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담속에 나타난 우리 언어 문화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 차

1. 들임말

2. 속담의 개념과 특성
2-1. 속담의 개념
2-2. 속담의 생성과 정착
2-3. 속담의 기능
2-4. 속담의 특성
2-5. 속담과 속언의 차이

3. 속담 속에 나타난 우리의 문화, 의식
3-1. 남존여비적 사상
3-2. 혈연 및 이웃을 중시하는 문화
3-3. 체면, 격식을 중시하는 문화
3-4. 낙천적인 민족성
3-5. 체념의 미덕
3-6. 현실적, 실제적 사고를 존중
3-7. 언어를 중시하는 태도

4. 속담 속 여성관
4-1. 여성을 나타낸 속담
4-2. 여성에 대한 긍정적 속담
4-3. 속담 속 여성관의 이유
4-4. 비하된 여성

5. 그 외 다른 의미의 속담들
5-1. 건전한 생활 자세(준비성, 절약, 인내, 협동)
5-2. 효와 충에 관한 속담

6. 재미있는 북한 속담
7. 맺음말

본문내용

르면 남자도 '형'이라고 해야 할 것을 '오빠'라고 부른다는 뜻으로 자기의 주견이 없이 남이 하는 대로 덩달아 행동하는 자를 비웃는 경우에 이르는 말.
♣ 값도 모르고 쌀자루 내민다
⇒ 속내(속뜻)도 모르는 주제에 제나름으로 어리석게 행동하는 꼴을 비웃어 이르는 말.
♣ 갓 쓰고 박치기해도 제멋
갓을 쓰고 박치기를 하면 갓이 다 못 쓰게 될 것이나 그래도 하는 것은 다 제 하고 싶어한다는 뜻으로 무슨 짓을 하든지 하고 싶은 대로 하게 내버려 두라는 뜻으로 이르는 말.
♣ 강계 색시면 다 미인인가
⇒ 강계 녀자(여자)는 미인이라고 하지만 그렇다고 하여 강계 녀자라고 다 미인일 수는 없고 미인이 아닌 녀자도 있다는 뜻으로 훌륭한 것 가운데는 좋지 않은 것도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비겨 이르는 말.
♣ 고기 보고 기뻐 말고 가서 그물을 뜨라
⇒ 무슨 일이나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준비를 갖추고 노력을 기울이라는 것을 일깨워 이르는 말.
♣ 기윽(기역)자 왼다리도 못 그린다
⇒ 글을 전혀 모름을 비겨 이르는 말.
♣ 길을 떠나려거든 눈섭(눈썹)도 빼놓고 가라
⇒ 먼 려행길(여행길)에서는 조그마한 것도 짐이 되고 거추장스러우니 될 수 있는 대로 짐을 덜고 나서라는 것을 이르는 말.
♣ 꽃구경도 식후일
⇒ 아무리 아름다운 꽃이라도 배불리 먹은 다음이라야 아름답게 보인다는 뜻으로 무엇보다도 먹는 문제가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이르는 말.
♣ 남이 은장도를 차니 나는 식칼을 낀다
⇒ 남이 노리개로 곱게 꾸민 은장도를 차는 것을 보고 자기도 그처럼 한다고 식칼을 끼고 나선다는 뜻으로 일의 경우와 환경에 맞지 않게 행동함을 비웃어 이르는 말.
♣ 눈 온 이튿날 거지가 빨래한다
⇒ 거지는 단벌 옷밖에 없기 때문에 따뜻한 날에 옷을 벗어 빨래질을 한다는 데서 눈이 온 다음날은 날씨가 따뜻하다는 것을 이르는 말.
♣ 도깨비 기와장 뒤지듯
⇒ ① 책장을 이리저리 함부로 뒤지는 것을 이르는 말. ② 일을 실속있게 하지 않고 쓸데없이 이것저것 뒤지는 것을 이르는 말.
♣ 동냥도 안 주고 자루 찢는다
⇒ 무엇을 요구하는 사람에게 요구를 들어주기는 고사하고 도리어 해를 끼치거나 나무라기만 함을 이르는 말.
♣ 돼지꼬리 잡고 순대 먹자 한다
⇒ 성미가 급한 사람을 풍자하여 이르는 말.
♣ 무당네 뒤집(뒷집)에서 살았나
⇒ 어떤 일이나 잘 맞추어 냄을 우스개 소리로 이르는 말.
♣ 바람이 불어야 배가 가지
⇒ 어떤 일이나 조건이 먼저 해결되어야 목적하는 바도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비겨 이르는 말.
