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의 교육'에 관한 종합적 보고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시대의 교육'에 관한 종합적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A. 조선시대의 개관
1. 조선시대의 사회 문화적 특징
2. 조선시대 교육체제의 시대적 변화
3. 조선시대 교육의 일반적 특징

B. 조선시대의 관학
1. 성균관(成均館)
2. 4學
3. 향교(鄕校)
4. 종학(宗學)
5. 잡과(雜科) 교육

C. 조선시대의 사학
1. 서원(書院)
2. 서당(書堂)

D. 조선시대의 과거제도
1. 조선시대 과거제도 개관
2. 조선시대 과거제도의 특징
3. 과거의 종류

E. 조선시대의 교육법규
1. 학령(學令)

F. 유교와 교육
1. 유교의 교육적 의미
2. 공자의 교육사상
3. 맹자의 교육사상

본문내용

규제
⑤ 향학사목(鄕學事目)
제정 : 권근이 태종에게 지어 올림
내용 : 고려 私學의 교육적 성과를 바탕으로 사학을 보호하자는 것
⑥ 경외학교절목(京外學校節目)
제정 : 명종 원년(1546) 예조에서 작성
내용 : 전국의 학교교육의 교사채용, 교과목, 입학, 성적고사, 상벌에 관한 학규, 성적 평가방법, 교과목에 따른 독서일수 규정
⑦ 학교사목(學校事目)
제정 : 선조 15년(1582) 이이가 작성
내용 : 교사(5개항)와 학생(5개항)에 관한 인사문제를 10개항으로 규정한 학규
⑧ 학교모범(學校模範)
제정 : 선조 15년(1582) 이이가 선조 명을 받아 지어 올린 것
내용 : 조선 초기에 작성된 학령의 미비점을 보충하고, 유학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포괄적으로 제시, 학생 수양에 관한 가장 상세하고 구체적으로 설명한 학규(16항으로 구성)
⑨ 원점절목(圓點節目)
제정 : 정조 때 작성
내용 : 유생의 출결성적을 점수로 평정
⑩ 학제조건(學制條件)
제정 : 선조 17년(1584) 김우현이 지은 학규
내용 : 학령, 독법, 경행재, 사유, 생도, 공사, 취사에 대하여 상세하게 규정
⑪ 학교절목(學校節目)
제정 : 인조 7년(1629) 조익이 저술
내용 : 각종 학교의 신입생, 결석생, 장학, 성적, 서류, 교육과정, 자격 등에 대하여 단편적으로 보충하고 주의시킨 규제
⑫ 제강절목(制講節目)
제정 : 영조 18년(1742)에 제정
내용 : 성균관 유생의 정원에 관한 규정(100명)
F. 유교와 교육
1. 유교의 교육적 의미
1) 교육의 목적 : 도덕적 실천을 행하는 군자의 육성, 즉 지행합일(知行合一)의 인간 육성
2) 교육내용 : 경전을 중심으로 하였으나, 경전의 단순 암기가 아니라 경전을 통한 도덕적 인격을 완성하고자 하였다.
3) 교육방법
(1) 문답식 교수법
① 도덕적 실천을 위한 사전 단계로 경전의 내용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강조하였는데, 경전 문장의 이치(文理)를 터득하는 것을 중요시하였다.
② 터득한 문장의 이치를 문답으로 풀어 가는 강(講)을 활용하였다.
③ 문답식 교수법은 기계적인 암기를 넘어서서 학습자의 능력에 따른 개별적·능력별 학습을 가능하게 하였다.
(2) 개별화·능력별 교육 : 경전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위해서는 개별적·능력별 교육방법이 요구되었다.
(3) 단계별 학습
① 소학 대학으로의 학습과 같은 단계별 학습을 강조하였다.
② 도덕적 원리의 실천을 몸에 익히고, 도덕적 원리의 탐구로 나아가도록 하였다.
③ 오늘날 초등학교 교과목의 '바른생활'(1, 2학년) '도덕'(3, 4, 5, 6학년)도 이러한 학습법에 비추어 이해된다.
(4) 학습자의 자발성
① 도덕적 실천의 중시는 학습자의 자발성을 강조한다.
② 예컨대 공자는 "알려고 애쓰지 않거든 가르쳐주지 말고, 표현하지 못해 더듬거리지 않거든 가르쳐주지 말라".고 하여 학습자의 자발성을 강조하였다.
