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럽문화의 요소 분석 및 한국에서의 클럽문화의 특성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클럽문화의 요소 분석 및 한국에서의 클럽문화의 특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 배경
2. 연구의 목적
3. 연구방법
II. 본론
1. 클럽과 클러버
2.홍대 앞이란 공간과의 연계
3.한국에서 클럽 문화가 가지는 의미
Ⅲ. 결론
-참고문헌-
-그 외 다른 참고 자료

본문내용

로 열리고, 큰 공터나 운동장에서 밤새도록 노는 문화가 없는 이 땅에서 굳이 친목도모를 위한 것이 아니라면 모여서 놀 필요가 없는 것이다. 더구나 '약'에 대한 규제력이 강한 법적, 문화적 지형 내에서 달갑지 않게 받아들일 만한 요소를 안고 있다. 몇몇 유학생이 여름 즈음에 귀국하면서 엑스터시를 유입하는 것을 클럽문화의 전부인양 보도하는 언론의 선정적인 태도는 클러버들이 '마녀사냥'이라 일컬을 만큼 정도가 심하다. 클러버들중 몇몇은 클럽 씬에 대한 애정에서 비롯된, 기존의 언론에서 선정적으로 비춰온 클럽문화에 대한 해명의 욕구를 강하게 가지고 있었다.
주의해야 할 것은 외국에서 환각제와 불가분에 있는 클럽문화가 한국에서 수용될 때는 어느 정도의 변이를 거쳤다는 것이다. 많은 클러버들이 클럽문화의 핵에 놓여 있다 말하는 레이브 문화의 연원을 거슬러 올라가볼 때 히피 문화와 맥이 닿아 있음을 말하곤 하는데,'마약과 사이키델릭의 세계로 도피했던 히피즘'이 '도피적 일탈의 예'로 범주화 되는데 비해 한국의 클럽문화는 환각제가 빠져있는 만큼 보다 소극적 의미의 '일탈의 장' 역할을 수행한다.
(4)한국 클럽 문화만의 특성
타 하위문화의 매니아들이 대중문화 텍스트-영화, 스포츠, 음악, 만화 등-을 적극적으로 자기화하고, 전문가 정도의 식견을 자랑할 정도로 그 분야에 관한 정보를 모으고 학습하는데 적극적이라면 클러버들은 몸을 동반한다는 점에서도 다른 양상을 보인다. 특이할 점은 반드시 클럽에 출입하는 이들만이 클러버는 아니라는 점이다. 클럽에서 디제잉 되는 트랜스, 하우스, 하드코어 테크노 등의 음악만을 즐기는 이들도 '클러버'로 규정가능 하다는 면에서 클러버들 내에 다양한 층위가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클럽 주위를 걸으며 마주치게 되는 클러버들의 다양한 의상들은 트랜드에 맞추어 '교복'과도 같이 비슷비슷한 옷을 입고 다니는 대부분의 젊은이들과의 차별성을 단번에 느낄 수 있게 한다. 일본 스트리트 패션에서도 강한 영향을 받은 것처럼 보이는 이들은 저마다 다르게 눈길을 끄는 스타일을 구사한 이들과 어울리며 편안해 보인다. 클럽 마트마타 앞에 위치한 놀이터에서 매달 열리는 마켓에 진열되는 의상과 소품들도 좀처럼 다른 곳에서는 구하기 힘든 것들이다. 명약관화하게 보이는 외관상의 차이에서 더 나아가면 행위 예술, 가치관에서의 독자성 역시 거론된다. PLUR(Peace, Love, Unity, Respect)라는, 상호존중에 바탕한 애정을 공유한다는 정신을 흔히 이야기하는데 이러한 관념적 측면이 클러버들의 일상에 깊이 침투해있다고 보기는 힘들다. 하지만 이러한 구호를 누구나 클러버의 정신으로 주저 없이 말할 수 있다는 것은, 클러버라는 집단의 요소가 가치관까지 내포하고 있는 복합적인 것임을 스스로도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신참 클러버들과 골수 클러버( 클럽에 출입한 기간으로 따져보았을 때)를 단번에 가릴 수 있다는 클러버들의 의견을 따라가보면 이들을 관통하는, 일상적으로 체화된 특정한 분위기가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담배를 무는 동작이나 찻잔을 쥐는 손짓 하나에도 문화적 의미가 스며 있다고 한다면 클러버들의 몸짓을 사회적, 문화적 의미로 다시 풀어내는 것 역시 가능하다.
