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관리사업-가정간호, 일차건강관리, 건강증진, managed care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건강관리사업-가정간호, 일차건강관리, 건강증진, managed care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가정간호
1. 가정간호의 개요
1)정의와 목적
2)도입배경
2. 국내 가정간호사업의 역사
3. 가정간호사업의 유형
1)병원중심
2)지역사회중심
4. 2001년 보건복지 포럼
5. 국내 가정간호 연구동향
6. 미국의 가정간호

II. 일차건강관리
1. 일차건강관리의 개요
1)배경
2)정의와 개념
3)접근방법
2. 2003년도 보건진료소의 일차보건사업 내용

III. 건강증진
1. 건강증진 개요
1)정의
2)주요수단
2. 건강증진 사업의 범위와 내용
3. 건강증진법
4. 2002년 보건소 건강관리사업 현황
5. 2003년 보건소의 건강증진 생활실천사업
6. Article

IV. Managed Care
1. Managed Care의 개요
1)배경
2)정의 및 개념
3)종류
2. 우리나라 Managed Care - DRG

본문내용

(Delivery) : MCO는 자체 병원과 외래 클리닉을 운영하고 자체 의사를 고용한다. 그러나 다량의 자본투자로 인해 자금이 어려운 경우 의사, 클리닉, 병원과 연결해 계약을 맺는다.
③ 비용지불(Payment) : 지불기전은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인두제, 할인제, 봉급제의 지불체계를 이용한다.
인두제(capitation) - 의료제공자는 회원당 고정된 월간 총액을 지불받는다. 즉, 회원의 서비스 이용여부와 상관없이 1인당 정해진 비용을 받는다.
할인제(Discounted Fee) - fee-for-service의 수정된 형태로 볼 수 있으며 서비스가 전달된 후에 의료제공자가 각 서비스에 대해 MCO에게 청구할 수 있으나 이미 협상된 할인제에 따라 지불된다.
봉급제(Salary) - 의료제공자가 MCO에 고용된 경우 의사는 고정된 임금을 받는다.
3) Managed Care의 종류
오늘날 중요한 Managed Care의 두 가지 중요한 형태는 HMO(Health Maintenance Organization), PPO(Preferred Provider Organization)이다.
(1) HMO(Health Maintenance Organization)
PPO보다 더 제한적이며 가장 대표적인 건강유지관리 조직으로 예방을 포함한 포괄적인 의료 서비스를 보험가입자에게 제공하는 대신 보험가입자는 의료공급자의 선택에 있어서 제한을 받는다. HMO는 가장 흔한 유형의 MCO이다.
(2) PPO(Preferred Provider Organization)
환자가 PPO가 지정한 의료공급자를 이용할 경우 환자 본인 부담금을 경감시켜 주거나 급여의 범위가 더 포괄적으로 되는 등의 경제적 유인을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의료보험이다. PPO는 가입자로 하여금 지정된 의료공급자를 이용하게 하는 대가로 의료공급자들과 행위별 수가제의 할인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HMO와 PPO의 가장 큰 차이점은 PPO에서는 소비자가 지정되지 않은 의료공급자를 이용할 수 있으며(단, 본인부담금이 증가한다), 보험자와 의료공급자 사이의 계약이 수가의 할인일 뿐 HMO 처럼 계약된 비용으로 주어진 수가의 가입자에게 의료서비스를 해야하는 포괄적인 위험부담계약은 아니다.
2. 우리나라의 Managed Care - 포괄수가제(DRG)
1) 대두배경
우리나라에서 23년간 사용되었던 “행위별 수가제”는 개별 단위행위마다 급여 및 비급여 기준을 설정해야 하며 의료비 상승, 의료제공 행태의 왜곡이 심화되었다. 이제 정부는 지불제도 개편을 검토하기 위해 질병군별 포괄수가제의 도입을 위한 시범사업을 1997년부터 2000년도까지 실시하여 2002년 1월부터는 8개 질병군에 대해 포괄수가제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2) 질병군별 포괄수가제
의료서비스의 양과 질에 상관없이 질병군(또는 환자군) 별로 미리 책정된 정액 진료비를 병, 의원에게 지불는 제도이다. 예를 들면, 맹장염, 백내장 수술 등은 일반적으로 보편적인 질병군에 입원일수, 주가 및 검사 같은 진료내용에 관계없이 일정액의 진료비를 지급하는 것이다.
3) 질병군별(DRG) 분류체계
“진단명 기준 환자군”이라고 번역되는 DRG는 병원개선의 목적으로 미국의 예일대학팀에 의해 1960년대 말부터 10여년에 걸쳐 개발된 입원환자 분류체계이다. 입원환자는 주진단명, 수술명, 연령, 성별, 진료결과 등에 따라 진료내용이 유사한 질병군으로 분류되는데, 이때 하나의 질병군을 DRG라고 부른다.
한국형 DRG(K-DRG)분류체계는 예일대학의 refined DRG분류체계를 기초로 해서 현재 8개의 질병군인 「 수정체수술, 편도선수술, 항문수술, 탈장수술, 충수절제수술, 자궁 및 자궁부속기 수술, 제왕절개분만, 질식분만 」으로 분류되었다.
4) 2002년 5월 보건복지부의 DRG 관련 정책
○ 올해 안으로 전국 국공립 병원이 DRG 시행토록 추진
- 총 113개 국공립 병원 중 DRG 8개 질병군 발생가능 국공립병원은 73개소임. 이 중 28개소가 DRG 참여(38%)
※ 국립기관 3개 중 1개(33%), 시립기관 7개 중 1개(14%), 지방공사의료원 34개 중 18개(53%), 대학병원 및 보훈병원 등 특수법인 29개 중 8개(27%)
※ 보건의료원은 13개 기관 중 1개 기관 참여
- 참 고 문 헌 -
김소야자, 권보은(2000). 한국 가정간호 연구의 현황과 전망, 가정간호학회지, 7(1), 39-57
박정호 외(2000). 지역사회중심의 독립형 가정간호 시범사업소 운영체계 개발 및 운영결과 분석, 대한간호학회, 30(6), 1455-1464
배수정(2000). 질병군별(DRG)포괄수가제와 Case manager의 역할 , 제1회 QA 의료질 향상 실무교육
보건복지부(2003). 보건진료소의 일차보건의료 사업내용.
보건복지부(2002). 보건소 건강관리 사업현황.
보건복지부(2003). 보건소 건강증진 생활실천 사업.
보건복지부(2000). 보건복지포럼.
신영수(1995). 포괄수가제 도입과 의료의 질, 한국의료QA학회지, 2(1), 2-19
유호신(2000). 가정간호사업을 위한 의료법 제정의 의미와 과제, 한국가정간호학회지, 7(1), 15-24
조원정, 김진순, 권윤정, 유명란, 이영자, 권인숙(2003). 건강관리론, 서울:현문사
최혜련(2000). 우리 나라에서의 질병군별(DRG) 포괄수가제도 정책방향 , 한국가정간호학회 학술대회 및 보수교육
David Simmons and Judith A. Voyle(2003). Reaching hard-to-reach, high risk population : Piloting a health promotion and diabetes disease prevention programme on an urban marae in New Zealand,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18: 41-50
Ed Silverman(2002). Compensation Complaints: HMO Executives See Smaller Salary
Increase, Managed care, May: 33-34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4.06.24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70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