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극을 중심으로 살펴본 <은세계> 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하기 보다는 소설 공부에 보다 많은 열의를 보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즉, 이인직이 일본에서 신연극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고 귀국한 것이 아니므로 그가 국내 최초로 시도한 신연극이 우리나라의 최초의 신연극이라고 명명되어질 만큼의 문학사적 의의를 획득하지 못하고, 오히려 그 후에 좀더 정제된 형식의 신소설 <은세계>가 나온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5. 나가며
<은세계>는 신극이냐, 창극이냐라는 두 개의 논의가 서로 대립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논의는 같은 맥락에서 이루어지고 있다고 생각되지 않는다. 즉, 은세계를 신극이라고 보는 측면은 그것이 상연된 장소, 즉 연극전용극장인 원각사에서 행해졌던 형태를 중시한 논의이다. 하지만 창극으로써 은세계를 바라볼 때에는 은세계의 작품내용이 주로 논의되어진다. 작품속에 내재해 있는 최병두타령을 중심으로 그 극이 창극에 머물고 있다고 이야기되는 것이다.
또한 <은세계>를 신소설적 측면으로 접근해가느냐 연극대본으로써 접근해가느냐의 문제가 있다. 이것 또한 어느 한쪽이 맞다고 단정하기는 힘들다고 할 수 있다.
<은세계>에 대한 논의는 어느 한쪽이 옳다고 결론내리기 어렵다. 각각의 논의들이 몇 개의 사실적 근거를 가지고 정당성을 주장하고 있지만, 다들 몇 가지의 부분적 사실을 가지고 시작된 논의들이기 때문에 그것에 대한 반론을 피할 수 없는 것이다. 바로 이 부분에서 <은세계>의 문학사적 의의가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해보았다. 개화기 시기에 창작된 <은세계>는 소설·희곡(연극대본)·신극·창극으로써 여러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고, 이런 것들로 인하여 오늘날 그 시대를 보는 문학적 시각을 넓히게 만들어주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김영민, 「신소설 <은세계> 연구」, 『매지논총7』, 연세대학교매지학술연구소, 1990. 2
김용관, 『한국 근대희곡의 새지평』, 푸른사상, 2002.
서연호, 「원각사의 <은세계>공연」, 『문예진흥』,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81.9.
양승국, 「'신연극'과 <은세계>공연의 의미」, 『한국현대문학연구』6집, 월인, 1998.
오학영, 「개화기 연극과 그 형성과정」, 『서울여대』13, 1983.10.
윤일수, 「'신소설'의 희곡 장르 내포에 관한 일고찰」, 『국어국문학』제 128호, 국어국문학회, 2001. 5
이용남, 『신소설 바로읽기』, 국학자료원, 2001.
최원식, 「은세계 연구」, 『민족 문학의 논리』, 창작과 비평사, 1978 여름
  • 가격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7.17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08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