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중국에서는근대자본주의가열리지못했는가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序論)
- 들어가면서

Ⅱ. 본 론(本論)
1. 자본주의의 기원
1) 근대 자본주의에 대해서...
2) 자본주의의 정신
3) 금욕과 자본주의 정신

2. 서구의 문명과 자본주의
1) 서구 자본주의의 성립 및 발전의 배경
2) 영국의 자본주의 발전에 대해

3. 중국문명과 자본주의
1) 사회학적 기초
2) 중국의 교육과 유교적 생활지침
3) 중국에서 근대 자본주의가 출현하지 않은 이유

4. 베버의 견해에 대한 비판

Ⅲ. 결 론(結論)

- 참고문헌(參考文獻)

본문내용

벽하게 성취했다."
) M. Weber 『유교와 도교』, p. 119
고 강조하여 쓰고 있다.
자신의 권력에 대해 잠재적인 위협이었던 관료제를 약화시키기 위해 가산군주가 관료제에 의도적으로 제도적인 무력함을 부과했다는 베버의 견해는 관료제와 대치하고 있던 가부장적인 지방 자치세력에 대한 과대평가와 서로 합치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다양한 방책들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비효율적인 수준에 '얼어붙어'있던 관료제가 있었다. 이 관료제는 세습적인 관직을 가진 공공연한 봉건제도록 후퇴하지도 못하였고 또한 가산제적인 성격을 벗어던져 버리고 완전히 합리적인 제도로 전향적으로 성장해 가지도 못하였다. 다른 한편으로는 가부장적 씨족들이 있었다. 이들 씨족들은 민초(民草)들 사이에 효(孝)의 원리에 의해 육성되었다.
) 오토 반 데어 스프렝클,『막스 베버와 동양사회』, 제 4장 「베버의 중국사회론 비판」, pp. 153~156
베버가 중국의 자본주의에 대해 설명한 증거 가운데 어떤 것은 근거가 빈약하고, 그의 판단들 가운데 어떤 것을 틀린다. 그는 잘못된 사실을 강조하거나 중시하는 실수를 범했다는 비난을 받을 수 있다. 또한 그는 개념화의 천재였지만 때로는 그 자신이 그의 개념들에 의해 갇힌 죄수이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가 중국사회의 구조와 그 속에서 움직이고 있는 세력들을 훨씬 더 잘 추적하고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는 데 성공한 것은 매우 놀라운 일이다. 그가 관료제에 대해 제시하는 설명은 그의 저작이 갖는 장점과 단점을 잘 예시해 주고 있다. 전반적으로 살펴보면, 그는 관료제의 사회적 역할과 권위 및 효율성에 대해 근본적으로 부정확하고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친 판단들로 엮어져 있다. 이와 동시에 베버의 논의에서는 또한 모든 문제들과 온갖 쟁점들이 제기되고 갖가지 중요한 질문들이 한꺼번에 던져지고 있다. 비상한 통찰력과 직감을 통해 또한 매우 풍부한 예증적 비교를 통해 그리고 폭넓은 독서를 통해 베버는 계속해서 수많은 그리고 언제나 생산적인 새로운 탐구의 작업을 주도하는데 기여했다.
) 오토 반 데어 스프렝클,『막스베버와 동양사회』, 제 4장 「베버의 중국사회론 비판」, p. 158
Ⅲ결론(結論)
베버는 오늘날까지 초기의 그 어느 대가들보다도 광범위한 사회학적 연구와 이론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조나단 터너 · 레오나드 비글리 · 찰스 파워스 지음, 김문조 외 옮김, 『사회학 이론의 형성』
