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보상절 권6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석보상절 권6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조어법
(1) 단일어
(2) 합성어
(3) 파생어

2. 조사
(1) 격조사
(2) 보조사
(3) 접속조사

3. 어미
(1) 어말어미
(2) 선어말어미

4. 곡용과 활용
(1) 곡용
(2) 활용

본문내용

현재
눈 앞에 전개되는 사실을 나타내는 선어말어미 '-다-'는 다른 시상 선어말어미들과 배타적 분포를 가지고 있다. 다만 객체높임법이나, 주체높임법 어미에 후행하고 상태높임법 어미나 의도법어미에는 선행한다.
■■ 사미 사모려 힝다다 힝아(2), 니힝리링 긋게 힝시다니 엇더힝니힝고(7), 출가힝라 가다니(9), 부텨를 맛나 잇다니(11), 도리링 닷까시다니(12)
③ 미래
미래의 선어말어미 '-리-'는 매개모음에 의하여 '-(잎/으)리-'로 교체된다.
■■ 열반 득호밑 나 까게 힝리라(1), 듸던 이 까팅니 이시리힝고(5)
④ 부정칭
선어말어미 '-니-'는 어떤 동작이나 상태를 객관적으로 확인하여 말할 경우에 사용된다. 이 어미는 동작이나 상태의 객관적인 확인이므로 과거와 관련된 것으로 생각되나, 동작이나 상태의 시간과 무관하거나 그 시간이 중요하지 않으므로 부정치으이 시상어미라 할 것이다.
■■ 녀느 쉰 아힝도 다 출가힝니라(10)
3) 의도법 선어말어미
의도법의 선어말어미는 '-오/우-'가 있다. 의도법 선어말어미가 관형사형어미와 결합되면 뒤에 오는 단어가 관형사형으로 쓰인 동사의 목적어임을 나타내고(대상법), 그 밖의 어미와 결합하면 1인칭 주어에 호응함을 나타낸다.
■■ 힝론 주를 니르니라(힝+오+른, 2), 즐굽드리워 딪온 힝들(딪+오+ㄴ, 6), 발원혼 이링 혜다 모링다다(하+오+ㄴ, 8), 힝논 힝디오(힝다+오+ㄴ, 9), 힝논 마리니(힝다+오+ㄴ, 10), 닷까시다니 나도 그리 호리라(힝+오+리라, 인칭법, 12), 며느리링 어두리라(얻+우+리라, 13)
4) 감동법 선어말어미
감동법의 선어말어미는 '-도다, -도소니, -도소힝다'등의 '-도-, -돗-'이다. 이 선어말어미는 화자의 감동을 나타낸다.
■■ 밑힝매 맛도다(14)
4. 곡용과 활용
(1) 곡용
체언에 조사가 통합될 때 그 체언이 교체를 보인다. 그 교체의 방식이 중세국어에서는 활용의 어간과 비슷하므로, 하나의 체언에 조사가 통합되어 어형이 달라지는 것을 곡용이라 한다. 곡용은 규칙적곡용과 불규칙곡용, 그리고 특수곡용이 있다.
1) 규칙적 곡용
규칙적곡용은 명사의 어간의 정해진 조건에서 자동적 교체를 보여주는 것이다. 어간말음이 'ㅈ, ㅊ, ㅿ'이면 'ㅅ'으로 교체되고, 'ㅍ, ㅌ'이면 각각 'ㅂ, ㄷ'으로 교체된다. 또한 명사의 단독형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명사가 곡용을 하면 명사어간에 'ㅎ'말음을 가진 단어들이 있다.
2) 불규칙곡용
중세국어에서는 비자동교체를 보이는 명사도 있다. 이러한 비자동적 교체를 보이는 명사들의 독립형은 공통된 음운론적 조건을 가지고 있다. 그 말음절이 'ㄴ, ㄹ, ㅿ'등 유성자음과 모음'잎/으'로 되어 있다는 것이다. 또한 어간말음이 모음 '이'인 명사들은 속격조사 '잎/으'및 호격조사 '아'가 연결될 때 그 모음 '이'를 탈락시킨다. 불규칙적으로 곡용을 하는 명사들의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단독형
주격
목적격
부사격
(처소)
부사격
(도구,방향)
부사격
(접속)
서술격
보조사
(대조)
보조사
(역시)
나모
남기
남까
남까
남까로
나모와
남기라
남까
나모도
구무
군기
굼까
굼긔
굼그로
구무와
굼기라
굼근
구무도
녀느
년기
년글
년긔
년그로
녀느와
년그라
년근
녀느도
불무
붊기
붊글
붊긔
붊그로
불무와
붊그라
붊근
불무도
단독형
주격
목적격
부사격
(처소)
부사격
(접속)
서술격
보조사
(대조)
보조사
(역시)
노링
놀이
놀잎
놀잎
노링와
놀이라
놀잎
노링도
까링
까이
까잎
갈잎
까링와
까이라
까잎
까링도
다링
다이
다잎
날잎
다링와
다이라
놀잎
다링도
시르
실이
실을
실의
시르와
실이라
실은
시르도
힝링
힝리
힝링
힝링
힝링와
힝리라
힝링
힝링도
밑링
밑리
밑링
밑링
밑링와
밑리라
밑링
밑링도
단독형
주격
목적격
관형격
서술격
부사격
아힝
애이
애잎
애잎
애이라
아힝와
여힝
예이
예을
예의
예이라
여힝와
아힝
애이
애잎
애잎
애이라
아힝와
여힝
예이
예을
예의
예이라
여힝와
인칭대명사의 곡용
1인칭
2인칭
미지칭
재귀대명사
주격
·내
:네
·뉘
:제
속격


