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 식생활문화의 차이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남북한 식생활문화의 차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보고서시작에 앞서......

1. 북한 식생활의 발자취
1) 해방 이후 전쟁 시기까지의 식생활
2) 1950년대의 식생활
3) 1960년대의 식생활
4) 1970~90년대의 식생활
5) 북한의 신분별 식량ㆍ식료품 공급 기준량

2. 북한의 일상음식, 특별음식, 당가류와 음료

3. 북한과 남한의 음식이름 차이

4. 남북한 음식의 지역별 특징과 대표적인 음식
(남북한의 음식문화 차이)
1) 북한(함경도/자강도와 양강도/평안도/황해도)
2) 남한(서울/강원도/경기도/충청도/경상도/전라도/제주도)

5. 북한 사람들의 식생활에 관한 생각
“쌀은 공산주의다”

6. 북한식생활 예절

7. 변하지 않은 우리 입맛과 상차림

8. 이해를 돕기위한 기타자료들

9. 남북 식생활 문화교류 방안

10. 간단한 이북 음식 만드는 방법

11. 남한에 있는 유명한 북한 음식점

결론 및 느낀점

참고자료

본문내용

명성은 전국적으로 유명하다. 모란각의 평양냉면은 조미료를 사용하지 않아 맛이 깔끔한것이 특징이다. 일산시 외곽에 자리잡고 있어 교통은 불편하지만, 근처에 호수공원이 있어 식사후 산책을 즐기기에 좋다.
② 진달래각 : 외환딜러였던 최세웅, 무용수 신영희씨 부부가 운영하는 진달래각에는 다른 음식점에서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음식이 많다. 북한의 인텔리 계층이었던 최씨 부부는 일반 대중들이 맛볼 수 없는 고급 요리를 접할 기회가 많았다. 국내의 거의 공개되지 않은 북한의 고급 요리에는 공통적으로 몸을 보해주는 약재가 들어간다. 식당은 100여 명을 수용할 수 있는 깔끔한 분위기의 1층 홀과 별실을 갖춘 2층으로 나뉘어 있으며, 부산과 광주에 분점이 있다.
③ 평양관 : 1994년 11월 귀순한 박명남씨는 평양관의 운영자인데 국내에서 유일하게 북한 고급 요리사 자격증을 취득한 요리사 출신이다. 북한의 고급 요리란 평양요리를 말한다. 고기와 야채 등 음식에 들어가는 재료를 아끼지 않고 화학 조미료 대신 재료 고유의 맛을 최대한 이용하는 것이 평양 요리의 특징이다. 기계의 힘을 빌리지 않기 때문에 시간과 정성을 들여 만들어야 하는 것이다. 평양관에서 가장 먼저 맛봐야 할 음식은 평양냉면, 메밀가루를 재료로 가늘게 뽑아 낸 면발과 냉동 육수가 맛의 비결이다. 다른 재료를 섞지 않고 메밀가루만으로 만든 면은 부드럽고 구수한 맛을 낸다. 육수는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꿩고기와 무, 파, 마늘, 생강 등 향신야채를 함께 넣고 푹 고아 비린내와 느끼한 맛을 없애 구수하고 시원하며 감칠맛이 난다. 시원하게 트인 창을 통해 임진강을 내려다볼 수 있는 전망 좋은 곳에 위치해 있다.
결론 및 느낀점
남과 북의 음식맛이 다소 편차를 가지고 있다고 하여 어떤 이질화를 가져온 정도는 아닐 것이다. 평안도 김치와 전라도 김치의 통일, 함경도 단고기와 경상도 개고기의 통일은 이미 이루어져 있는 탓이다. 함경북도 끝녘의 김치와 전라도 목포쯤의 김치가 다소 맛깔이 다르다고 해서 김치가 다른 것은 아니다. 분단된 세월이 반백 년 가까이 되지만 민족음식의 원류는 남과 북 모두 동일한 것이다. 더욱이 그 '입맛'을 지켜내려고 한 북한사회의 노력은 긍정적으로 인정되며, 통일 뒤의 하나로서의 민족음식문화를 전개하는 데 많은 기초가 될 것이다.
