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문화 복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역사 문화적 배경

2. 조건

3. 자료
1. 상의
2. 하의(下衣)
3. 관모(冠帽)
4. 신( 화(靴), 이(履) )
5. 장신구
6. 발양(髮樣)

본문내용

그 출토 예가 빈약하나 그들이 착용하던 장신구의 유물에는 귀고리.팔찌.반지 등이 있다. 고신라와 가야인들이 애용하던 목걸이류는 고구려 고분벽화 인물도에는 그 착용 모습이 보이지 않고, 유물도 아직 출토되지 않아 그 예를 알 수 없으나 다른 장신구들의 예를 보아 목걸이도 착용했으라 추측된다.
(1)귀고리
귀고리에 대한 고기록으로는 먼저 ≪구당서≫음악지 고려악조에 "금당(金 )으로 장식하였다"고 하였고 ≪한원(翰苑)≫고려조 양원제직공도에 의하면 "귀를 뚫어 금환(金 )으로 장식하였다"고 하여 고구려인들의 귀고리 착용 예를 보여주고 있다.
유물로는 강원도 고성군 봉화리 제1호분 출토품으로 귀에 매어다는 부분은 놋으로 만들었고 나머지는 순금이다. 중간의 순금고리 밑에는 가는 황금줄로 만든 고리를 서로 잇대어 구형을 이룬, 마치 꽃바구니를 연상시키는 둥근 모양이 달려 있으며, 그 밑에는 얇은 황금판으로 만든 심엽형의 수식이 달려 있다.
(2) 팔지
팔찌에 대한 고기록으로 ≪삼국사기≫온달전은,
궁조는 보천(寶釧) 수십 개를 팔뚝에 차고 궁궐을 나와 혼자 갔다......이 금천을 팔아 집,노비,우마, 기물을 구입하였다....
고 기록하였다.
또한 고분벽화 인물도에도 양팔에 팔찌를 차고 있는 모습이 보이는데 팔찌의 착용 방법은 양팔에 착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며, 남녀공용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한번에 여러개의 팔찌를 차기도 한 것으로 보인다.
팔찌의 출토 예로는 주로 청동제와 은제품이 있는데 형태는 간단한 원형에 끝이 열려 있는 것도 있고, 사복문환식(蛇腹文環式) 팔찌도 있다.
(3) 반지
고구려의 반지는 지금까지 알려진 것으로는 금.은.동제가 있는데 수량도 많지 않고 대부분 간단한 형태이다.
유물을 보면 주로 단순한 형태의 소문환식(小文環式)반지와 고신라.가야 지역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능형(菱形)반지가 있다.
6. 발양(髮樣)
고구려 인들의 발양은 고분벽화를 통해 볼수 있다.
①고계- 안악3호분 부인의 머리는 높이 올려 고계로 틀고 환으로 장식.
②얹은 머리- 무용총 주실 오른쪽 벽의 밥상을 든 여인의 두발은 모발을 뒷모리로부터 앞머리로 감아돌리어 끝을 앞머리 가운데 감아 꽂은 것.
③쪽진머리- 각저총 주실 오벽 여인의 형태는 두발을 뒤통수에 낮게 튼 형태이다. 쌍영총 연도 동쪽 벽의 3명의 여인도에서도 볼 수 있다.
④푼기명머리- 삼실총 제 1실 남쪽 벽의 왼쪽 여인도에서 보면 좌.우 양볼에 두발의 일부를 늘어뜨리고 나머지 머리는 뒤로 묶은 푼기명 머리의 형태를 볼수 있다.
⑤상투- 각처총의 씨름하는 역사상(力士像)은 머리를 빗어올려 상투를 틀었다. 상투에는 정수리에 한 개의 상투를 트는 방법과 머리 좌우에 쌍상투를 틀어올리는 방법이 있다.
⑥변발- 장천1호분의 야유도에 보면 마당에 나와 놀고 있는 백성중에 머리를 땋아 뒤로 길게 늘어뜨린 변발의 형태를 볼 수 있다.
-참고 문헌-
韓國服飾史 우송옥, 1998 수학사
한국복식문화사 유희정.김문자, 1981 교문사
한국의 복식문화(Ⅰ) 임명미,1996 경춘사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06.05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42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