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 재조합 식물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전자 재조합 식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유전자 재조합 식품의 개발 배경
2. 유전자 재조합 식품의 개발 현황
3. 형질 전환 농작물의 개발 및 이용 현황
4. 유전자 재조합 식품의 안정성과 각국의 대처방안
5. 국내 유전자 재조합 식품
6. 유전자 재조합 식품의 개발 목적과 종래 품종 개량과의 비교
7. 주요 수출국의 유전자 재조합 농작물 재배 현황
8. 유전자 재조합 식품의 문제점
9. 유전자 재조합 식품의 안정성 평가 방법
10. 유전자 재조합 식품의 표시 문제 및 분석 방법
11. 유전자 재조합 식품과 관련된 국제 기구 동향
12.유전자 재조합 기술에 의한 형질전환 식물체 개발
13. 조직 배양 기술에 의한 유용 식물체의 생산
14. 세포 배양 기술에 의한 유용 물질의 대량 생산
15. 한국의 식물 DNA 은행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공간 내에 보관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들 DNA 추출을 back-up 할 수 있는 잎 조직(기생식물, 잎이 없는 식물의 경우 전체)을 확보하여 동시에 보관한다고 한다.
이렇게 보관하면 종자은행에 비해 보존기간이 길고, 극히 작은 보존공간이 요구되며, 발아 및 생육 단계 없이 곧 실험에 이용될 수 있고, 무성 생식하는 식물들에도 똑같이 적용이 된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DNA은행은 한국 내에 자생 또는 도입된 모든 종류를 대상으로 하므로 6,000여 종류가 일차 수집 대상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들 자생종 중 많은 수는 북한 지방에만 자생하는 것들이 있어서 북한 종의 DNA확보를 위하여 북한을 방문해서 채집할 계획이며 현재 통일부의 허가를 받은 상태라고 한다. 그래서 북한의 식물학자들과 활발히 접촉 중에 있으며 일차 채집 대상지역은 북한을 포함한 전국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고 한다.
한편, 현재 은행에서 보유하고 있는 DNA accessions는 다음과 같다.
■ 한국의 식물은행 보유 DNA accessions
·oleacese(올리브과) : 개나리속, 라일락속, 미선나무속, 물푸레나무속, 목서속, 쟈스민속, 올리브속 등 21속 300종 1,200 accessions.
·Asteracese(국화과) : 국화과 전체내의 속들을 대표하는 200여 속 500여 종
·Pedaliacease(참깨과) : 참깨 속 20종 600 accessions.
·Pteridophytes(양치류) : 솔잎난, 속해류, 석송류, 양치류를 포함한 30여 종
·Gymnosperms(나자식물류) : 소철류, 은행, 구과류, 마황류를 포함한 50여 종
·Magnoliidae(목련아강) : 100종
·Rosidae(장미아강) : 150종
·Dilleniidae(작약아강) : 30종
·Caryophyllidae(석죽아강) : 80종
·Hamamelidae(히어리아강) : 50종
·Other Asteridae(국화아강) : 200종
·Monocots(단자엽식물) : 120종
분자생물학, 유전학 실험에서는 실험재료로 이용되는 몇몇 종의 genomic DNA를 추출, 보관하여 오고 있으나 DNA 은행에서는 한국에 자생 또는 도입된 모든 종, 그리고 외국산이라 하더라도 자원 가치가 높은 것들을 대부분 포함하기 때문에 분자계통학자들이 주요 이용자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이와 관계가 있는 식물 유전학, 유전공학, 원예학, 작물학, 보존생물학, 분자생태학, 분자생물학 분야에서도 널리 활용될 전망인데 그 파급효과는 실로 대단할 것이라고 김 교수는 말했다.
Ⅲ. 결 론
21세기는 세계적으로 식량의 절대량이 부족하게 되고 식량 무기화가 충분히 예측되고 있다. 식량자급률이 30%도 되지 못하는 우리는 미국 등에서 개발되고 있는 GMP를 식량으로 수입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그리고 우리 나라 종묘시장의 70%를 차지한 종묘회사(흥농, 중앙, 서울종묘 등)가 최근 다국적 외국기업에 의해 매수되어, 농업의 근간인 종자산업마저 식민지화가 우려되며 우리 농업의 장래가 매우 불투명한 상황이다. 또한 통일이후의 남북한 7천만 인구의 식량안보 문제는 정치, 경제를 비롯한 사회전반의 안정을 위해 가장 중요한 현안문제로 등장하게 될 것이 확실시된다. 한편, 식물은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고정하고 인간에게 유익한 각종 유용자원(식량, 의약품, 공업 및 화학원료 등)을 제공하고 있는 지구상에 가장 이상적이고 효율적인 화학공장이다(plants as plants). 그러나 지금 이 식물공장이 지구온난화, 오존층파괴, 산성비, 삼림파괴, 사막화 등 지구적 규모의 환경문제에 의해 위기에 처해있다. 이러한 위기에 처한 식물을 보전하는 일은 우리 인류가 해결하여야 할 최우선 과제라 생각된다. 이러한 모든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은 독자적인 식물생명공학의 원천기술 확보라 하겠다. 식물생명공학에 대한 정책입안자의 책임성 있는 정책결정과 과감하고도 지속적인 투자가 요구되며, 관련 연구자들의 사명감 있는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는 때이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향후 중점적으로 추진하여야 할 연구개발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재조합 DNA기술을 이용한 품종기술 개발에는 우리 특성에 맞는 식물을 대상으로 고부가가치의 형질전환 식물체를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유용소재를 형질전환 식물체로부터 염가로 생산하는 각종 식물생체반응기 개발을 위한 유용소재의 생합성 및 대사연구, 해당 유전자의 분리 및 유전자의 발현시스템 등을 독자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동시에 형질전환 식물체의 환경위해성 문제와 식품으로서의 안전성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도 개발되어야 하겠다. 둘째, 조직배양에 의한 종묘생산기술은 고부가가치의 화훼류, 약용식물을 중심으로 식물체 재분화기술, 생물배양기를 이용한 대량번식기술, 자동화 종묘생산 기술의 확립을 위한 연구가 시급히 요구된다. 21세기는 농산물을 공산물처럼 자동화/기계화 시스템으로 생산하는 시대가 될 것이 확실시되기 때문에 탱크배양에 필요한 기술개발이 요구된다. 셋째, 세포배양에 의한 유용물질의 생산기술은 우수한 세포주의 개발은 물론 대량배양, 유용물질의 대량분리 정제 및 상품화기술 개발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 물질생산을 위한 식물세포의 탱크배양기술은 궁극적으로 종묘생산에도 응용될 수 있다. 형질전환기술을 이용한 식물배양세포로부터 유용물질을 대량생산하는 기술개발도 요구된다. 넷째, 식물환경생명공학은 21세기 환경문제해결에 필수적으로 생각되기 때문에, 환경스트레스 내성식물과 식물을 이용한 환경정화시스템(phytoremediation)에 필요한 원천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Ⅳ. 참고문헌
☞ http://www.nexgenbiotech.com/news/m-5.24.htm
☞ http://biozine.kribb.re.kr/
☞ 비젼과 토픽l :유전자 재조합 식품 2000년 1월호
☞ 비젼과 토픽Ⅰ : 유전자재조합식품 2000년 5월호
☞ 비젼과 토픽Ⅰ : 식물생명 1999년 8월호
☞ R&D 동향 2000. 3월호
☞ 과학재단 소식지 1999년 7월호 (통권162호)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4.08.16
  • 저작시기2004.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34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