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의 문학(한림.향가.속요.전문학.한문학.비평문학.학자)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한림들의 노래

2. 향가계 노래

3. 속요

4. 고려시대 한문학

5. 전문학

6. 전의 중류

7. 한문학(사장파와 도학파)

8. 고려의 비평문학

9. 한문학자

본문내용

, 최자, 이재현으로 영향을 미쳤다.
2) 이규보(1168-1241)의 백운소설
'소설'은 잡록류의 개념을 지니고 있다.
파한집보다는 규모가 적지만 특이할 만한 시론이 전개되어 있다.
(시란 의가 주가 됨으로 의를 표현하기가 가장 어렵고 말을 엮는 것은 그 다음이다. 의는 또한 기가 주가 됨으로 기의 우렬로 말미암아 곧 의의 천심이 생긴다. 그러나 기는 천부의 것이어서 배워서 얻을 수는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기가 졸열한 사람은 글을 꾸미는 것을 능사로 삼고 전혀 의를 앞세우지 않게 된다. 대체로 글을 꾸미고 다듬어 구절을 아롱지게 해 놓으면 정말 아름답기는 하나, 그 속에 심후한 의가 함축된 것이 없어서 처음에는 볼 만하나 다시 씹어보면 곧 맛이 없어진다)
조비(기를 처음으로 문학에 적용시킨 자)는 "문이기위주"라 했으나 이규보는 "시이의위주"라 하였다.
수사학적인 철사보다는 설의를 강조하였다.
3) 최자(1188-1260)의 보한집(속 파한집)
해동공자 최충의 후손이다.
강종 때 급제하여 상주목사를 지냈다.
우미인초가와 수정배시가 이규보에게 알려져 발탁됨
상권 52장, 중권 46장, 하권 49장만 비평서라 할 수 있고, 나머지는 승려에 관한 내용이다.
서의 내용
① 문학에 대한 제인식
② 문학사 기술
③ 작품 보존
④ 파한집 보충
⑤ 담소의 자
잡록류의 성격을 지님
(무릇 시를 평하는 사람은 기골의격을 먼저하고, 사어성률을 다음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의격이 그 운과 어휘에 맞아 혹 좋기도 하고 나쁘기도 한 일연이 있게 된다. 그러나, 겸하여 잘 지은 자는 드물기 때문에 평하는 말도 같지 않다. 시격에서 말하기를 "구절이 노숙하면서 글자는 속되지 않아야 하고, 이치가 깊으면서 뜻은 잡되지 않아야 하며, 재질은 방종하여도 기는 노하지 않아야 하며, 말은 간단하지만 일은 숨겨지지 않아서 바야흐로 풍소에 들어간다"라고 했는데, 이 말은 스승을 삼을 만하다)
"선이기골의격 차이사어성률"을 비평의 기준으로 삼았다.
의는 기에 힘입는 것이고, 기는 천성에서 나온다고 하였다. 이는 개성주의적 표현론의 전형이면서 이규보의 시관을 계승한 것이다.
말을 다듬지 않았는데도 기상이 호방하고 의경이 넓은 시는 성병이 없기 때문이다.(사의나 성률보다는 기골과 의격을 앞세우고 있다.
우리나라 한시가 시로서 성취할 수 있는 기본방향을 제시해준 것이다.
서문에서는 이인로의 파한집을 보충했다고 했으나 실질적으로는 오히려 이규보의 시론과 시에 편중되어 있다. 이규보를 획일적으로 높게 평가한 것은 비평에 사적인 감정이 개입된 예라고 할 수 있다.
4) 이재현(1287-1367)의 력옹패설(쓸모없는 늙은지의 부실한 이야기)
15세에 급제하여 6대 왕을 섬기면서 4번 재상에 올랐다. 공민왕 묘정에 배향됨
정치가, 성리학을 처음 전교한 대학자, 문호
56세 때 지은 것으로 전집 2권(주로 중국시 비평), 후집 2권(주로 우리나라 시 비평)으로 되어 있다.
시사를 기록한 사료로서의 성격이 강하다.
경, 사, 인물 등에 대하여 비평
