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유교사상의 전개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선진시대

2. 한당대

3. 송대

4. 원명대

5. 청대

6. 근현대

본문내용

다는 변법사상(變法思想)이 대두하게 되었는데, 그러한 입장을 대변하였던 인물이 강유위(康有爲)였다. 그는 공자개제설(孔子改制說)을 통해 공자를 종교적 숭배의 대상으로 설정하고 공교(孔敎)를 국가의 통일적 종교로 만들자는 개혁을 정당화하려고 하였다. 그의 이상사회는 대동세계(大同世界)였는데, 그것은 국경과 계급, 종족, 남녀 구별의 철폐와 가족제도 폐지 등의 내용을 담고 있는 것이었다. 담사동(譚嗣同) 역시 강유위와 함께 변법운동을 주도하였으나 무술정변(戊戌政變)을 통해 일찍 처형되었다. 이외에도 양계초(梁啓超)·엄복(嚴復) 등이 청말의 계몽운동가로 활약하였다.
근현대
아편전쟁(1840∼1842) 이후 중국은 이전에 겪어보지 못한 공전의 위기를 당하였다. 이 시기에 유입된 서양사상은 중국 사회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1860년의 북경조약 이후 1860년대가 되면 개명적 관료 지식인 사이에서 서양에 대한 관심은 크게 고조되었는데, 증국번(曾國藩)·이홍장(李鴻章)을 중심으로 하는 양무운동(洋務運動)은 그 관심의 집중적 표현이었다. 그들은 동요하는 중국을 재건하고 부강하게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군비를 충실히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고 서양의 과학기술을 도입하여 근대적 군사공업을 육성하는 데 힘썼다. 양무운동은 '중학(中學)을 체(體)로 하고 서학을 용(用)으로 한다'는 기치를 내걸고 있었는데, 여기서 중학은 중국의 전통적 학문, 특히 도덕을 가리키는 것이었다.
그러나 청불전쟁(1884∼1885)과 청일전쟁91894∼1895)에서의 군사적 패배는 양무운동의 실패를 실증하는 것이었으며, 이에 대한 비판으로 중국의 부강을 위해서는 그 서양의 정치제도를 도입해서 국정을 개혁해야 한다고 하는 변법론(變法論)이 대두하게 된다. 강유위(康有爲)·담사동(譚嗣同)·양계초(梁啓超) 등은 정치개혁운동인 이른바 변법운동(變法運動)을 추진하였다. 무술정변(戊戌政變;1898)부터 신해혁명(1911)까지의 10여 년간에는 엄복(嚴復)·왕국유(王國維) 등에 의해 서양사상의 유입이 급속도로 진전되는데, 이 시기에는 많은 지식인들에 의해 혁명사상이 고취되었으며, 채원배(蔡元培)·장병린(章炳麟) 등이 대표적 인물이다. 1912년 중화민국의 탄생은 중국에서 왕조정치에 종지부를 찍고 민주공화국을 수립한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이 민국 혁명은 실질상 실패로 끝나고 말았는데, 이 때문에 중국의 지식인들은 심한 좌절감을 겪게 되었다. 이러한 좌절감 속에서 중국 사상에 진정으로 새로운 전기를 초래한 5·4 신문화운동이 일어나게 된다. 이는 중국의 낡은 전통사상과 구래의 정치사회 체제의 굴레를 철저히 부정하려는 심정에서 출발한 것이었는데, 이때에는 신구사상의 격렬한 대립·논쟁이 나타나게 된다. 여기서 전통사상 비판의 핵심은 유교에 대한 비판이었다. 이는 전례가 없는 격렬한 것이었으며, 서양의 근대사상·전통사상 중의 반유교적 입장·공자(孔子)를 유가에서 분리시키는 입장 등 여러 입장에서 전개되었다. 그러나 한편으로 지나친 급진화의 경향으로 인해 그와 대립하여 전통사상에 관심을 기울이게 되는 또 다른 경향이 생겨나게 된다. 1923년 장군매(張君)의 강연을 계기로 인생관 논쟁이라 불리는 논쟁이 일어나게 되고, 이어 동서문화논쟁(東西文化論爭)이 벌어지게 된다.