:뉘

■■ ·네 가라비국에 가아(1) : 인칭대명사의 곡용(2인칭 단수)
·내 태자링 셤기힝힝딪(4) : 인칭대명사의 곡용(1인칭 단수)
져믄 아힝 어느 듣짜힝리힝고(11) : 관형사의 곡용(부사로 쓰임)
제 겨집도 됴한 상이 까고(12) : 인칭대명사의 곡용(재귀대명사)
(2) 활용
활용은 용언의 어미가 특정한 조건(음운론, 문법론적인 조건)에서 변하거나 특정한 어미만을 취하는 것을 뜻한다.
국어에서 서술어로 쓰이는 단어는 활용하게 되는데, 이를 활용이라 한다. 특히 중세국어의 계사 '이라'의 어간 '이-'는 중세국어의 주격조사 '이'와 같은 음운론적인 조건으로 체언에 결합된다. 특히 계사의 활용에서 동사, 형용사와 크게 다른 점은 어미와의 연결에서 나타난다는 것이다.
'아니'는 현대국어와 같이 부사로 사용되었으나, 격조사와 결합하여 품사를 바꾸기도 한다.
활용어간의 교체는 곡용어간의 교체와 대체로 일치한다. 그리고 활용에 있어 어미는 어간의 말음이나 모음에 따라서 교체를 보이는데, 중세국어에서는 그러한 교체뿐만 아니라 다른 교체도 나타난다. 첫째, 모음조화에 따라 활용어미들이 교체되며, 둘째, 매개모음 연결 여부에 따라 일부 자음어미들은 매개모음을 가지는 것들이 있다. 셋째, 두음이 'ㄱ'인 어미 '-거-, -게/긔, -고'등은 선행형태의 말음이 'ㄹ'이나 'ㅣ'이면 'ㄱ'이 탈락하여 '-어-, -에/의, -오'등으로 교체된다.
■■ 나후라링 노하 보내야 섀재 딪외에 힝라(1) : 활용어미의 교체('-어-, -에/의, -오')
부텨 까팅시긔 힝리힝다(4) : 활용어미의 교체('-거-, -게/긔, -고')
외링고 입게 딪외야(5) : 활용어미의 교체('-거-, -게/긔, -고')
화인잎 세존ㅅ 신력으로 딪외의 힝샨 사링미라(7) : 활용어미의 교체('-어-, -에/의, -오')
장자ㅣ 닐굽 아딪리러니(13) : 계사의 어간의 교체
어듸힝 됴한 힝리 얗짜 까짜니 잇거뇨(13) : 모음어간의 비자동적 교체
호미라 호리 가힝멸오 발심힝더니(14) : 활용어미의 교체('-어-, -에/의, -오')

키워드

석보상절,   문법,   중세,   국어,   중세국어,   권6
  • 가격8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4.06.28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77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