♣ 발보다 발가락이 더 크다
⇒ 기본이 되는 것보다 덧붙이가 더 많거나 크다는 것을 비겨 이르는 말.
♣ 소같이 벌어서 쥐같이 먹어라
⇒ 힘껏 벌어서 절약하여 쓰라는 뜻으로 일은 성실하게 하고 생활은 검박(검소)하게 하라는 것을 비겨 이르는 말.
♣ 자식 죽은 건 봐도 곡식 타는 건 못 본다
⇒ 농민들은 자기들의 피땀을 흘려서 가꾼 곡식을 가장 귀하게 여긴다는 것을 형상적으로 이르는 말.
♣ 작두로 이마를 밀어달라는 격
⇒ 너무나 어처구니가 없는 미욱한 요구를 내놓은 것을 비웃어 이르는 말.
(※ 미욱하다 : 미련하고 어리석다.)
♣ 장님이 셋이면 편지를 본다
⇒ 여럿이 힘을 모아 합치면 도저히 가능성이 없어 보이는 일까지도 해낼 수 있음을 교훈적으로 이르는 말.
♣ 지게를 지고 제사를 지내도 상관 말라
⇒ 제할 일을 자기가 알아 처리할 터이니 남들은 간섭 말라는 뜻으로 비겨 이르는 말.
♣ 코가 크고 작은 것은 석수쟁이(석수장이) 손에 달린다
⇒ 부처의 코가 커지는가 작아지는가 하는 것은 그것을 깎고 다듬는 석수쟁이가 할 탓이란 뜻으로 일의 결과 여부는 그것을 맡은 사람의 솜씨나 마음 여하에 달렸음을 비겨 이르는 말.
♣ 큰무당이 있으면 작은 무당은 춤을 안 춘다
⇒ 윗사람이나 저보다 기술이 나은 사람 앞에서는 스스로 앞에 나서서 일을 책임적으로 처리하기를 꺼려함을 비겨 이르는 말.
♣ 평안도 참빗 장수
⇒ ① 속이 너그럽지 못하고 매우 옹졸한 사람을 두고 이르는 말. ② 무슨 일이나 매우 이악하고 깐지게 하는 사람을 두고 이르는 말.
(※ 깐지다 : (성질이) 깐깐하고 차다.)
7. 맺음말
지금까지 속담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과 우리나라 속담을 분석해 보면서 그 속에 담긴 우리의 다양한 문화의식에 대해서 알아보고, 참고로 북한 속담 몇 가지도 소개해 보았다. 우리가 무심코 사용하던 여러 속담들 속에서 우리의 여러 가지 다양한 문화가 숨어 있었다는 것에 대해서 많은 걸 느끼게 된 계기가 된 것 같다. 그리고 그 문화들이 어느 한 계층에 국한되지 않는 생활 속의 문화라는 것을 더욱 명확하게 알 수 있었다. 시대가 변해가면서 더욱 여러 방향으로 의미가 변화되어 간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속담을 사용함으로써 더욱 풍부해지는 언어 문화로 발전했으면 바라며 부족한 점이 많은 이번 보고서를 마친다.
※ 참고 자료 및 참고 사이트
1. 참고 문헌
⑴ 말을 알면 문화가 보인다. (황병순) -태학사-
⑵ 한국의 언어와 문화 -경북대학교 출판부-
⑶ 속담의 의미와 기능 (황경자 외 6명) -태학사-
⑷ 한국 언어문화론 (김종록) -영한문화사-
⑸ 한국어와 한국 문화 (이승재 외 3명) -새문사-
⑹ 한국의 언어 문화 -경북대학교 출판부-
2. 참고 논문
⑴ 속담 분석을 통해 본 한국인의 심리표상(최상진, 유승엽)
⑵ 속담의 종합적 검토를 위하여(심재기)
⑶ 한국인의 전통적인 여성관; 속언 , 속담을 통하여(김종택)
⑷ 속담에 나타난 민족성(김선풍)
3. 참고 사이트
⑴ http://hometopia.com/proverb/indexpro.html 속담토피아
⑵ http://user.chollian.net/~jbg71 우리의 속담을 찾아서
⑶ http://my.dreamwiz.com/bym80/ 영민이의 속담과 사자성어
⑷ http://my.netian.com/~holdall/ 통일이의 북한말여행
⑸ http://dprknews.hihome.com/dprknews-1-9.html 북한 속담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4.05.16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09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