서구의 물질문명에 대한 환멸감이 동양의 정신에 대한 기대를 불러일으키고, 이로부터 인생관 논쟁과 병행하여 동서문화에 대한 논의를 불러일으켰던 것이다. 양계초는 유럽 여행에서 돌아온 뒤 서양문명의 물질 편중과 과학지상주의는 세계대전이 증명하는 것처럼 파산하였으며, 이 파산에서 인류를 구제할 수 있는 것은 인간의 정신이나 혼을 중시하는 동양문명이라고 주장하였다. 양수명(梁溟)은 유교와 서구철학에 관심을 갖고 서구의 폐단을 구원할 수 있는 것은 민족을 알며 조화를 존중하는 중국문화 혹은 욕망을 부정하고 정신을 중시하는 인도문화라고 주장하였다. 5·4신문화 운동 이후 이러한 논쟁을 거치면서 유교적 입장에서 하나의 범주로 묶을 수 있는 조류가 생겨나게 되는데, 흔히 현대신유가(現代新儒家)라고 하는 것이 그것이다. 이와 관련해서 하린(賀麟)은 유가사상의 새로운 전개 속에서 현대와 고대의 융합, 가장 새로운 것과 가장 오랜 것의 통일을 이룰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면서 신문화운동의 최대 공헌은 유가의 경화된 부분의 말단적인 형식과 개성을 속박하는 전통의 썩은 부분을 파괴하고 씻어냈다는 데 있다고 정의하였다.
이들에 대한 일반적 이해는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첫째, 시기적으로 5·4 이후의 격렬한 반전통 조류에 대응해서 등장한 것으로 중국의 현대철학사에서 마르크스주의 이외에 유일하게 주목받을 만한 사상유파라는 것이다. 둘째, 현대신유가는 전통 유교, 특히 송명리학(宋明理學)을 중심으로 서구의 근대사상을 수용함으로써 유교의 현대화에 노력하였다는 것이다. 셋째, 현대신유가는 인생 문제를 주된 주제로 삼았으며, 철학은 형이상학에 대한 탐구라고 여겼다는 것이다. 넷째, 현대신유가는 유교의 보편적 가치를 선양함으로써 중국문화의 부흥에 힘썼다는 것이다. 이들은 대체로 4세대로 구분되는데, 제1대로는 양수명·장군매·웅십력(熊十力), 제2대로는 풍우란(馮友蘭)·하린·전목(錢穆), 제3대로는 모종삼(牟宗三)·당군의(唐君毅)·서복관(徐復觀), 제4대로는 두유명(杜維明)·유술선(劉述先)·채인후(蔡仁厚) 등을 든다.
제1대의 인물들은 동서문화의 대립·차이를 강조한 반면, 제2대의 인물들은 동서문화의 같음에 주의를 기울여 동서 문화·철학의 결합점을 찾는 데 주의를 기울였다는 점에서 구분될 수 있다. 제3대의 인물들은 서양의 철학·문화에 대한 이해가 앞 세대보다 뛰어나며, 분명하게 반본개신(返本改新)이라는 사상강령을 주장하고 개출신외왕(開出新外王)을 자신들의 중요한 이론적 임무로 삼았다. 제4대의 인물들이 갖는 차별성은 신유가의 이론을 5·4 이후 근대화·현대화를 추구한 경험적 교훈에 대한 총괄적인 결론을 결합시키는 데 주의를 기울이고 있으며, 현실감이 앞 세대보다 더욱 풍부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들 현대신유가의 주장과 이해는 현대사회에서 유교를 이해하는 하나의 전형을 구축하였다.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4.09.30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89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