 싶어하는 시인의 잠재의식적 욕구를 환치시켜 놓은 표현으로 간주될 수 있다. 말하자면 시를 통한 대리배설, 즉 카타르시스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윤동주 시인이 항상 괴로워했던 것은 초자아와 본능(id)이 평형을 이루지 못해 자아가 그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그가 초자아가 너무나 강한 인물이었다는 것은 그의 대표작 「서시」가 증명한다.
사실 윤동주가 살았던 시대만 괴로웠던 것은 아니다. 그 이전에도 그 이후에도 현실상황은 항상 어둡기 마련이다. 어두운 현실상황이라고 해서 성적 본능이 작용을 멈추지는 않는다. 게다가 이 시를 쓸 당시의 윤동주가 한창 정력이 솟구치는 젊은이였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이 작품을 '성욕의 마조히즘적 대리배설'로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은 더 많아진다.
또한 공격욕과 성욕이 항상 같이 따라다닌다는 것을 감안해 보면, 이 시인이 공격하고자 했던 대상은 일제나 현실상황이 아니라 자기자신의 내부 깊숙이 잠재해 있는 리비도였다고 볼 수 있다. 윤동주의 주변인물들의 회고에 의하면, 그는 결벽주의자여서 별로 연애에 빠져보지도 못하고 술이나 담배에도 무관심했던, 지극히 윤리지상적인 인물이었다고 한다. 말하자면 초자아(super-ego)가 강한 인물이었던 것이다.
초자아가 강할수록 본능적 욕구는 억압을 받는데, 그럴 때 리비도적 욕구는 곧잘 문학작품을 통해 환치되어 대리충족을 시도하게 된다. 남성의 성욕과 공격욕이 합쳐져서 이루어지는 가장 종국적인 행위가 '정액의 배설'이라고 볼 때, 이 시에 나오는 '피를 흘리고 싶다'는 표현은 정액을 배설하고 싶어하는 시인의 잠재의식적 욕구를 환치시켜 놓은 표현으로 간주될 수 있다. 말하자면 시를 통한 대리배설, 즉 카타르시스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윤동주 시인이 항상 괴로워했던 것은 초자아와 본능(id)이 평형을 이루지 못해 자아가 그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그가 초자아가 너무나 강한 인물이었다는 것은 그의 대표작 「서시」가 증명한다.
사실 윤동주가 살았던 시대만 괴로웠던 것은 아니다. 그 이전에도 그 이후에도 현실상황은 항상 어둡기 마련이다. 어두운 현실상황이라고 해서 성적 본능이 작용을 멈추지는 않는다. 게다가 이 시를 쓸 당시의 윤동주가 한창 정력이 솟구치는 젊은이였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이 작품을 '성욕의 마조히즘적 대리배설'로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은 더 많아진다.
키워드
추천자료
현대소설에 나타난 교사와 학생상
정신장애인 사회적응 주거시설 서비스(개념,이해,종류,그룹홈,위탁가정)
정신보건사회사업의 현황과 발전방안
정신분석(대상관계) 가족치료이론
정신분석 비평
정신장애인 프로그램
1960년대 소설과 희곡의 ‘비극성’ 비교- <박경리 소설「김약국의 딸들」천승세 희곡 「만선」...
염상섭의 생애, 염상섭 소설관, 염상섭 문학의 성격, 염상섭이 애용했던 어휘, 염상섭의 삼대...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기능과 역할00
정신보건센터의 역할,개념,사업내용,운영내용,현황
1910년대 창작 단편소설의 문학사적 의의 안국선의 공진회 현상윤의 소설 등을 중심으로
[간호][가정간호][자가간호][재활간호][정신간호][노인간호][치매간호][간호중재][간호과정]...
[독일동화][독일][동화][독일동화 수용][양극적 여성이미지][민족정신][동명][서구문화]독일...
[정신건강 1공통] 프로이드(프로이트/Sigmund Freud)의 정신분석이론과 방어기제에 대해 설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