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전춘별사>에 관하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만전춘별사>에 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르는 의미가 담겨있다. 곧 사향각시는 그냥 화자인 궁녀가 늘 품에 넣고 다니는 향료주머니가 아닐까 한다. (이계양, 396)
노래기1 동물 노래기강의 절지동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몸의 길이는 3~28mm로, 몸은 원통형으로 길며, 등은 붉은 갈색에 한 마디에 두 짝의 짧은 발이 있다. 건드리면 둥글게 말리고 고약한 노린내를 풍기며, 햇볕을 싫어하고 주로 습기 가 많은 낙엽 밑이나, 초가지붕에 많이 산다. 마륙.마현.망나니③.백족충.장지네.향랑각시.환충01(環蟲).
사향5(麝香)[사 -] 한의학 사향노루의 사향샘을 건조하여 얻는 향료. 어두운 갈색 가루로 향기가 매우 강하다. 강심 제, 각성제 따위에 약재로 쓴다. 머스크③.
④ 향랑은 잡귀가 접근하는 것을 막아주는 "액막이"이다.
) 허남춘
<약든 가싶>
① 사향이 든 가슴
) 박병채
② 상사병을 고치는 약
) 양주동, '외로움을 달랠 수 있는 역할을 하는 약'이라고 해석한 최철 박재민의 견해도 여기에 넣을 수 있다
③ 님의 가슴
) 이계양 - 임의 가슴은 내 병을 나아줄 가슴이기에 약든 가슴이라고 표현했다. (이계양 397) 그런데, 이 해석은 양주동의 '상상병을 고치는 약'과도 비슷한 해석인 것 같다.
Ⅲ. 결론
<만전춘별사>를 알기 위해 스무편 가량의 논문을 보았다. 그러나 너무 급한 시간 안에 보았기 때문에 수박 겉핥기식의 읽기가 아니었나 싶다.
<만전춘별사>에 관한 여러 가지 논문을 읽으면서 흐릿했던 윤곽들이 점차 뚜렷해짐을 알 수 있었다. 나는 이 작품에 관한 해설들을 읽으면서, 예술은 인간이 만들어낸 것이므로 인간의 사상과 감정이 투입되고 그 사상과 감정이 만들어지게 된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배경이 존재할 것이다. 우리는 이런 예술들은 현재 우리의 삶과 과거와 다시 손잡을 수 있게 다리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예술은 현실과 등뼈가 하나뿐인 쌍둥이와 같다고 생각한다. 초현실적이고 비현실적인 내용의 예술이라고 하더라도 그것은 현실을 인식하고 있다는 증거에 지나지 않다. 그래서 이 노래를 해석하는 다양한 방법 중에서도 사회역사적 관점에서 해석하고 있는 논문들이 설득력이 있게 느껴졌다. 그리고 두 번째는 인간의 사랑은 정신적 사랑이 소중하고 높은 경지에 도달한 것이고, 육체적 사람은 본능적이고 일시적인 쾌락에 지나지 않는 다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다. 사랑은 정신적인 것과 육체적인 것을 가를 수 없다. 이 두 가지 모습이 하나가 될 때 아름다운 사랑이 될 수 있는 것이다.
한 가지 텍스트를 놓고 논자들마다 어떻게 자신들의 견해를 피력해 나가고 설득력 있게 근거를 제시하는가를 보면서, 아전인수격의 해석이라는 느낌도 받았지만, 이렇게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 열린 문학으로서의 <만전춘별사>가 더욱 더 매력적으로 느껴지고 나도 미숙하나마 한 가지 기준을 중심으로 나의 학설을 만들 수도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며 보고서를 마치고자 한다.
참 고 서 적
어석연구
1. 김명준 편저, 고려 속요 집성, 고려출판 다운샘, 2002
2. 박병채, 고려가요의 어석연구, 국학자료원, 1994
3. 임주택, 역사적 생성 문맥을 고려한 <만전춘별사>의 독법과 해석, 부산대학교 논문, 2001
4. 박노준, 옛사람 옛노래, 해학사, 2003
5. 임기중, 고려가요의 문학 사회학, 경운출판사, 1993
6. 김쾌덕, 고려노래 속가의 사회배경적 연구, 국학자료원,2001
연구사와 연구쟁점
1. 조윤제, 국문학사 , 1949
2. 김동욱, 국문학개론 , 태학사, 1955
3. 최정여, <고려의 속악가사논고>, 청주대논문집, 제4집, 1963.
4. 여증동, <만전춘별사 가극적 시고>, 논문집, 진주교육대학교, 1967
5. 여증동, <만전춘별사연구>, 어문학33집, 한국어문학회, 1975
6. 성현경, <만전춘 별사의 구조>, 고려시대의 언어와 문학 , 한국어문학회, 1975
7. 정병욱.이어령, 고전의 바다 ,현암사, 1977
8. 최정여, <고려의 속요가사 론고>, 고려가요 연구, 정음사, 1979,
9. 이임수, 여요 <만전춘>의 문학적 복원, 문학과 언어제2집, 문학과 언어학회, 1981
10. 곽동훈, <만전춘별사의 구조연구>, 배달말, 배달말학회, 1982
11. 전규태, <만전춘별사고>, 고려시대의 가요문학 , 새문사, 1982
12. 박병채,<고려가요의 연구>, 이우출판사, 1982,
13. 김재수, <만전춘별사>의 문학적 우수성, 논문집, 광주교육대학, 1982
14. 박진태, <만전춘별사>와 <정석가>의 구조, 인문과학연구, 대구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2. 1983. 12. 30
15. 현혜경 <만전춘별사에 나타난 화합과 단절>, 고려시가의 정서, 개문사, 1985
16. 오정란, <만전춘 해석의 재고>, 어문론집26, 고려대 국어국문학연구회, 1986. 3
17. 박노준, <만전춘별사>의 제명과 작품의 구조적 이해문학한글제1회, 한글학회, 1987
18. 이성주, <사회학적으로 본 만전춘별사>, 세종어문학, 백사전광용박사고희기념논총, 1989. 5
19. 성현경, <만전춘별사>재론, 한국고전시가 작품론1, 집문당, 1992
20. 허남춘, <궁중악과 송도>, 성대문학,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2
21. 장영우, <만전춘별사의 일탈과 허위 의식>, 고려가요의 문학사회학, 임기중 엮음, 경운출판사, 1993
22. 조동일, <한국문학통사2>, 지식산업사, 1994
23. 강명혜, <만전춘별사연구Ⅱ>, 어문연구 89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1996
24. 백완, <만전춘별사>의 작자(층)고-조선조 '기녀시조'와의 연계성을 토대로-, 건국어문학, 건국대국어국문학 연구회, 1997
25. 이계양, <만전춘 연구>, 고시가 연구, 남경박준규박사 정년기념 특집호, 학국시가문학회, 1998
26. 조기봉, <만전춘별사>의 문학 사회학적 고찰, 어문연구회, 어문연구학회, 1999
27. 이정택, <만전춘별사에 관한 어문학적 연구>-내용적 일관성을 중심으로, 인문논총, 서울여자대하교인문과학연 구소, 2000
28. 임주탁, <역사적 생성 문맥을 고려한 만전춘별사의 독법과 해석>, 한국시가 연구, 한국시가학회, 2002
  • 가격3,000
  • 페이지수39페이지
  • 등록일2004.11.22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09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