2. 공자의 교육사상
1) 교육적 인간상 : 군자(君子)
① 군자는 자신의 수양을 통해 백성을 편안하게 해 주는 사람을 말한다.
② 군자는 타인에게 인정받기 위해(위인지학; 爲人之學)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수양을 위해(위기지학; 爲己之學) 공부한다.
③ 군자가 되기 위해서는 6예(6禮 : 禮, 樂, 射, 御, 書, 數)에 능해야 한다.
2) 교육의 기본적 방침
① 평등 교육 : "가르침은 있으나 분류하지 않는다(有敎無類)".고 하여 누구나 평등하게 교육받을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② 중용(中庸) : 중용의 도를 강조하였다.
③ 옛 것의 존중 : 과거 세대의 문화적·학문적 성과를 익히고 발전시킴으로써, 새로운 것의 창출을 강조했다.
④ 도덕적 실천의 강조 : 도덕적 실천을 행한 후에 도덕적 원리의 탐구로 나아가야 한다.
3) 교육의 단계와 교육과정
① 조기교육의 강조 : "세 살 버릇 여든 간다"는 말이 있듯이, 버릇이 생겨나는 때에 올바른 교육을 받아야 한다고 하였다.
② 전인교육의 지향 : "도(道)에 뜻을 두며 덕(德)을 지키고 인(仁)에 의존하며 예(禮)를 체득한다".고 하여 전인적 성장을 강조하였다.
③ 주요 교과 : 덕행(德行), 언어(言語), 정사(政事), 문학(文學)을 중심으로 하였다.
④ 인간의 자질을 세 가지로 구분하였다.
상(上) : 태어나면서 저절로 아는 사람을 말한다.
중(中) : 배워서 아는 사람을 말한다.
하(下) : 고달프게 배우는 사람을 말한다.
4) 교육방법
① 학습에 있어 학습자의 자발성을 중시하였다.
② 학습과 사색의 병행 : "배우기만 하고 생각하지 않으면 어둡고, 생각만 하고 배우지 않으면 위태롭다".고 하여 학습과 사색의 병행을 강조하였다.
③ 개인차의 중시 : 공자는 제자들의 개별적 특성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교육방법과 질문을 사용함으로써 개개인의 개성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였다.
④ 실질위주(實質爲主)의 방법 : 인간성에 있어서 정직성을, 지식에 있어서 정확성을 강조하였다.
3. 맹자의 교육사상
1) 교육의 목적
인간이 선천적으로 갖고 있는 4가지 선단(善端)을 확충하여, 완전한 인격을 형성하는 것이 곧 교육의 목적이다. 네 가지 선단(四端之心 또는 善端之心이라고도 함)은 측은지심(惻隱之心), 수오지심(羞惡之心), 사양지심(辭讓之心), 시비지심(是非之心)을 말한다.
2) 교육적 인간상 : 인격이 갖추어진 인간
3) 교육방법
① 개인의 특성 중시 : 재질(材質)에 따른 교육으로, 즉 개인의 타고난 특성에 비추어 가르친다.
② 사고의 계발(啓發) : 학생의 적극적인 사고를 계발하고 이해력을 증가시켜 마음에 깨닫는 바가 있도록 한다.
③ 점진적 방법 : 순서에 따라 점차적으로 진행한다.
④ 환경의 중시 : 교육 환경을 중시하였다(맹모삼천지교; 孟母三遷之敎).
⑤ 가르치고 배우는 것을 병행 : 가르치는 일과 배우는 것의 병행을 강조, 그리고 교사와 학생의 조화를 강조하였다.
참고문헌 ------------------------------------------------------
1. 김윤수 지음, 탐구한국사, 형설출판사, 2002.
2. 변태섭 지음, 한국사통론, 삼영사, 2003.
3. 이영철 지음, 한국사총론, 고시연구사, 2003.

키워드

조선시대,   교육,   한국사,   국사,   관학,   사학,   성균관,   유교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4.05.16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08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