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사상의 계보 - 도가와 도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자사상의 계보 - 도가와 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도 가
○ 황로학(黃老學)
○ 현학(玄學)

2) 도 교
○ 진, 한(秦漢) 이후 도가사상의 발전
○ 도교의 출현
○ 도교의 체계적 성립과 전통
○ 도교 비교주의(秘敎主義) 문학
○ 당, 송 이후의 도교

3) 현대의 도교

4) 한국의 도교
○ 성격
○ 수용과 전개
○ 고려시대의 도교
○ 조선시대의 도교

본문내용

교다.
이를 가장 잘 보여주는 저술은 한무외(韓无畏)의 〈해동전도록〉이다.
한무외는 이 저술에서 조선의 도맥이 태상노군(太上老君)-위백양(魏伯陽)-종리권(鍾離權)-최승우(崔承祐), 자혜(慈惠)-최치원(崔致遠), 이청(李淸), 명오(明悟), 김시습(金時習)-서경덕(徐敬德), 홍유손(洪裕孫)-곽치허(郭致虛)를 거쳐 자신으로 이어졌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중 태상노군은 노자(老子)를 가리키며, 위백양은 후한(後漢) 사람으로 연단(煉丹) 중심의 당 도교에 〈주역〉과 황노(黃老), 즉 황제와 노자의 도를 배합하여 그 이론적 성격을 강화하는 한편 도교의 양생법(養生法)을 강조한 〈참동계 參同契〉의 저자이다.
이 〈참동계〉는 주자(朱子)도 관심을 갖고 〈참동계주석 參同契註釋〉을 펴냈다.
종리권은 금대(金代)에 성립된 전진교(全眞敎)의 종조(宗祖)인 여동빈(呂洞賓)에게 도를 전한 인물로 금단도(金丹道), 이른바 본성적 단학(丹學)의 시조로 여겨지는 인물이다.
이처럼 조선 중엽의 저술에서 주장되고 있는 도맥은 실재한 것이라기보다는 그당시 도가적 수련에 심취한 지식인들의 가탁(假託)일 가능성이 높다.
이는 이들 도맥에 등장하는 인물들 중 신라 하대와 조선시대 사이의 실존인물이 없다는 점에서 명백해진다.
즉 조의적으로 배치한 것이다. 이는 보다 합리적이고 수련지향적인 전진교 계통의 도교를 받아들인 이 시기 지식인들이 유교적 도통론(道統論)에 대항하여 자신들의 계통을 밝힐 필요성을 느낀 데 기인한 것이다.
그러나 이 시기 이후 조선에서 수련도교나 도교적 은둔생활의 기풍이 형성되고 그것이 오늘에까지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이들의 저술이나 의식은 큰 의미를 지닌다.
이후 조선에서의 단학의 도맥이 분명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그러나 도교와 연관된 인물 등의 각종 이적(異蹟)을 기술한 홍만종(洪萬宗)의 〈해동이적 海東異蹟〉이나 도교 관계의 각종 변증설(辯證說)을 수록한 이규경(李圭景)의 〈오주연문장전산고 五洲衍文長箋散稿〉 등 도교 관계 저술들이 연이은 것으로 보아 지식층의 관심이 지대했고, 그러한 생활양식이나 수련법이 꾸준히 맥을 이어갔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의 도교는 이외에도 민간신앙이나 의학 및 민간풍습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도교가 민간신앙에 미친 가장 큰 영향은 성수신앙(星宿信仰)이다.
이는 특히 북극성을 중심으로 한 신앙으로서 고려시대의 팔성당(八聖堂)에서 보듯이 도교적 성수신앙과 고유한 산악숭배가 결합된 조선 특유의 신앙을 형성하였다.
또 민간에서 가신(家神)의 하나로 숭배되는 칠성은 바로 이 도교적 성수신앙의 직접적인 영향이다.
수련적 도교는 본디 예방의학적인 양생법이기에 조선시대의 성리학자들도 지대한 관심을 기울였으며, 그결과 유명한 허준(許浚)의 〈동의보감 東醫寶鑑〉에는 도교적인 양생법과 세계관이 깊숙한 영향을 미쳤다.
또 도교 계통의 위경(僞經)인 〈옥추경 玉樞經〉은 질병을 낫게 해준다는 내용 때문에 민간은 물론 불교에서도 널리 읽혀졌다.
한편 유·불·도 3교를 배합하여 선행을 권장하는 선서(善書)가 조선 초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널리 보급되었는데, 그중 선행[功]과 악행[過]을 각각 점수로 매기는 〈공과격 功過格〉이 널리 유포되어 민간의 생활윤리를 앙양하는 데 일조를 했다.
도가의 후학에 관해서 정리하다 보니 중국은 진,한시대 이후에는 도가는 철학으로서가 아니라 종교철학적성향이 짙었다
우리나라 에서도 도가는 종교성이 짙은 도교의 형태였다.
참고문헌 ------------------------------------------------------
1. 노자와 도교 : M. 칼텐마르크, 장원철 역, 까치, 1993
2. 도가사상과 중국문명 : 葛榮晉 외, 葛榮晉 외, 예문서원, 1993
3. 도교 : H. G. 크릴, 김용수 역, 예문서원, 1993
4. 도교와 신선의 세계 : 窪德忠, 정순일 역, 법인문화사, 1993
5. 노자철학의 연구 : 김진배, 사사연, 1991
6. 도교와 과학 : 도교와 과학, 비봉출판사, 1990
7. 도교란 무엇인가(종교문화연구원 종교학총서 1) : 酒井忠夫 외, 최준식 역, 민음사, 1990
8. http://www.suntaokorea.com/b1_16.htm
9. http://www.osan.hs.kr/pds/ethics/moral/41xx/m41.htm
10. http://www.mizii.com/jesusi/inlight/philosophy/chinese/taoism/taoism5.htm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4.05.14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01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