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 사회의 변화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 1

Ⅱ. 본 론 ··· 1

1. 근대 사회의 태동 ··· 1
1) 피지배층의 각성
2) 근대 사회로의 움직임

2. 제도의 개편과 정치 변화 ··· 1∼7
1) 통치 체제의 개편
2) 정국의 변화와 탕평책
3) 정치 질서의 파탄

3. 경제 구조의 변화와 사회 변동 ··· 7∼14
1) 생산력의 증대
2) 시장권의 확대
3) 사회 구조의 변동
4) 사회 변혁의 움직임

4. 문화의 새기운 ··· 14∼19
1)사상과 학문의 동향
2) 사회 개혁론의 대두
3)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4) 과학의 기술과 진전

Ⅲ. 결 론 ··· 19

본문내용

선 후기에는 과학의 연구가 연구로서 끝났던 것이 아니라, 현실 생활에 적용되고 있었다. 기술의 개발은 농업, 어업, 건축 등의 분야에서 현저했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돋보였던 것은 농업 기술 분야였다. 17세기에 이르면서 생산력의 증대가 사회적 과제로 제기되었으므로 농업 기술의 개발이 요청되었다. 이에 진보적 지식인들은 특히 농업 기술 연구에 힘을 기울였다. 먼저, 신속은 농가집성을 펴내 이앙법의 보급에 공헌하였는데, 여기에서는 곡물의 재배 기술을 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 시기에는 소득을 보다 많이 올릴 수 있는 농법에 농민들의 관심이 컸다. 이에 박세당은 색경에서 곡물 재배법 외에 채소, 과수, 화초의 재배법과 목축, 양잠 기술에 대해서 소개하였다. 즉,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고,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는 새로운 농법을 제시하였다. 농학에 대한 연구와 노력은 조선 후기의 농업 생산력을 높이는 데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어업 기술도 새로운 것이 개발되었다. 어살[魚살]을 설치하는 어법이 보급되고 어망의 재료도 보다 튼튼한 면사로 바뀌는 등 어구가 개량되었다. 17세기에는 김 양식의 기술이 개발되어 전라도를 중심으로 보급되었고, 18세기 후반에는 냉장선이 등장하여 어물의 유통이 더욱 활발해졌다. 기술의 개발에 앞장섰던 사람은 정약용이었다. 정약용은 인간이 다른 동물보다 뛰어난 것은 노력에 의해 발달되고, 선진 기술과 과감히 수용하는 가운데서 혁신된다고 보았으며, 기술의 발달이 인간 생활을 풍요롭게 한다고 확신하였다. 과학과 기술의 중요성을 확신하고 있었던 정약용은 인간이 다른 동물보다 뛰어난 것은 기술 때문이라고 보았다. 또, 기술은 인간의 노력, 그것도 집단적인 노력에 의해 발달되고, 선진 기술을 과감히 수용하는 가운데서 혁신된다고 보았으며, 기술의 발달이 인간 생활을 풍요롭게 한다고 확신하였다. 과학과 기술의 중요성을 확신하고 있었던 정약용은 스스로 많은 기계를 제작하거나 설계하였다. 그는 정조가 수원에 행차할 때 한강을 안전하게 건너도록 주교를 설계하였다. 또, 중국을 통하여 알려진 서양의 축성법을 연구하여, 화성을 쌓을 때에 거중기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그밖에 선박의 건조, 총포, 병차의 제조 등에 관해서도 새로운 지식을 보급하였다.
Ⅲ. 결론
