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기(motivation)란 무엇인가-개념.모형이론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 동기(motivation)란 무엇인가-개념.모형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동기의 개념

2.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

3. 동기에 관한 여러 가지 이론들
1) 본능이론
2) 정신분석학적 이론
3) 행동주의적 이론
4) 인본주의적 이론(Maslow이론-욕구5단계)
5) 인지주의적 이론
6) 사회학습이론

본문내용

8)은 Dweck의 연구를 확충하여 검증하였다. 그들은 내적 귀인을 체계적으로 강화시키고 모범을 보여주는 교사들로부터 내적 통제성이 학습될 수 있다고 보았다. 연구결과 그들은 훈련의 효과는 지속적이며, 이러한 귀인전략은 학교활동의 전역에 걸쳐 일반화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러므로 어떤 아동이 실패에 대해서 체념해 버리고, 개인적 책임감이 결여되어 있다고 여겨질 경우, 교사는 그 아동을 위한 체계적인 강화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이 현명하리라 본다. 아동들로 하여금 자신의 문제를 노력 결핍의 탓으로 돌리게 하고, 이것을 강화시키는 것이 Andrews와 Debus가 제공한 프로그램의 기본적 견해이다.
요컨대, 학생들이 학습에서의 성공과 실패를 외적 요인보다는 내적 요인에, 안정적 요인보다는 불안정적 요인에, 통제불가능 요인보다는 통제가능한 요인에 기인시킬 때 학습동기는 증가된다는 것이다.
동기의 귀인이론이 학교학습과 관련하여 교사에게 시사하는 바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학습자의 현재 학습행동을 고정된 것으로 생각하지 말고, 학습자를 적극적으로 도와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교사는 교육환경에서 인과적 귀인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확인하고, 실제로 그러한 변인과 관련해서 학습자에게 학습결과를 내적이고 통제가능한 귀인요인과 관련시켜 줌으로써 학습자의 교육적 경험을 증진시켜 주여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교사가 학생들에게 주는 평가적 피드백은 성취결과뿐만 아니라 그러한 결과를 초래하게 하는 언인과도 함수관계가 있다는 것이다. 동시에 교사의 평가적 피드백은 학생의 계속적인 과제수행 및 학습향상을 위한 동기유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교사는 성취결과에 따른 피드백은 물론 성취결과의 원인과 관련해서 평가적 피디백을 해주어야 할 것이다. 셋째, 귀인성향은 학생들이 학교에서 경험하는 학업성취의 성공과 실패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교사는 학생들에게 가능한 한 성공적인 학업성취의 경험을 많이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사는 학생들의 능력에 알맞는 학습과제를 제시하고. 그 과제를 학생들의 노력으로 해결할 수 있어야 하며, 또한 교사는 학생들의 지적 능력뿐만 아니라 노력의 결과도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학습환경이 경쟁적인 구조에서는 학습자가 성취결과를 능력과 운 등의 통제불가능한 요인으로 귀인함으로써 부정적인 정의적 특성을 갖기 숩고, 미래의 학습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지 않기 쉽다. 그래서 귀속이론은 경쟁적인 학습풍톱다는 협동적 혹은 개별화의 학습풍토가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6) 사회학습이론
- 동기의 사회학습이론은 행동주의적 접근과 인지적 접근을 통합한 것이다. 이 이론에서는 결과와 개인의 신념의 영향을 모두 고려한다. 사회적 학습이론에서의 동기에 대한 설명은 기대x가치이론(expectancy x value theories)으로 특징지울 수 있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동기라 두 개의 중요한 요소, 즉 개인의 목표도달에 대한 기대와 개인에게 주는 목표의 가치의 산물이라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중요한 문제는 "만일 내가 열심히 노력한다면 성공할 수 있는가?"와 "만일 내가 성공한다면 그 결과는 나에게 가치롭거나 중요한 것일까?"하는 것이다. 이 가운데 어느 하나라도 0이라면 목푤르 향한 일의 동기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이들 두 요소의 산물인 것이다. 예컨대 어떤 사람이 농구팀을 만드는데 좋은 기회를 가지고 있다고 믿고(높은 기대), 그 팀을 만드는 것이 그에게 매우 중요한 것이라면(높은 가치), 그의 동기는 강력해 질 것이다. 그러나 어느 한 요인이 0이라면(그 팀을 만들기 위한 선수가 없다고 믿거나, 농구에 별로 관심을 가질 수 없다면), 그의 동기 역시 0이 될 것이다. 동기에 대한 기대x가치론적 접근의 대표적인 예가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이다.
Bandura(1986)의 사회학습이론은 행동주의적 접근과 인지적 접근을 통합한 것으로 이 이론에서는 목표와 기대가 중요한 학습기제이다. Bandura는 동기를 목표지향적 행동이라고 보는데, 그 행동은 여러행위들의 예견된 결과와 자기 효능감(self-efficacy)에 관한 사람들의 기대에 의해 유발되는 것이다. 사람들이 목표와 현재의 수행 사이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 변화에 대한 유인이 생기게 되고, 목표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행동을 수행하기 위해 자기효능감이 요구되는 것이다. Bandura는 동기의 원천으로 적극적인 목표의 설정과 자기효능감에 의해 영향받는 가능한 행동결과에 관한 사고와 심상을 들고 있다.
자기효능감은 Bandura의 이론에서 중요한 개념으로서, 이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인지적, 사회적, 행동적 기능들을 통합하고 적용하는 기제로 구체적인 장면에서 과제를 일정 수준에서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개인적 신념을 가리킨다. 특정한 과제에서 자기 자신이 성공할 것이라고 상상하는 능력은 그 과제에 대한 자기효능감에 의해서 결정될 것임에 틀림없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교사의 칭찬을 바라고, 교사의 질문에 스스로 정답을 말할 수 있다면 교사가 칭찬하게 될 것이라는 믿고 있다(긍정적인 결과 기대) 그러나 정답을 말할 만한 실력이 안된다고 믿는다면(낮은 자기효능감), 학생들은 교사의 질문에 대답하려 하지 않을 것이다.
또 하나의 동기의 원천인 적극적인 목표의 설정에 대해서 살펴보면 어떤 사람이 설정한 목표는 성취결과를 평가하기 위한 그의 기준이 된다. 이때 자기효능감이 그가 도달하고자 하는 목표에 또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된다. 그가 목표를 향해 일을 해 나갈 때, 그는 가능한 긍정적인 성공결과와 부정적인 실패결과를 상상한다. 그리고 그가 설정한 기준에 부합될 때까지 계속해서 노력하는 경향이 있다. 설정한 목표에 도달하게 되면 잠시 이에 만족할 수도 있지만, 자신의 기준을 높이고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는 경향이 있다. Bandura에 의하면 강화는 사람들에게 무엇이 어떤 결과를 낳게 되는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사람들을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믿는 방식으로 행동하게끔 동기화하게 된다.
  • 가격9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4.06.01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38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