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교수이론-강신복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체육교수이론-강신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효율적인 교수의 이해
1) 교수기능의 체계적 개발
2) 교수 및 교수결과의 사정
3) 효율적 교수

2. 체육교수의 이해
1) 효율적인 체육교수와 체육수업의 생태
2) 체육수업의 운영·관리
① 예방적 수업운영
② 학습자 관리
③ 상호작용

3. 체육수업의 실제
1) 체육수업계획
2) 학습지도의 실제
3) 교수결과의 측정

본문내용

순서에 따라 제시한다
④ 학생의 이름을 부르기 전에 발문한다
⑤ 학생의 대답을 반복하지 않는다
⑥ 학생에게 질문에 답할 시간을 준다
⑦ 질문을 되풀이 하지 않는다(명확하게 한번에)
⑧ 상호작용이 질문수준과 일치하는가를 확인한다.
: 회고적 질문 - 정확한 답을 요구
분산적 질문 - 다양한 답을 요구
⑨ 좀 더 많은 학생이 참여할 수 있도록 재차 질문한다(같은 질문을 다른학생에게)
⑩ 너무 많은 질문은 교사의 지배가 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5. 교수 대행자로서 학생의 이용
1) 교사가 학생을 교수대행자로 이용하는 방법
① 협력자 클럽을 조직 : 유치원부터 고등학교 전학년의 프로그램에 이용
(상급생이 하습생을 지도)
② 동일학급의 학생을 이용하여 다른학생을 가르치는 것(모스턴의 상호학습)
③ 교수대행자가 교사가 의도한 학습지도 시스템과 일치된 방법으로 과제를 수행하고 있는가를 확인한다.
2) 교수대행 학생의 선발기준
① 운동기능 수준
② 학생들과의 인간관계 정도
③ 체육에 대한태도
6. 학생 운동 수행의 관찰
1) 관찰 시스템 : 학생의 성장은 달성한 과제의 수에 의해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다.
(체력검사, 기능검사보다 더 신뢰성 있다)
2) 누구의 통제하에 점검되는가에 의해 구분
① 학생통제에 의한 점검표 : 학생 자신이 점검
② 파트너통제에 의한 점검표
③ 학생 또는 파트너와 교사의 분담 통제 : 학생은 학습과제를 점검하고 교사는 학습과제의 도착점 행동을 점검
④ 교사에 의한 과제수준별 관찰 : 과제로 주어진 운동수행을 관찰하고 학습목표의 형식적인 평가는 배제 - 시간은 절약되나 전체흐름을 파악하기는 어렵다
⑤ 교사협력자 통제에 의한 점검표 : 교사협력자인 학생이 다른 학생의 운동기능을 평가하고 교사는 교사협력자의 신뢰성을 점검한다.
교사협력자는 훈련이 필요하다
3) 점검표에 의한 관찰시스템은 관찰자와 운동수행의 관찰관점의 차이에 따라 다르다
① 관찰자 : 교사, 교사대행학생, 파트너, 학생
② 운동수행의 관찰관점 : 학습과제 달성, 학습목표 달성, 각목표별 시행회수
Ⅲ. 교수 및 교수결과의 측정도구
1. 전통적 교수 사정법
: 신뢰성이나 타당성이 낮다
① 직관적 판단법 : 교수에 관한 통찰력과 경험이 있는 장학사가 교사의 활동을 보고 그것에 대한 전체적인 판단을 내리는 방법
② 목견적 관찰법 : 장학사나 협력교사가 교사의 지도행위를 일정시간 관찰하고 수업종료 후 교사와 수업활동에 관해 토의
- 잘못된 개념, 이전의 경험, 암시로 인한 지각적인 오류를 범하기 쉽다
③ 일화기록법 : 관찰자가 수업활동을 기록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교사와 토의하는 방법
관찰기록은 전문가에 의해 이루어진다.
④ 점검표와 평정척도
- 점검표 : 관찰자가 판단을 내린 일련의 진술이나 특징을 점검하도록 작성한 것
장점 : 계속적인 관찰도구로서 진실한 자료수집이 가능