근대적 자본주의 정신, 그리고 그뿐 아니라 근대적 문화에 구성적인 요소 중 하나인 직업사상에 입각한 합리적 생활방식은 기독교적 금욕의 정신에서 탄생한 것이다. 서유럽에서 자본주의를 야기한 그 자극은 프로테스탄티즘과 관련된 종교적 신념이었으며, 그리고 바로 이런 이유로 베버는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을 집필했던 것이다. 베버는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에서 밝힌 금욕적 자본주의 정신에 기초하여 "왜 중국에서는 서구-미국과 같은 근대 자본주의가 생기지 않았는가?"라는 물음에 대해 『유교와 도교』책에서 그 물음에 답하고 있는 것이다. 그 물음에 대한 베버의 대답은 자본주의는 중국, 인도, 바빌론, 그리고 고대와 중세에도 존재했지만, 서구적-미국적 자본주의와 같은 독특한 에토스가 결여되어있었기 때문에 근대 자본주의가 열리지 못했다고 지적하였다.
중국이 초기 문명의 발상지라는 사실은 모두가 아는 사실인데, 문명의 발상지였던 황하문명의 좋은 자연적 조건과 다른 지역에 비해 일찍이 발달한 기술을 가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근대 자본주의가 열리지 못했던 점은 중국 사회의 종교와 경제활동 등에서 기인한다. 중국이 유교적 사회였단 사실이 중국의 권력구조를 오랫동안 유지시켜 주었던 큰 원동력이 되었다. 기독교와 유교의 경제사상을 비교해 보아도 유교가 더 합리적이었으나 유교는 바로 이 합리성 때문에 현실을 규제하는 데 큰 무리가 없었다.
중국의 관료제도와 신분제도는 분명히 합리적인 것이었으나 바로 이런 합리성이 경제의 서구적 합리화의 산물인 자본주의의 발전을 방해했던 것이다. 예를 들어, 중국의 신분이동의 자유는 영국의 그것과 실체는 비슷하나 그 기능은 정반대였다. 경제가 정치와 종교로부터 서서히 독립하여 독자적 영역으로 발전한 영국에서는 귀족이 경제인으로 전향했으나, 경제가 정치에 종속되었던 중국에서는 그 반대 현상이 일어났다.
이처럼 중국은 자본주의가 열릴 수 있었던 기반은 충분히 마련되어 있었으나, 그 필요를 느끼지 못했고, 종교적-문화적 요소에 의한 사회적 통제력 때문에 오랜 시간동안 전통적인 권위주의를 가진 사회로 지속되었다. 이러한 점이 베버로 하여금 중국의 자본주의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베버가 바라보았던 중국의 자본주의에 대한 해석을 비판하는 학자들도 있다. 하지만 그가 비상한 통찰력과 직감을 통해 전통중국의 사회적 구조를 폭넓게 분석했으며, '에토스 결여'라는 이유로 중국에서 근대 자본주의가 열리지 않았다고 설명하고 있다.
물론, 베버의 견해역시 자료 · 시각 등의 잘못으로 인해 수정되어야 할 부분이 있어야 하겠지만 그의 업적에 대한 현대적 해석에 있어서 부정적인 측면과 긍정적인 측면에 대한 균형 있는 평가가 절실히 필요하다. 분명한 것은 베버가 중국사회를 분석하고 근대 자본주의가 태동하지 못했던 점을 화폐 · 도시 · 정치제도 등의 사회적 원인과 유교 · 도교의 종교적 원인에서 찾아 밝히려 했단 사실은 사회학적으로 의의가 깊다 하겠다.
참고문헌 (參考文獻)
M. Weber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문예출판사 1988.
Naver.com 백과사전 참고.
터너 · 비글리 · 파워스 [사회학이론의 형성] 일신사 1997.
A. 기딘스『資本主義와 現代社會理論』한길사 1988.
M. Weber 『사회과학논총』을유문화사 1998.
M. Weber 『유교와 도교』문예출판사 1990.
김필년 『자본주의는 왜 서양문명에서 발전했는가』범양사 1993.
황런위 『자본주의 역사와 중국의 21세기』이산 2001.
유석춘 『막스베버와 동양사회』, 제 4장 오토 반 데어 스프렝클「베버의 중국사회론 비판」나남 1992.

키워드

중국,   자본주의,   막스,   베버,   프로테스탄트,   윤리,   동양,   서양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4.06.23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68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