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과 바다(정보)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인과 바다(정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키포인트 지문

2. 요점정리

3. 내용영구

4. 이해와 감상

본문내용

노인이 떠올리는 야구와 야구 선수들에서는 고통을 인내하는 불굴의 정신을 연상할 수 있다. 노을진 바닷가에서 노는 사자들한테서는 힘의 순결과 평화를 연상하게 된다.
헤밍웨이 규약
헤밍웨이의 주요 작품들에 나오는 등장 인물들의 공통된 성격을 일컫는 이름이다. 헤밍웨이 규약에 따르면 인간의 가치는 육체적, 성적 능력, 혹은 재산 정도에 의해 판단되지 않고 오히려 고통과 손해를 견딜 수 있는 인내, 스스로가 자기 능력껏 최선을 다했다는 자긍심, 패배했다고 낙심하지 않고 또 승리했다고 자만하지 않겠다는 의지 등을 얼마나 소유하고 있는가에 따라 그의 가치가 결정된다는 것이다. 이 작품에 나오는 산티아고도 이러한 규약을 따르고 있는 사람 중에 하나이다. 그는 늙고 가난하지만 사나이답게 꿋꿋하게 행동한다. 비록 기력은 많이 떨어졌지만, 그의 인내와 의지는 여전히 남아서 패배에 직면해서도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대결을 펼친다.
'노인과 바다' 실제모델 별세
어네스트 헤밍웨이(1899~1961)의 소설 ‘노인과 바다’의 실제 모델로 오랜 낚시친구였던 그레고리오 푸엔테스옹(翁)이 13일 새벽 쿠바의 자택에서 지병인 암으로 사망했다고 가족들이밝혔다. 104세. 푸엔테스는 약 30년간 헤밍웨이를 위해 배를 저어주고 요리를 해주면서 낚시친구가 됐는데 많은 이들이 노벨상 수상작 ‘노인과 바다’의 주인공은 푸엔테스로부터 영감을 얻었던 것으로 평가해 왔다.
손자 라파엘(48)은 “할아버지는 늘 거처하시던 자택에서 타계했으며 당일 오후 장례가 치러져 안장됐다”고 말했다. 푸엔테스는 아바나에서 동쪽으로 15km 떨어진 바닷가 마을 코히마르에서 살아왔다. 1897년 카나리아군도 란사로테에서 출생한 푸엔테스는 선원이었던 부친과 쿠바로 여행하다. 부친이 선상에서 사망, 6살때 고아가 됐으며 카나리아군도 쿠바 이주민들이 장성할 때까지 돌봐줬다고 한다. 헤밍웨이는 푸엔테스를 1928년 처음 만났고 1930년대에 그를 월 250달러에 보트관리인으로 고용했으며 1960년 미국으로 돌아갈 때까지 헤밍웨이는 푸엔테스의 코히마르 집에서 머물렀다고 한다. 푸엔테스는 그후 헤밍웨이의 아바나 교외저택 엘 필라를 상속받았으나 그는 이 저택을 쿠바 정부에 헌납하여 헤밍웨이 박물관이 되게 했다. 푸엔테스는 먼 조카뻘되는 돌로레스 페레스(1990년 사망)와 결혼해 70년을 해로했다. 그는 딸 4명중 2명과 여생을 보냈으며 7명의 손자와 8명의 증손을 두었다.(출처 : 아바나AP=연합 2002/01/14 17:39 )
잃어버린 세대(── 世代, Lost Generation)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에 기존의 모든 이상과 가치를 잃어 버렸다는 상실감에 빠져서 주로 국외에서 거주하며 집필 활동을 벌인 일군의 미국 작가들을 일컫는 말이다. 이들은 신념의 상실과 절망과 환멸 속에서 생활의 방향을 잃은 수많은 전후 청년들의 심리 상태와 현실을 여실히 묘사하였다. 헤밍웨이와 피츠제럴드 등이 여기에 속한다.