단점 : 점검표의 진술항목이나 내용의 정의가 명확하지 않다.
- 평정척도 : 많은 선택점을 가질수록 더욱 정확하고 정교하지만 신뢰롭다고는 할 수 없다. 반면에 선택점이 적을수록 신뢰성은 높아지나 정확한 정보를 얻을 확률은 낮아진다.
전통적 교수사정법은 체계적인 관찰체계와 함께 사용될 때 효과적이다.
2. 체계적 관찰방법
① 사건 기록법 : 명확하게 정의할 수 있는 행동범주가 일정시간 내에 일어나는 개별적인 사건을 누가적으로 기록하는 것(발생빈도 정보)
방법 : 일정한 관찰시간을 결정하여 시간간격을 두고 반복측정한 후 1분당 비율로 환산한다
- 짧은 시간동안 기록하여 효율적으로 교사행동을 측정할 수 있다.
② 지속시간 기록법 : 학생의 행동을 시간단위로 측정하는 것
- 어떤 행동이 지속되는 시간의 길이가 중요시 될 때 유용한 방법
- 지속시간 기록법으로 얻은 시간을 수업전체 시간으로 나누어 백분율로 환산
- 전체 수업시간의 일부를 표집하여 사건의 지속시간을 기록
③ 간격 기록법 : 행동을 단시간 관찰하고 어떤 행동이 그 시간을 대표하는지를 결정
- 시간간격의 길이는 짧아야 한다(6초 - 20초)
- 지속시간을 측정할 수도 있다 : 신뢰성이 높다
문제점 : 각 간격의 시간이 너무 길면 대표하는 행동을 기록하기 어렵다 시간간격을 짧게 해야 신뢰도가 높다
④ 자기 기록법
장점 : 제 3자의 힘을 빌리지 않고 기록가능
교사 자신이 어느정도 통제할 수 있는지를 평가 가능
3. 관찰기법의 적용
- 관찰하고자 하는 행동을 고려하여 방법을 선택
- 관찰자의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가장 신뢰성있는 데이터를 수집
- 다양한 행동을 규칙적으로 표집하고 전체 수업시간에 걸쳐서 고루 표집
4. 관찰체계의 개발
1) 관찰 내용의 선정 : 관찰하고자 하는 변인의 선택
① 개별적인 교수행동 : 질문, 피드백의 제공, 적절한 학생행동의 강화, 부적합한 행동의 제지등
② 분석단위 : 교수-학습과정의 중요한 측면을 규정하는 교사변인, 학생변인, 교사-학생변인
③ 준거과정 변인 : 학생의 학습에 관해 직접적인 증거를 제공하는 학생과정 변인
(실제학습시간, 단위 시간당 학습시행 빈도수)
2) 관찰체계의 선정
: 선택한 변인의 관찰기술 선택
① 관찰기술과 변인간의 조화
② 여러 가지 기술을 하나의 관찰체계에 통합
(예) · 대부분의 교사행동 - 사건기록법
· 수업장면과 같은 일정한 분석단위 - 지속시간 기록법
· 실제학습시간과 같은 전반적인 준거과정 변인 - 간격기록법
3) 관찰 방법
① 관찰자에게 단서를 제공할 수 있도록 사전에 녹음을 해두는 것
② 가능한 한 학습행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
③ 관찰전에 필요한 모든 준비를 마친다
4) 관찰자 훈련
① 관찰자는 행동의 정의를 학습해야 한다
② 수업상황을 문자화하여 내용을 연구하고 행동을 분류하도록 한다
③ 필요시 범주, 실예, 그밖의 다른 문제를 토론하여야 한다
④ 관찰자에게 비디오 테잎을 통해서 관찰 연습을 하도록 한다
⑤ 관찰자가 수업현장에서 연습할 수 있도록 기회를 부여한다
⑥ 관찰자 훈련기간동안 기록결정 일지를 보존한다
⑦ 관찰자는 최저 수준의 신뢰성 기준을 만족시킬 때까지 훈련하여야 한다
⑧ 연구자는 관찰자가 행동을 정확하게 부호화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가끔 신뢰성을 확인해야 한다.

추천자료

  • 가격5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4.07.02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91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