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문서 디지털 서비스 활용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언

2. 고문서 디지털화의 필요성

3. 고문서 디지털화 방법

4. 국내 고문서 디지털 서비스 현황

5. 과제와 전망

본문내용

적 기능을 화면상에서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웹 화면을 구성하되 다음의 사항에 주의한다.
■ 검색인터페이스
a. 관문 및 국편 통합 검색 창은 단순하며 명확한 인터페이스를 갖도록 구성한다.
b. 국사편찬위원회에서 구축한 각각의 DB에 대해 필요한 경우 상세 검색 화면을 구성하여야 한다. 상세 검색은 특정 DB에 대해 요소별 또는 요소간 다양한 검색조건이 충족되도록 인터페이스가 구성되어야 하며 상세검색이 필요한 DB는 주관기관에서 지정하도록 한다.
■ 목록 화면 : 책 단위에 포함된 기사들의 구조정보까지 표현될 수 있도록 화면을 구성한다.
■ 본문 화면 : 본문의 정보가 사용자에게 정확하게 전달되는 것을 일차적 목표로 본문 화면을 구성하며 필요한 경우 별도의 창이 뜨는 방식을 활용한다.
■ 웹 화면 내의 히스토리 바, 네비게이션 바, 링크 버튼이 담아야 할 내용, 바와 버튼의 화면 내에서의 위치를 사용자 편의에 맞추어 최적화한다.
- 기능성과 심미성 두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웹 화면을 설계, 작성한다.
고문서를 수집하고 이를 정리하여 사회사나 생활사 연구 자료집으로 간행하려는 전북대박물관의 노력은 주위에 있는 박물관이나 유관 기관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평가된다. 우선 국립전주박물관에서 고문서를 하나의 유물로 인정하여 국립박물관으로서는 최초로 1993년에 전시회를 개최하고 朝鮮時代古文書라는 도록을 발간하였다. 도록의 서문을 살펴보면 산업화로 급속히 인멸되어가던 고문서와 서구화되어 가던 인식 사이에서 국립박물관이 얼마나 고뇌하고 있었는가를 잘 알 수 있다.
우리 국립전주박물관에서는 우리 역사의 전시대에 걸친 다양한 주제의 기획전을 개최하여 왔습니다. 그러나 고문서를 주제로 한 기획전은 없었습니다. 그렇게 된 것은 고문서에 대한 인식부족이나 애정이 없어서가 아니라 우리에게 주어진 여건이 거기까지 미치지 못하였기 때문입니다. 주지하다시피 우리의 문화유산은 상당량이 인멸되어 가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고문서는 재질의 특수성으로 인해 더욱 쉽게 잃었고 지금도 없어져 가고 있습니다. 게다가 나날이 서구화되어 가는 우리의 의식구조는 그나마 남아있는 것조차 외면하게 되어 고문서에 대한 기본적인 애정마저도 함께 잃어져 가고 있는 것은 아니하는 두려움마저 들기도 합니다. 이러저러한 古文書界의 현상이 안타까워 우리 박물관에서는 조선시대의 고문서는 무엇이고, 어떠한 종류가 있으며, 그것은 역사연구에 어떻게 이용될 수 있는가 하는 것들을 재인식하고 연구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감히 조선시대 고문서 전을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 국립전주박물관, 조선시대고문서 (대영정판, 1993), 인사말.
일반 고문서 수집기관이 부딪히는 가장 큰 어려움은 역시 재정의 문제이다. 전북대학교 박물관의 예를 들면 고문서 자료집 간행을 위해 정서와 해제를 모두 마쳤음에도 불구하고 출판비를 마련하지 못하여 인쇄를 계속 미루고 있는 것이 그하나이며 매년 1,000 2,000점 씩 수집하던 고문서를 근 10여 년 동안 단 한 점도 구입하지 못했던 것도 이와 관련이 있다. 이와 같은 재정 부족 상황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문서를 학생이나 일반인들에게 널리소개하고 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은 홈페이지를 이용한 사이버 전시관 운영이라고 판단된다. 사이버 전시관을 개설하면서 도록에 수록하지 못했던 원문을 모두 글로 전환하여 소개하며 또 도록을 받지 못한 이용자들을 위해 고해상도 이미지를 준비하여 만일 이용자들이 이를 자료로서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언제든지 이를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배려한다. 원문 HWP 파일은 고문서의 내용을 그대로 正書(脫草)한 것으로 초서에 익숙치 못한 연구자들을 위해 첨부하며 고해상도 이미지는 고문서를 세밀하게 열람하고자 하는 전문연구자들을 위해 준비한다. 또 한글 프로그램을 가지지 못한 외국인을 위해 원문 HWP 파일을 그림파일로 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만일 원문을 HWP 파일로 받고자 원하는 이용자들이 있을 경우에는 이메일로 연락을 하면 바로 받아볼 수 있도록 조치한다. 이정도의 웹서비스 시스템은 소규모 자본으로도 충분히 제작되고 유지될 수가 있다. 물론 제작자의 면밀한 검토와 수고는 수반되지만 재정적 압박에서 벗어나면서 많은 이용자들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어 소규모 고문서 수집기관도 기관의 궁극적인 목표 달성을 이룰수 있을 것이다.
고문서에 門外漢이거나 고문서를 배우고자 하는 이들로 하여금 초보적인 정보를 웹상에서 조금이나마 좀 더 체계적으로 알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해야겠다. 고문서에 나타나는 색깔은 다양하다. 문서가 작성될 때에는 정확한 목적을 두고 생산되지만 문서에서 꼭 그러한 목적 하나만을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당시 글쓴이의 심정, 주위의 풍경, 기후변화, 제도 등 사회나 경제 또는 생활사의 여러 가지 단면들을 찾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웹페이지를 열람자로 하여금 관심과 흥미유발을 불러일으키는 동시에 고문서에 대한 많은 이해의 도움을 줄 것이다.
아스키코드로 입력을 하든 이미지 형식으로 입력을 하든 그에 대한 평이한 해제가 없는 자료는 단지 박물관에 전시되어 관람객이 보고 지나치는 자료로서의 가치만 있을뿐이다. 적어도 고문서에 대한 해박한 지식이 없는 우리에게는 말이다. 전문가의 시점이 아닌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찾는 일반이용자들을 위한 평이한 용어로 이루어진 해제와 곁들여 제공, 또한 이러한 디지털 전시가 이루어지면 더욱 많은 이용자들의 관심과 흥미를 불러일으키기 충분할 것이다.
■ 참고 문헌
1) 유사라, "멀티미디어 정보 관련 기술과 표준안에 대한 고찰", ■정보관리학회지■제13권 2호,
2) 강순애, "한국 고문헌 정보시스템의 구축 및 전망", ■제7회 4개학회 공동학술대회논문집■
3) 국립전주박물관, 조선시대고문서 (대영정판, 1993), 인사말.
4) 옥영정, "인터넷을 통한 국내 고문헌(古文獻)의 서비스 현황과 활용"
5) 이남희, "디지털 시대의 고문서 정리 표준화"
6) 전경목, "박물관에서의 고문서 수집과 전시"
7) 한국사고문서데이타베이스 홈페이지(
http://tube.encia.net/olddb
)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4.06.14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54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