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상기태(胞狀寄胎, Hydatidiform mloe)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포상기태(胞狀寄胎, Hydatidiform mloe)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0. 서론

. 종류
1. 증상
2,진단
3.치료
4.예후
.주의점

본문내용

판단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 포상기태 제거 후 화학요법(chemotherapy after hydatidiform mole)
임신성 융모성 질환은 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의 측정과 영양배엽세포의 항암제에 대한 민감성의 두 가지 요소에 의하여 임상적 경과추적이 용이하게 되었습니다. 포상 기태는 일반적으로 약 80%는 기태 제거 후 자연 경쾌되는 양성 질환의 경과를 밝으나 약 12~15%는 영양배엽증식이 부분적으로 다른 조직으로 침윤하는 침윤성 기태의 양상을 나타내며 약 5~8%는 다른 조직에 전이를 일으킬 수 있는 악성 질환인 융모상피암으로 진행됩니다. 추적검사중 지속적 임신성 융모성 질환으로 진단되어 화학요법치료의 적응증이 되는 것은 ① 조직소견상 융모상피암, 침윤성 기태, 태반부착부위 융모상피성종양, ② 전이병소의 발견, ③ 기태 제거 후 추적검사에서 hCG β-아단위 값의 양성, ⑤ 경쾌 후의 추적검사에서 다시 hCG β-아단위 값이 양성을 보일 경우 등입니다.
▶ 포상기태 제거 후 임신
임신문제는 추적검사 첫 1년간은 피임을 해야 합니다. 임신을 하게 되면 hCG 값이 상승하므로 지속적 임신성 융모성 질환에 의한 hCG 값의 상승과 구별이 되지 않고 또한 잔여 영양배엽이 임신으로 인하여 자극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경구피임제의 사용은 지속성 융모성 질환의 빈도를 높인다는 보고가 있으나 오히려 LH의 생성분비를 억제시킴으로써 hCG 측정시 LH와의 교차 반응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사용해도 무방하다는 것이 일반적 견해입니다. 포상 기태 제거 후 다음 임신에서 융모성 질환의 발생률은 상당히 증가한다고 하며 반복되는 포상 기태는 정상에서보다 약 10배 이상 된다고 합니다. 그러나 선천성 기형의 빈도는 정상임신과 유사합니다. 그러나 임신 초기에 초음파검사 등으로 정상 임신임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며 6주 후에 융모성 성선자즉호르몬 측정으로 융모상피암의 발생여부를 확인하여야 합니다.
4. 예 후
포상기태는 어떤 임신 이상보다 병후가 중요하다.
융모암은 일반적인 암보다 발육이 빠르고, 전이하기 쉬우며, 다량의 출혈로 생명에 위협을 주기도 한다. 그러므로 포상기태를 앓은 후에는 건강 관리에 항상 주의해야 한다.
***주의점***
1.처음 3개월간은 1주일에 한 번, 그 후 1년간은 1개월에 1회 정도의 정기 검진을 받아야 한다. 주기적으로 HCG 혈액 검사를 실시하여 정상화된 후에도 다시 증가 하지 않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2.치료 후 정상이면 병후 1~2개월 후에 월경이 나타난다. 그러나 임신을 하는 것은 의사와 충분히 상의해야 하며, 의사가 허가할 때까지는 적어도 1년간은 확실히 피임해야 한다.
3.월경의 결과에 주의해야 한다. 자궁에 내용물이 남아 있거나 악성화 하면 정상적 인 월경이 되지 않는다. 정상이면 수술 후 1~2개월 후에 월경이 나타나므로 주의 를 기울인다. 처음의 임신에서 포상기태였다고 하더라도 다음 임신에서는 90% 이 상이 정상 임신이 되므로, 불임을 염려할 필요는 없다.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07.24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17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