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자(荀子)의 생애와 사상'에 관한 종합적 보고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순자(荀子)의 생애와 사상'에 관한 종합적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순자의 생애

2. 유가에서의 순자의 위치

3. 순자의 저서

4. 사상
(1)자연론
(2)성악설
(3)인식론
(4)예론
(5)정치론

5. 순자의 중요성

6 순자 사상의 개관

7. 맹자와 순자의 성설(性說) 비교

본문내용

이 갖는 '유의사상'에 힘입은 바가 크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어는 학자는 공감주술의 하나인 유감주술은 '유사에 의한 관념의 연합위에 세워진' 또는 '상호에 유사한 것은 동일한 것이라고 생각하는 오류에 빠져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그러나 순자의 '유의 사상'의 경우네는 상이한 두 사물을 양자에 공통되는 부분적 유사성에 의해 접착한 후에도 또한 양자의 상위가 보존되어 있는 것으로서, 거기에 주체성을 상실하지 않고 제자의 사상을 그러한 곳에 위치하게 할 수 있는 비밀이 감추어져 있다.
그리고 이 논리를 천인 관계에 적용하면 이미 말한 '천인지분' 사상이 되며, 또한 군신 관계에 적용하면 군주와 신하가 각자의 역할을 분담하면서도 전체로서는 한 개의 유기체와 같은 기능을 가진 사회를 구성한다고 설명하는 '예의지분' 사상이 되는 것은 자명한 일일 것이다.
7. 孟子와 순자의 性說 비교
일반적으로 우리는 맹자의 性善說과 순자의 性惡說은 완전히 서로 다른 또는 반대되는 개념으로 생각한다. 물론 단순히 생각할 때는 "인간의 본성은 선하다"와 "인간의 본성은 악하다"라고 말할 수 있기 때문에 그럴 것이다. 하지만 맹자의 성선설과 순자의 성악설은 그렇게 단순하게만은 비교할 수 없는 이론이기 때문에 좀더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비교분석해 보고자 한다.
맹자와 순자의 성설을 비교할 때는 네 가지의 측면에서 생각해 볼 수 있겠다. 1) 性의 槪念, 2) 善惡의 內容, 3) 善의 根源, 4) 善實現의 問題가 그것이다.
첫째로, 性의 槪念이라는 측면에서부터 비교해 보면 양적인 측면, 형식적인 측면, 본질적인 측면으로 다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양적인 측면에서 그들은 "모든 인간"을 대상으로 하므로써 상호일치하고 있다. 형식적인 측면에서도 "本性"(즉, 선천적으로 본래 가지고 있는 품성)을 가리킨다는 점에서 상호일치 한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본질적인 측면은 다르다. 맹자는 "선천적인 도덕성이 선하다"라고 주장한 반면에 순자는 "인간의 생물적인 본능이 악하다"라고 주장했다. 이것은 맹자와 순자가 글자는 똑같은 "性"이라는 글자지만 "선천적인 도덕성"과 "생물적인 본능"에서처럼 서로 다른 측면에서 성을 사용한 것이다. 성의 개념에서는 양적인 측면과 형식적인 측면은 상호일치 했지만, 성을 실제로 사용한 본질적인 측면에서 서로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로, 善惡의 內容이란 측면에서 두 가지 성설을 비교할 수 있다. 맹자는 선을 모든 사람의 본심이 요구하는 것으로 악을 모든 사람이 진심으로 미워하는 것으로 보아 내면성 즉, 도덕성에 기원을 두는 동기주의적인 것으로 본 반면에 순자는 결과적으로 보아서 다른 사람이나 사회에 해를 끼쳤으면 악이고 좋은 결과가 나왔으면 선이라고 보는 견해로써 결과주의적으로 보고 있다. 선악의 내용에서는 이처럼 맹자는 선을 선천적이고 보편적인 동기주의로 보았고, 순자는 선천적인 악을 제거하는 결과론주의로 생각했다는 것이 차이점이다. 하지만, 여기서도 악에 있어서는 악은 감각적 기욕이 그 근원이라고 생각한 것은 상호일치 한다.
셋째로, 善의 根源의 측면에서 비교할 수 있다. 바로 이 선의 근원에 대한 입장차이가 맹자와 순자의 가장 근본적인 차이이다. 맹자는 선의 근원을 선천적, 도덕적 본질로서 인성에 두고 있는 반면 순자는 선의 근원을 후천적 학습 즉, 선은 배워서 얻는 경험의 산물로 보고 있다. 순자의 생각은 "其善者 僞也"(선은 배워서 얻는 것이지, 가지고 태어나는 것이 아니다.)에서 알수 있다. 하지만, 순자는 이말에서 상대적 선을 말하므로써 스스로 모순에 빠진다. 어쨌든, 여기서 맹자와 순자는 선의 근원을 선천적과 후천적이라고 완전히 다르게 보고 있는데 이것이 그들의 가장 근본적인 차이라고 할수 있다.
넷째로, 善實現의 問題라는 측면에서 생각해 보자. 맹자는 擴充說 즉, 仁義禮智의 실마리로서 가지고 있는 四端을 끊임없이 확충해가는 것으로 보고 선천적요소를 후천적요소 보다 강하게 생각하고 있다. 반면에 순자는 악한 생리적 본능을 스승의 가르침(師法之化)과 예의의 가르침(禮義之敎)에 의해서 교정해 나가는 선천적 요소보다는 후천적요소를 강조하고 있다. 또한, 순자는 공리주의적인 입자으로 인간의 무한욕망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사회제도가 필요하다고 했다. 그리고 이 사회제도는 성인이나 후왕 같은 사람에 의해 타율적으로 정해야 한다고 하므로써 당시 위정자들의 권력에 정통성을 보장해 주기도 했다. 선실현의 문제에서도 맹자는 선천적인 요소를 중요시 했고, 순자는 후천적인 학습을 중요시 했다는 점에서 차이점을 알수 있었다.
지금까지, 성의 개념, 선악의 내용, 선의 근원, 선실현의 문제라는 네가지 측면에서 맹자와 순자의 성설을 비교 검토해 보았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 두가지 성설을 고대의 학설로써만 인식하는 것에서 그칠것이 아니라, 현대적인 관점에서 다시 한 번 생각해보는 것일 것이다. 지금의 현실은 순자의 성악설을 대변이라도 하듯이 돌아가고 있다. 이렇게 어지러운 현실에 먼저 선행되어야 할 것은 맹자의 성선설을 기초로한 인간성의 회복이라고 생각한다. 또, 아무리 인간이 선천적으로 선하다라고 해도 그후에 어떠한 노력도 하지 않는다면 자기자신의 이익을 위해서 어떤 일도 할수있는 즉, 끝이 없는 욕망을 위해서 악을 행할수도있는 사람이 될 것이다. 결국, 맹자와 순자가 자신들이 살던 시대의 어지러운 상황을 극복하려는 목적으로 주장했던 성선설과 성악설을 잘 조화시켜 받아들인다면 그것이 가장 현명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먼저, 인간성의 회복을 이룬다음에 사회적인 질서회복을 이루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맹자의 성선설과 순자의 성악설을 서로 모순된 개념으로만 생각할 것이 아니라 그둘을 잘 조화시켜 받아 들여야만 할 것이다.
참고문헌 ------------------------------------------------------
1. 순자 지음, 김학주 옮김, 순자, 을유문화사, 2001.
2. 김철운 지음, 순자와 인문세계, 서광사, 2003.
3. 이지한 지음, 순자, 자유문고, 2003.
4. 채인후 지음, 천병돈 옮김, 순자의 철학, 예문서원, 2000.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4.05.13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00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