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ysosome의 최근 동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Lysosome의 최근 동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파브리병(Fabry disease) & 최근 연구
1. 파브리병이란?
2. 원인과 유전양상
4. 진단
5. 치료법
6. 최근 연구
7. 관련 사이트

고셔 병 (Gaucher Disease)

본문내용

효소를 발현시키는 유전자를 삽입하는 유전자 치료법을 개발하는데 있다.
연구진이 시도한 동물 실험 결과는 매우 성공적이어서 유전자 삽입을 통해 베타-글루쿠로니다제 결핍에 따른 증상들이 정상 상태로 회복되는 것이 확인됐다.
그러나 실험에 사용한 쥐들 가운데 생후 18개월간 생존해 있던 쥐들을 검사하는 과정에서 다섯 마리의 쥐 가운데 세 마리에서 간암이 발생한 사실이 발견됐다.
연구진은 생후 8개월에서 18개월 사이에 자연사했거나 일부러 죽인 쥐들에 대한 추가 검사를 시도했는데, 이를 통해 또 다른 세 마리의 쥐에서 종양이 발생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에 반해 유전자를 삽입하지 않았던 다른 여덟 마리의 쥐 가운데는 암 발생이 단 한 건도 없었다.
그렇다면 삽입한 유전자로 인해 종양이 발달한 것일까? 그럴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것이 연구진의 설명이다. 아데노-관련 바이러스를 사용하지 않고 다른 방식으로 베타-글루쿠로니다제 결핍 치료를 시도한 경우에서는 종양 발생이 없었기 때문이다. 다만 이번 연구의 애초 목적이 베타-글루쿠로니다제 결핍증에 대한 유전자 치료법 개발에 있었고 실험 설계 또한 이에 맞게 세워졌기 때문에 아데노-관련 바이러스의 종양 유발에 대한 연구는 더 이상 진행되지 못했다.
연구진은 실험에 사용한 종양 발생의 원인으로 크게 여섯 가지 가설을 제시했다. 제시된 가설은 크게 아데노-관련 바이러스에 무게를 둔 경우와 베타-글루쿠로니다제에 무게를 둔 경우로 구분된다. 어느 경우의 가설이 맞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보강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 (ironlee@cjdream.net)
다농 병 원인 마침내 밝혀져, 유전자 치료 가능성 제시 - 美 연구
2000. 08. 30. 생명과학 / 야후뉴스
LAMP-2라 불리는 단백질 부족이 다농 병의 근본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다농 병은 보통 심장 질환, 정신 지체, 근육 약화 등의 증상을 보이는 치명적 질환으로만 알려져 있으며, 환자들은 대부분 약 30세 전후에 심부정맥이나 심부전으로 사망한다.
독일 괴팅엔 대학의 파울 사프티히 박사팀은 실험용 쥐에 LAMP2 단백질이 결핍되게 하여 사육했다.
LAMP-2 단백질은 세포의 "쓰레기 압축기"로서 오래된 단백질 및 외부 침입 물질 등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리소좀의 주요 성분이다.
사프티히 박사팀은 실험한 쥐의 50%가 생후 20-40일째 조기 사망했으며 이들 쥐의 심장 기능이 크게 줄었다는 것을 발견했다.
한편 뉴욕 컬럼비아 대학의 니시노 이시조 박사팀은 다농병 환자 11명을 조사한 결과 10명이 LAMP-2를 만드는 유전자에 변이가 일어난 것을 발견했다.
두 연구진은 이번 연구 결과가 LAMP-2 결핍이 다농 병과 연관이 있을 가능성을 제시하고 다농 병에 대한 유전자 치료 가능성을 열어 놓았다고 결론졌다.
실험실에서 개발된 meganeurites로 인한 뇌 연구의 발달
[출처 : http://www.unisci.com : 1997년 07월 31일]
Meganeurites(뉴런의 부푼 인접 엑손으로 리소좀(lysosome)들로 차 있음)는 나이든 사람의 뇌에서 보이는 가장 큰 특징이다. 이제는 이 물질을 실험실에서도 만들수 있게 되었다. UC Irvine 대학의 연구팀은 이 물질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를 밝혀냈고, 뇌 세포의 노화과정을 가속하여 1달 정도 된 뉴런을 70살 정도 된 뇌의 뉴런처럼 보이게 하는 데도 성공했다.
이 발견은 어째서 시간이 지나면 뇌가 노화되는지를 밝히는 한 가지 단서가 될 것으로 보이며, 이는 기억상실이나 신경쇠약을 치료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궁극적인 목표는 뇌의 노화를 막는 것이다. 이들은 2주 이하의 쥐에서 얻은 조직 표본을 이용한 뇌의 해마상 융기(hippocampus) 부분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었다. 이 표본을 조직 배양해 6일 동안 계속 세포의 활동을 억제하는 ZPAD라는 화학물질에 노출시켰다. 그 후 7일 동안은 ZAPD를 가하지 않고 조직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했다. 그 결과, meganeurites가 발견되었다.
ZAPD는 N-CBZ-L-phenylalanyl-L-alanine-diazomethylketone의 약자로서, 두 가지의 리소좀 효소나 cathepsin B와 cathepsin L로 알려진 단백질 분해효소의 억제제이다. UCI의 Charles Ribak에 따르면, 이 두 가지 cathepsins를 억제하면 노화된 뇌에서 관찰되는 것처럼 cathepsin D가 증가한다고 한다. 이들은 처음으로 리소좀의 증가, 리소좀이 해마상 융기의 CA1 뉴런의 기저 부분에 모이는 현상, meganeurites에 리소좀이 축적되어 이 리소좀들이 압밀화되어 커다란 덩어리를 형성하는 것 등, 뉴런들의 형태학적 변화들에 미치는 영향을 발견했다.
Ribak 박사에 따르면, meganeurites로 인해 엑손이 퇴화되어 신경세포간에 자극이 전달되는 현상이 방해받을 수 있다고 한다. 또한 meganeurites는 정상적인 노인들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드물지만 아주 비참한 neuronal lipofuscinosis(노화가 빨리 일어남)를 앓는 어린이의 뇌세포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이러한 어린이는 죽기 전에 거의 나이든 어른과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이 연구의 중요한 사항은 meganeurites를 만들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다. 이제 이 물질이 어떻게 형성되는지 알 수 있게 될 것이고, 그러면 이를 막을 수 있는 약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 (yhs)
뉴런 : 신경계의 구조적?기능적 단위. 신경 세포와 거기서 나오는 돌기를 합친 것으로,
자극을 수용하고 전달하는 기능이 있다. 신경 단위?신경원.
엑손 : 구조 유전자의 염기(鹽基) 배열 가운데 단백질 합성의 정보를 가진 부분. 최종적
으로 엠아르엔에이(M-RNA)로서 해독될 수 있는 디엔에이(DNA)의 부분으로, 진핵 생물의 유전 정보는 정보를 가지지 않은 염기의 배열에 의하여 디엔에이 가운데에서 분단(分斷)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에 정보를 가지고 있는 부분을 이른다.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4.10.11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01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