어렸을 때부터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라는 말을 들어가며 통일의 필요성을 부각시켜왔다. 하지만 그 통일의 이유가 단지 한 민족이기 때문에 꼭 통일해야 한다는 단순한 생각에 지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따라서 구체적이고 합리적인 우리나라가 꼭 통일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지에 대해 알고, 이를 통해 통일에 대한 신념을 쌓을 필요가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북한의 식생활문화와 거기에 따르는 남북한의 음식문화차이에 대해 살펴본 바에 의하면 역시 반세기라는 시간이 매우 길다는 것과 체제의 차이가 제도나 생활상에 대해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았다.(또한 문화는 역사적으로 형성된 것이므로 역사를 배제할 수 없다는 것!!) 그러나 50년이라는 세월과 북한 사회주의 체제가 우리 민족의 고유의 특성, 전통을 완전히 지워버리지는 못했다. 우리 모두가 좀 더 북한과의 관계에 관심을 갖고 통일을 위한 노력을 재개해야된다는 생각이 든다. 대책없이 그저 통일만을 바랄 것이 아니라 남.북 서로의 문화와 생활에 대해 서로 많은 관심을 두고, 배우고, 알아가면서 느껴감으로 인해 이질감을 없애고 친밀감과 동질성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겠다.
통일은 반드시 올 것이고, 매우 가깝게 다가서고 있다. 한민족의 통일은 비단 우리에게뿐 아니라 세계사적으로도 중요한 일이 될 것이다. 물론 통일 과정만큼 통일 이후도 중요하다.
남과 북은 나름의 서로 다른 체제에서 나름의 역사발전 경로를 거치면서 살아왔다. 그러나 민족동질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민족생활풍습이 민족공동체적 심성을 세워나가는데 기여할 것은 당연하다고 본다. 음식하나에서도 우리는 동질감을 느끼며 서로 잘 융합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 또한 민족생활풍습에서 상호간에 간직해온 미풍양식들은 고스란히 통일의 저력으로 이어질 것이다.
이 과제를 통해서 통일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게 해주신
교수님께 감사드린다. *
앞으로 북한에 더욱 더 관심을 가지고 그들을 우리의 민족으로 뜨거운 가슴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사람. 21세기 통일의 물꼬를 트여나갈 수 있는 사람중의 하나가 되고 싶다. ^ ^
참고자료
김혜영, 조은자 외3 공저, [ 문화와 식생활], 효일문화사, 1998.3.7
주강현 저, [북한의 민족생활풍습 50년사], 민속원, 1999.5.25
주강현 저, [북한의 우리식 문화], 당대, 2000.9.8
윤서석 저, [(우리나라) 식생활 문화의 역사], 신광출판사, 1999.
옥문석 저, [우리 음식문화], 한수협출판부, 2003.
한국역사연구회 북한사학사연구반 저, [북한의 역사 만들기], 푸른역사, 2003.6.12.
와다하루키.다카사키소지 저, [북한을 읽는다], 녹두, 2003.8.5.
http://cont1.edunet4u.net/n0783/3_nadri/nadri_11.htm
(북한음식이름)
http://home.kmu.ac.kr/~food/cyber/015-4k.html
(지역별 한국의 향토음식)
http://www.nis.go.kr(국정원)
http://www.durihana.com/kjw1.htm(북한의 식생활)
http://www.koreascope.org(북한문제 조사 연구소 홈페이지)
http://ysytop.hihome.com/north-8.htm(북한의 요리사이트)
http://www.5858.pe.kr/041/main.htm
(김종영의 북한의 요리사이트)
http://www.morangak.co.kr
(북한 음식점문점 모란각 홈페이지)
http://www.sonmandoo.co.kr
(이상조의 북한전통손만두사이트)
http://kin.naver.com(네이버 지식인 검색)
http://kdaq.empas.com(엠파스 지식인 검색)
http://kr.ks.yahoo.com(야후 지식인 검색)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4.06.30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84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