다른 시선들에의 초연함, 문화적 관용성 등은 한국에서 엄격하게 규제되는 환각제에 대한 의식적 수용과 함께 어느 정도 가닥이 잡히는 이들의 성격을 그려낸다. 클럽에 출입하는데는 만원 안팎의 돈밖에 들지 않지만 여기에 오는 이들의 의상과 새벽까지 노는데 필요한 택시비, 클러버들이 기본적으로 체득하고 있는 감수성이 갈고 닦아지는데 까지 전제되는 음악과 영화, 사진, 등의 영상 매체에 대한 접근도 등을 보았을 때 이들이 보보스에 가까운, 넉넉한 경제력과 문화적 소양까지 갖춘 이들이 주요층을 이루고 있지 않나 생각할 수도 있다. 기존의 여러 하위문화 집단에서 보이는 '저항성'이라는 것을 선뜻 언급하기 어려운 것도 이와 맥을 같이 한다. 싸이월드와 다움 카페 등등에 개설되어 있는 클러버들의 개인 홈페이지를 방문해 보면 영화에서부터 사진, CF, 현대 미술에 대한 독특한 감수성에서 비롯된 감별력, 음악을 '찾아 듣는' 즐거움을 만끽한다는 것을 증명하는 음반들의 컬렉션, 대중소설과는 구별되는 소설과 시들의 감각적이면서도 훌륭한 구절들을 선별해 내어 내보이는 능력 등이 공통적으로 발견된다.
Ⅲ. 결론
클럽문화는 아직 정착 과정에 놓여있다. 언론에서 선정적 보도를 일삼아 왔으며 이에 상호작용하는 대중의 인식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낯선 문화에 대한 편견들은 결국 '이해하지 않으려 하는 '태도에서 연유한 것이며 실재 클럽문화는 오해 속에서 이를 바라본 시각들과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클럽문화는 춤/음악/클럽을 찾는 사람들/ 현대 대중문화 생산,소비,유통의 매커니즘/ 한국의 대중문화 지형을 모두 아울러 살펴볼 때 가늠 가능한 것이기에 클럽문화에의 온전한 접근이 힘들었는지도 모른다. 이러한 문제 의식에서 비롯된 이번 연구는 결국 클럽문화의 새로운 놀이문화로서의 가능성과 순기능에 천착하게 된 면이 있다. 문화의 다양성 확보라는 차원에서도 여러 문화적 현상들이 복합적 측면에서 조명되고 수용되어야 할 것이다. 클럽문화 역시 그러하다.
-참고문헌-
강내희, 문화론의 문제 설정, 문화과학사,1996
고종석, 코드 훔치기, 마음산책, 2000
김창남, 대중문화의 이해, 한울 아카데미, 1998
박재환 외 일상문화 연구회, 술의 사회학, 한울 1999
신현준, 입 닥치고 춤이나 춰, 한나래 팝컬쳐, 1998
원용진, 대중문화의 패러다임, 한나래, 1996
일상문화 연구회, 한국인의 일상문화[자기성찰의 사회학], 한울, 1996
Roy Shuker(이정엽, 장호연 공역), 대중음악사전, 한나래 팝컬쳐, 1999
-그 외 다른 참고 자료
보그 걸 코리아 2003년도 6월호
휘가로 걸 2003년도 6월호
보그 걸 코리아 2003년도 6월호
GQ코리아 2002년도 12월호
Weekly Friday 2002 12월호
이무웅, 장소마케팅전략에 관한 문화정치론적 연구 -서울 홍대 지역 클럽 문화를 사례로-,지리학과,2003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4.06.28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79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