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만 달러 달성을 위한 신(新)경제성장 로드맵(Road Map)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만 달러 달성을 위한 신(新)경제성장 로드맵(Road Map)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Ⅱ. 세계 산업 환경의 변화와 한국의 산업 1
1. 세계경제의 패러다임 변화 1
2. 한국산업의 현황과 평가 2
3. 한국산업의 문제점 4
4. 새로운 산업발전 전략의 필요성 6

Ⅲ. 지식기반서비스산업에 대한 이론적 고찰 7
1. 지식기반서비스산업의 정의 7
2. 지식기반서비스산업의 역할 및 중요성 8
3. 지식기반서비스산업의 문제점 8

Ⅳ. 차세대 성장동력 서비스산업의 성공적인 추진방안 9
1. 차세대 성장동력 발전비전 및 주요전략 9
2. 서비스산업의 성공적인 추진방안 11

Ⅴ. 결론 14

【참고문헌】 16

본문내용

다.
(4) e-비즈니스산업
첫째, e-비즈니스 제도개선 및 활성화 기반을 확충해야 한다. 이를 위해 서면제출의무, 대면본인확인, 거래품목제한 등 디지털경제로의 이행을 방해하는 아날로그 규제와 불투명한 거래관행을 개선하고 기업의 투명성을 제고해야 한다. 또한 전사적시스템통합(EAI), B2B 통합(B2BI), 지식관리시스템(KMS),전사적자원관리(ERP) 등 차세대 전략기술을 개발하고, e-비즈니스 대학원 지원, 세계 최고대학과 연계한 글로벌 교육과정의 개발 등을 통해 고급 e-비즈니스인력을 양성해야 한다.
둘째, 기업공통의 B2B 물류기반을 구축하여 종합물류서비스를 제공하고, 정부전자조달을 활성화하고, 전자학습(e-Learning)산업을 고부가가치 지식산업으로 발전시킴으로써 효과적인 인적자원 양성 및 지식경영에 활용한다.
셋째, 산업의 e-비즈니스화를 가속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 2010년까지 전산업의 e-비즈니스화를 정착시키고, 전자상거래 규모를 전체거래의 50%이상으로 제고하기 위해 자동차, 전자, 철강 등 선도업종을 중심으로 e-비즈니스를 통해 기업간 협업, 산업간 결합 모델을 확산하고, 모바일비즈니스(m-business), 양방향 TV 상거래(T-commerce) 등 차세대 e-비즈니스수익 모델을 개발하여 보급하는 정책을 추진하여야 한다.
넷째, 중소기업의 e-비즈니스 추진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3만개 IT화 사업을 심화 발전시키고 중소기업의 e-비즈니스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하며 시스템 업그레이드, ERP 도입, 대-중소기업간 협업적 IT화의 구축, 기초 S/W등에 대한 지원을 지속해야 한다. 또한 사이버 체험관, e-산학연 지원단의 구성과 운용 등 중소기업의 자율적 IT화 환경을 조성하고, 기업의 투명성과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지원하되 중소기업의 기업간 전자상거래에 대해서는 세제지원을 강화하는 방안을 강구한다.
다섯째, e-비즈니스의 글로벌화를 추진한다. e-비즈니스기업 해외진출협의회(2002. 6 설립)를 통해 국내 e-비즈니스 기업의 해외시장 개척을 지원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KOTRA에 설치된 글로벌 e-비즈니스지원센터를 통해 시장정보를 제공하고 사업파트너를 알선하는 방안과 현지 교민과의 유기적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안 등을 추진이 필요하다. 또한 전자무역 네트워크 구축, 전자상거래 정보포털 구축 등 ASEM을 통한 아시아와 유럽간 e-비즈니스협력을 주도하는 전략이 추진되어야 한다. 일본, 중국, 영국, 핀란드 등과 정보교환, 기술교류, 합작투자 등 양자간 e-비즈니스 협력을 강화하는 한편, ebXML, 로제타넷 등 글로벌 e-비즈니스의 구현을 위한 국제표준화활동 강화해야 한다.
제5장
Ⅴ. 결론
정부가 유통, 물류, e비즈니스, 비즈니스서비스 등 4대 지식기반서비스업을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선정하고 집중 육성키로 한 것은 잘한 일이다. 세계 경제시스템이 제조업에서 서비스업으로 빠르게 옮겨가고 있으며, 서비스업종의 핵심 축이 지식기반 서비스업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더욱 그렇다. 뿐만 아니라 서비스산업이 제조업 등 여타 산업의 혁신을 촉진하고,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한다는 것이 주지의 사실이고 보면 지식기반서비스 산업을 한국경제를 이끌어 갈 차세대 성장엔진으로 삼겠다는 것은 정책의 가닥을 제대로 잡은 올바른 선택이라고 볼 수 있다.
 현재 109조원에 불과한 4대 지식기반서비스업의 부가가치가 오는 2013년에는 225% 증가한 355조원 규모로 늘어나고, 특히 성장기에 진입하게 되는 유통물류 산업의 경우 향후 10년간 부가가치가 3배로 늘어나 140만명의 고용창출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물론 계획대로 이뤄진다는 보장은 없다. 유통 물류, e비즈니스, 비즈니스서비스, 디자인 등 4대 지식기반서비스업을 성장동력으로 삼아 선진국으로 도약하겠다는 전략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어려움을 극복해 나가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무한경쟁시대로 접어들면서 이제 신기술과 신지식의 습득은 부가요소가 아닌 생존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그런 측면에서 보면 우리 정부가 지식기반서비스업을 성장 축으로 삼는 등 세계경제의 흐름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것은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본다. 특히 지식사회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출현하면서 기술과 노하우가 산업 전반의 생산성과 품질경쟁력을 높여주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더욱 그러하다.
 서비스부문이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부상하려면 모든 것이 달라져야 한다. 지금부터라도 지식기반 서비스산업을 국가 아젠다로 삼아 기술개발, 인력양성, 산업인프라 조성, 국제협력, 법 제도 개선 등을 망라한 실행방안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동주 외(2001), 『지식정보화시대의 산업입지 및 군집체계연구』,국토연구원.
김영수(2002), 『지역산업의 생산성과 결정요인 분석-지식기반제조업을 중심으로-』, 산업연구원.
김인중 김영수 김선배(2001), 『지식기반경제에서의 지역혁신체제 구축모형』, 산업연구원.
민경휘(1998), 『서비스산업과 제조업간 연관구조 변화의 분석』, 산업연구원.
오상봉, 김인중 외(1999), 『지식기반산업의 발전전략』, 산업연구원.
이건우, 장석인(1999), 『지식기반산업의 성장요인 분석』, 산업연구원.
이공래 외(2002), 『지식집약서비스 부문의 혁신 특성과 전략』,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현대경제연구원(2002.12), 『VIP Report』
산업자원부(2003), 『2010 산업자원비전(산업)』
OECD(1996), Special Theme : The Knowledge-based Economy, Paris : OECD.
OECD(1997), Industrial Competitiveness in the Knowledge-Based Economy : The New Role of Governments, Paris : OECD.
OECD(2000a), Korea and the Knowledge-based Economy, Paris.
OECD(2000b), The Service Economy, Paris.
(산업연구원)
(산업자원부)
(통계청)
(현대경제연구원)
  • 가격3,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4.06.28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79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