다른 말로는 '길 잃은 세대'라고도 한다.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 의하면 보통 제1차 세계대전 이후의 세대를 의미하지만 특히 전쟁중에 성인이 되어 1920년대에 문학적 명성을 얻은 미국 작가들을 일컫고, 이 용어는 거트루드 스타인이 어니스트 헤밍웨이에게 "당신들은 모두 길 잃은 세대요"라고 한 말에서 비롯되었다. 헤밍웨이는 이 용어를 〈해는 또다시 떠오른다 The Sun Also Rises〉(1926)의 권두 인용문으로 사용했다. 이 작품에서는 전쟁이 끝난 후 환멸 속에서 술에 의지하며 정신적으로 방황하는 파리의 젊은 국외이주자들의 면모가 포착된다. 이 세대는 자신들이 물려받은 가치관이 더이상 전후세대와 연결되지 못했고, 하딩 대통령의 '정상 복귀' 정책 아래에서 절망적으로 편협하고, 물질주의에 물들고, 정서적으로 황폐해보이는 미국이라는 나라에 정신적 소외를 느끼기 때문에 '길을 잃은' 것이다. 이 세대에 속하는 작가로는 헤밍웨이, F. 스콧 피츠제럴드, 존 더스 패서스, e.e. 커밍스, 아치볼드 매클리시, 하트 크레인 등과 1920년대에 파리를 문학활동의 중심지로 삼았던 그밖의 많은 작가들이 있다. 그들을 결코 문학의 한 파(派)로 볼 수는 없다. 1930년대에 이들이 다른 쪽으로 전향하자 그들의 작품에서는 더이상 전후 시기의 독특한 특징을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이 시기의 마지막에 나온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피츠제럴드의 〈밤은 부드러워라 Tender Is the Night〉(1934)와 더스 패서스의 〈거금 The Big Money〉(1936)이 있다. (출처 : 브리태니커백과사전)
비트 제너레이션(beat generation)
미국 문학사상 ‘로스트 제너레이션’의 뒤를 이은 세대를 말한다. ’50년대 모든 기성 세대의 질서와 도덕 및 문학에서 탈피하고, 인간 고유 성격의 밑바탕에서 몸부림치는 것이 특징이다. 메일러촹긴스버그 등이 대표적인 작가이다. 비트 제너레이션은 '패배의 세대'라는 뜻으로 로스트제너레이션의 뒤를 이은 세대를 이르는 말.
제2차 세계대전 후 1950년대 중반 샌프란시스코와 뉴욕을 중심으로 대두된 보헤미안적인 문학가·예술가들의 그룹을 지칭하기도 한다. 그들은 현대의 산업사회로부터 이탈하여, 원시적인 빈곤을 감수함으로써 개성을 해방하려고 하였다. 사회적으로는 무정부주의적인 개인주의의 색채가 짙으며, 재즈·술·마약·동양적인 선(禪) 등에 의한 도취에 의하여 ‘지복(至福:beatitude)’의 경지에 도달하려고 하였다.
1956년 앨런 긴즈버그(Allen Ginsberg)의 장시 《울부짖음 Howl》, 1957년 잭 케루악(Jack Kerouac) 의 장편소설 《노상(路上)》이 발표되고 나서 이 말이 처음 사용되었다. 이 일파에는 그 밖에 시인 L.펄링게티, 소설가 G.스나이더, M.매클루어, K.렉스로스, W.S.버로스, N.메일러 등 여러 연령층의 작가 ·시인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은 개인적 차원에서 반체제적 태도를 고집하고, 극한적인 부정에 입각하여 새로운 정신적 계시를 체득하려고 하였다. 미국 로맨티시즘의 한 변형으로도 생각된다. 1960년대에 이르러 점차 쇠퇴하였다. (출처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
  • 가격3,000
  • 페이지수33페이지
  • 등록일2004.04.02
  • 저작시기2004.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56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