조선 후기 사회의 변화에 대해 조사하면서 조선은 근대 사회를 지향하는 움직임이 이미 존재했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이를 토대로 일제 강점기 시기, 일본이 조선 사람들을 식민화 하기 위해 만든 식민 사관 중 '정체성론' 에 관한 것은 근거가 없는 것이라 단언할 수 있었다. 이 부분을 공부하면서 그 당시, 신분의 차이 없이 민중과 지도부 모두가 자율적이며 진취적인 개혁을 꾀했다면, 우리 스스로도 충분히 독립적이고 자주적인 개혁을 이룰 수 있는 자질이 있지 않았나 하는 아쉬움이 또한 남았다.
◈ 참고 문헌 ◈
강만길, 1973 《朝鮮後期 商業資本의 發達》, 1984 《朝鮮時代商工業史硏究》
강만길 외, 1994 《한국사》 7 8 9 10
강재언 외, 1983 《封建社會解體期의 社會經濟構造》
강주진, 1971 《李朝黨爭史硏究》
高東煥, 1998 《朝鮮後期서울商業發達史硏究》
국사편찬위원회, 1977∼1978 《한국사》 9∼15, 1993∼ 《한국사》 22∼
근대사연구회, 1987 《韓國中世社會解體期의 諸問題》上·下
김동철, 1993 《朝鮮後期 貢人硏究》
김성윤, 1997 《朝鮮後期 蕩平政治 硏究》
김옥근, 1984·87·88·92 《朝鮮王朝財政史硏究》 Ⅰ·Ⅱ·Ⅲ·Ⅳ
김용덕, 1977 《朝鮮後期思想史硏究》, 1978 《鄕廳硏究》, 1983 《韓國制度史硏究》
김용섭, 1970 《朝鮮後期農業史硏究》 Ⅰ·Ⅱ, 1988 《朝鮮後期農學史硏究》
김태영, 1983 《朝鮮前期 土地制度硏究》
김홍식, 1981 《朝鮮時代 封建社會의 基本構造》
망원한국사연구실, 《1862年 農民抗爭》
민성기, 1988 《朝鮮農業史硏究》
민현구, 1983 《朝鮮初期의 軍事制度와 政治》
박용숙, 1994 《朝鮮後期社會史硏究》
부산대 국사교재편찬위원회, 1993 《한국사의 이해》
성대 대동문화연, 1972 《19世紀의 韓國社會》
송찬식, 1973 《李朝後期 手工業에 關한 硏究》, 1997 《朝鮮後期 社會經濟史의 硏究》
신용하, 1997 《朝鮮後期 實學派의 社會思想硏究》
우 윤, 1993 《전봉준과 갑오농민전쟁》
유승원, 1987 《朝鮮初期 身分制硏究》
이경식, 1986 《朝鮮前期 土地制度史硏究》
이범직, 1991 《韓國中世禮思想硏究》
이성무, 1980 《朝鮮初期 兩班硏究》, 94 《韓國의 科擧制度》
이수건, 1979 《嶺南士林派의 形成》, 84 《韓國中世社會史硏究》, 89 《朝鮮時代 地方行政史》
이영훈, 1988 《朝鮮後期社會經濟史》
이이화, 1994 《조선후기의 정치사상과 사회변동》
이재룡, 1984 《朝鮮初期 社會構造硏究》, 1989 《朝鮮儒敎社會史論》
이태진, 1985 《朝鮮後期의 政治와 軍營制變遷》,
이태진 외, 1985 《朝鮮時代政治史의 再照明》
이해준 김인걸 외, 1993 《조선시기 사회사 연구법》
이호철, 1986 《朝鮮前期 農業經濟史》
이훈상, 1990 《朝鮮後期의 鄕吏》
장병인, 1997 《조선전기 혼인제와 성차별》
전형택, 1989 《朝鮮後期 奴婢身分硏究》
정만조, 1997 《朝鮮時代 書院硏究》
정석종, 1983 《朝鮮後期 社會變動硏究》, 1994 《조선후기의 정치와 사상》
정옥자, 1988 《朝鮮後期文化運動史》, 1990 《朝鮮後期文學思想史》
지두환, 1994 《朝鮮前期 儀禮硏究》
최완기, 1989 《朝鮮後期 船運業史硏究》, 1992 《朝鮮時代史의 理解》
평목실, 1982 《朝鮮後期 奴婢制硏究》
한국고문서학회, 1996 《조선시대 생활사》
한국역사연구회, 1991-1995 《1894년 농민전쟁연구》 1-4, 1995 《한국역사입문》 1 2, 1996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1 2
한우근, 1961 《李朝後期의 社會와 思想》, 1983 《東學과 農民蜂起》
한영우, 1997 《朝鮮時代 身分史硏究》
향촌사회사연구회, 1990 《조선후기 향약연구》
  • 가격4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4.07.15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07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