의를 구체화하여 어외의로써 시론을 전개함. 경을 묘사함에 있어서 작자의 의, 곧 시상은 언어로 표현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영사시도 단순히 역사적 사건만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그 속에 작자의 정이 드러나 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5) 김부식의 삼국사기
인종 23년(1145) 김부식이 왕명으로 편찬
정사이지만 비평적인 요소가 발견됨(자아의식)
6) 일연의 삼국유사
삼국사기보다 140년 뒤인 충렬왕 11년(1285)에 편찬
야사적 입장은 자아의식 및 비평의식이 좀더 적극적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
단군신화 수료의 변
향가, 설화 속의 시 등 시가 사건 전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후대 소설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됨
<한문학자>
1) 이인로(1146-1214), 호 미수
매우 총명, 조실부모, 승 요일의 도움으로 절에서 성장
의종 24년(1170) 정중부의 난 때 삭발위승, 명종 10년(1180) 환속, 급제
관계에 있으면서 속세를 떠난 자연을 동경: 죽림고회-해좌칠현
문은 당 한유, 시는 송시를 따르다.
불교사상이 심취
파한집
2) 임춘, 호 서하
불우한 시인, 정중부의 난에 간신히 살아남, 세 번 낙방
사방을 방황하다가 30세로 요절
서하집
3) 오세재
소시에 육경(시경, 서경, 주역, 예기, 낙경, 춘추)을 다 읽다.
명종 때 등과했으나 천성이 시류에 용납되지 않아 등용되지 못했다.
경주에서 방황하며 가난에 시달리다가 객사함
4) 이규보(1168-1241), 자 춘경, 호 백운, 삼혹호선생(금, 시, 주)
9세 때 글을 잘하여 기동이라 알려짐
명종 20년에 등과, 재상 조영인의 사랑을 받다.
재능이 성하여 시기하는 자가 많아 관로에는 일찍 나가지 못함
일시 유배당함. 평범하고 무난한 관로생활
원 황제를 감동시킴(원이 국경 침입- 평화를 유지하자는 「진정서」: 왕의 총애
우리 한문학사상 최상급의 시인: 최치원, 이재현, 신위
흔이 이백의 시풍에 비교됨, 송시의 영향도 많이 받았다.
5) 이재현(1287-1367), 자 중사, 호 익재
충렬왕 27년 15세로 진사과에 장원급제, 17세 때 연녕궁록사를 시작으로 71세 문하시중(칠왕봉사)
충선왕이 토번 땅에 유배갈 때 배송했음
시의 제일인자, 산문에도 상당한 조예가 있었음
6) 이색(1328-1396), 가정 이곡의 아들
14세 때 진사과에 급제, 원에 급제
이규보, 이재현과 함께 고려의 3대문장가
7) 최충(984-1068)
해동공자, 사학창설, 구경삼사 강의 => 한문학 융성
8) 박인량( ? -1096)
시문에 능통함. 문명이 요와 송에 떨침
요가 압록강 이남의 땅을 점거 보주성을 설축하여 국경을 정함-"물수보주표" 진정서를 요 임금에게 보냄-요나라 임금이 감동, 침략행위 철회
예부시랑일 때 김근과 같이 송에 사신, 둘의 시문이 간행됨 "소화집" 고금록(부전)
9) 김부식: 김근의 삼자
묘청의 난 때 토적원수가 되어 평정, 벼슬이 높아짐(정시상을 죽임)
삼국사기, 고려 인종실록 편찬, 특히 문에 능통
10) 정지상
김부식과 쌍벽을 이룸, 묘청의 난에 연류되었다는 탄핵으로 김부식에게 살해됨
"송우인"은 명작
  • 가격1,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4.04.11
  • 저작시기2004.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63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