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사상과 법가사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 공자, 맹자, 순자를 통해 본 유가사상
1. 공자의 철학
2. 맹자의 철학
3. 순자의 철학
4. 유가사상의 모든 것
※ 한비를 통해 본 법가사상
1. 한비의 철학
2. 법가사상의 모든 것
※ 유가사상과 법가사상
1. 예(禮)가 지닌 도덕적 성격과 법적 성격
2. 예치(禮治)와 법치(法治)

Ⅲ. 결론

본문내용

장하는 반면, 법가는 법과 도덕의 엄격한 분리의 입장에서 극단적인 경우에는 악법도 법이라고 주장한 것이다.
이를 통해 예치(禮治)와 법치(法治)의 구분은 도덕에 의한 통치인가 법에 의한 통치인가로 구분될 수 있는 것이다.
Ⅲ. 결론
이제까지 유가사상과 법과사상을 살펴보았다. 지금 레포트를 끝내고 마지막 점을 찍는 이 순간까지도 나는 내가 유가와 법가사상에 대해서 얼마나 이해했는지에 대해서 딱 잘라 말할 수 없다. 이해했다고 말할 수 있는 부분 또한 그것은 지금까지 연구되어온 유가와 법가의 표면적인 부분일 것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나는 내 나름대로 타임캡슐을 타고 당시의 시대로 돌아가서 그들의 입장으로 생각해 보려고 노력하였다. 처음 교수님께서 이 과제를 주셨을 때 나는 우선 나에게 이런 질문을 던져보았다. 우리는 무엇 때문에 수세기 전의 사상을 현재까지도 분석하고 이해하려고 노력하는지에 대해서, 내가 내린 결론은 과거 사회는 많은 사상들을 통해 발전하고 또 변화되어졌다. 또한 사상이란 것은 당시 사회상을 반영하기 때문에 우리는 사상이라는 매개체 통해서 당시의 사회상을 통찰해보고 그것을 거울삼아 장단점을 흡수걸러냄으로써 더 나은 미래를 설계하고자 함이 아닐까!
유가사상과 법가사상을 비교해 보았을 때 ‘유가는 유가, 법가는 법가’라고 무 자르듯 말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첫째는 두 사상이 근접한 시대를 두고 형성발전하였기 때문이고 둘째는 순자는 유가학자 이면서도 법가의 패도를 일부는 인정하였고 한비 또한 유가학자인 순자의 제자로 유가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는 확실하게 주장할 수 는 없기 때문이다. 나는 개인적으로 왕도를 기본으로 패도를 첨가한 순자의 사상에 손을 들어주고 싶다. 어떠한 한 사회를 仁義나 道德만으로는 사회의 질서를 유지할 수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물론 인의나 도덕으로 사회의 질서가 유지되는 사회라면 그 사회는 우리가 말하는 이상사회일 것이나, 오늘날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사회는 이상사회와는 괴리를 보이는 것이 사실이다. 현재사회는 친목으로 다져진 집단, 이익을 추구하는 집단뿐 아니라 각양각색의 집단들의 이해가 상충하는 상황 속에서 양보와 인정도 요구되지만, 부정의의 시정과 정당한 분배가 요청되는 것 또한 사실이다. 또한 사람들은 누가 보아도 객관적인 기준에 수긍하기 마련인데 인의나 도덕이라는 것은 다분히 주관적인 것으로 서로의 이해가 상충할 때 문제해결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때문에 모든 사람이 수긍할 수 있는 객관적인 기준을 마련하여 문제 해결 방법을 모색해야하며 물론 그 객관적인 기준이란 것은 모든 상황에 있어 만인에게 평등해야 하며 또 유가사상에서 표방한 인의에 바탕을 두어야 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이것이 내가 이 레포트를 통해서 내리게 된 결론이다.
참고문헌
1. 중국 고대철학의 이해 / 지식산업사 / 이강수/ 2000. 9. 9
2. 유가사상의 사회철학적 재조명 / 고려대학교 / 이승환 / 1998. 9. 30
3. 중국 사상이란 무엇인가 / 학고재 / 하치야 구니오 / 1999. 10. 10

키워드

유가,   법가,   사상,   한비자,   공자,   맹자,   순자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08.08
  • 저작시기2004.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27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