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의 복식에 대하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복식이란?
신라복식(新羅服飾)

1) 통일 이전의 신라

사회문화적 배경
복식의 특징

2) 통일신라시대의 복식

사회문화적 배경
복식의 특징

신라 복식에 관한 레포트 작성 후

본문내용

인데, 일종의 목도리이다.
신라에서의 표도 영포제도를 본받은 것으로 볼 수 있다.
궁정부녀(宮廷婦女) 당(唐)
대구고(大口袴) -폭이 넓은 바지.
발목에 많은 여분이 있어 끝단을 여민 긴 바지가 대부분이다.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나타난 것을 보면 시자급의 인물은 세고(細袴)를 착용하였고, 이보다 지위가 높은 인물은 관고(寬袴)를 착용하고 있는데, 전자는 폭이 좁은 바지이며 후자는 대구고(大口袴)로서, 세고(細袴)는 통이 좁은 하서인(下庶人)의 하복(下服)이었고 대구고(大口袴)는 관할한 형태로서 귀인계급의 하복(下服)이었던 것이다.
신라의 단석산 석벽에 음각되어 있는 3인의 공양인물들과 당(唐)의 장회태자 이현묘(章懷太子李賢墓)에 나오는 벽화인물인 신라사절도 통이 넓은 대구고(大口袴)를 입고 있다.
대구고(大口袴)
통일신라의 사회 문화적 변화와 복식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신라가 부강해짐에 따라 삼국을 통일하여 국력이 강대해지고 문화가 찬란하게 빛났으며 제반제도, 시설의 정비, 경제생활의 안정과 예술도 고도로 발달하여 민족문화의 금자탑을 이룩하였다.
특히 불교를 신봉하여 불교예술이 극도로 발달하였으나, 이 시기의 유물이나 사적 자료가 거의 남아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 시기는 중국에 있어서 당(唐)나라가 융성하였던 때였으므로 신라에서는 삼국을 통일하기 위하여 친당정책을 썼는데, 제28대 진덕여왕은 왕금(王錦)이라는 비단에 수를 놓아 당나라에 보내고 김춘추(金春秋)를 보내어 왕과 조신(朝臣)의 장복(章服)을 청하였으므로 당에서 증여하였다고 한다.
그 후 통일을 완성한 문무왕 4년에는 부녀자들까지도 중국복식을 따르도록 한 일도 있다.
우리나라 고유한 복식이 중국의 영향으로 관활(寬闊)하게 변천되었고, 정식으로 받아들여
입게 된 것은 이것이 최초의 일이다.
이것은 궁중(宮中)이나 특수 유관자층(有官者層)에 한했다 하더라도 우리 복식에 미친 영향은적지 않았으므로 복식사상(服飾史上) 일대 변천기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신라에서는 골품제도라는 것이 있어 성골 이하, 진골, 6두품, 5두품, 4두품, 평민 등으로 나누어져 있었기 때문에 복식의 양상도 계급적으로 유형을 달리하게 되어 다양하게 발전했다.
흥덕왕대에 이르면 신라문화는 완숙기에 접어들어 복식이 대단히 사치했을 뿐 아니라 외래품을 숭상하고 계급의 복식질서도 문란해졌기 때문에 복식금지제도를 새로 제정하게 되었다. 여기에 의하면 의복재료도 삼국시대에 비하여 현저하게 풍부해져서 견직물(絹織物)로는 금(錦), 사(紗), 나(羅), 능(綾),견(絹), 주(紬),시, 세 등이 있었다. 이와 같이 옷감의 종류가 다양함에 따라서 복식양식도 호화찬란하게 발전하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당과의 외교관계로 당나라의 복식이 유행하여 삼국시대에 없었던 복두를 비롯해서 단령(團領), 반비(半臂), 배당, 표 등의 새로운 복식이 등장하였다. 이와 같이 통일신라의 복식은 호복계통(胡服系統)인 북방계통(北方系統)의 복식(服飾)을 기본으로 중국계 복식이 들어와서 우리나라 복식구조의 일부가 되어 소화 흡수 과정을 거쳐 국속화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복식도 주로 귀족계급에 한한 것으로 일반서민과는 관련이 적었던 것이다.
따라서 신라 말기에서의 통일신라의 복식은 당제(唐制)를 상류계급의 복식으로 하고 하류계급에서는 국제(國制)를 습용하고 있었다.
신라 복식에 관한 레포트 작성 후-나는 우리나라의 전통 의례복이나, 상복, 등이 고구려 벽화나, 일본에 남겨져 있는 우리 나라 사람들의 복식과 많이 다른 것을 보고 고대의 복식에 대해서 낯설게 생각해왔었다. 그렇지만 지금 우리에게 남겨진 복식의 대부분이 통일 신라 이후에 당나라의 복식제도가 우리나라의 복식 제도와 융합되면서 만들어진 것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렇지만 통일 신라의 복식 제도가 당나라의 제도에 완전히 융합된 것이 아니라 전통적인 삼국의 복식 제도에 당나라의 복식을 조화시켜나간 것이며, 금관이나 귀걸이 장식 등의 독창적이면서도 화려한 세공품을 남길 정도의 문화를 잠재해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다만 복식에 있어서도 지배계급의 복식(관복, 예복,,)에 대한 자료는 많이 남아 있지만 일반 서민들의 복식에 관한 자료는 많이 찾아 볼 수 없었던 것이 안타까웠으며, 자료가 부족해서 용어해석이 어려운 몇몇 전문단어에 대해서 제대로 된 각주를 붙이지 못한 것을 죄송하게 생각합니다.
<참고 문헌>
백영자, 최해율, 한국의 복식문화, 서울: 경춘사, 2000
고복남, 한국 전통 복식사 연구, 서울: 일조각, 1986
김영숙 편저, 한국복식문화사전, 서울: 미술문화, 1999
조효순 글,사진, 복식
유송옥 ; 이은영 ; 황선진 공저, 복식문화
유희경 ; 김문자 지음 한국 복식 문화사
유송옥, 한국복제사, 1998
안명숙, 김용서, 한국복식사, 교문사 , 1981
<관련 웹 사이트>
한국 복식 - 백영자 교수님 홈페이지
한국복식사에 총체적으로 구분 분류 설명,
http://spnode10.knou.ac.kr/korea_costume/main.html
한국복식학회
한국복식학회 학회지 목록-내용은 검색할 수 없음, 제목만 검색
http://www.ksc.or.kr/home/home/index.php
복식 문화, 복식문화에 대한 이야기
http://www.museum21.org/folk-list.htm
http://100.lycos.co.kr/entry/87/726387.asp?where=index&dme=&adquery=sungsin
라이코스 한국의 복식- 간략설명
http://www.fashionwide.com/fashion/costume%20design/korea/sunsa/main.asp
우리복식의 기원-선사시대-선사시대의 복식에 대해서 설명
한국복식문화2000년 고구려,백제,신라~ 그냥 요약정리되었다고 생각하면 될듯
http://www.hk.co.kr/woman/fashion/200104/wo20010429150931H4000.htm
서산여중 ICT 교과과정 연구회- 의복의 모든 것
간략하지만 요점적으로 설명이 잘 되어 있음
http://www.sjparkk.com.ne.kr/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4.06.19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60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