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97년도 언어영역 기출문제 분석입니다.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능97년도 언어영역 기출문제 분석입니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이별가(박목월)

▲즐거운 편지(황동규)

▲김약국의 딸들(박경리)

▲제 망매가(월명사)

▲어우야담(유몽인)

▲자장면(정진권)

▲웃음의철학(이희승)

▲토지(박경리)

▲관동별곡(정철)

본문내용

)
* 주제 : 한 집안의 욕망(慾望)과 운명(運命)에 의한 비극적 몰락
* 출전 : 1962년 을유문화사 단행본 발간, 1993년 재간행
④ 토지 [土地] -박경리
본문
박경리(朴景利)의 장편 대하소설. 1969년 집필을 시작, 94년까지 제 5 부작 총 16권으로 완성되었다. 내용은 최씨 일가 3대에 걸친 가족사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제 1 대는 하동(河東) 평사리의 대지주 가문인 최참판댁 <윤씨부인>을 중심으로 조선말 사회적 전환기에 몰락하는 집안의 모습이 가문의 출생비밀과 얽혀 전개된다. 제 2 대는 윤씨부인의 손녀 <서희>를 중심으로 국권피탈 이후 간도(間島)에 이주하여 재산을 되찾고 가문을 일으키려는 그녀의 노력과 당시 간도의 독립운동·한인사회의 모습이 최씨 일가를 중심으로 폭넓게 묘사되고 있다. 제 3 대는 서희의 아들세대인 식민지 지식인층이며 3·1운동 이후 식민지화와 자본주의화가 함께 진행되는 서울 등의 도시에서 그들이 겪는 개인적·역사적 삶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이 작품은 조선말에서 일제강점기에 이르기까지 큰 변혁기의 한국 근대사 속에서 다양한 인물들이 겪는 운명과 고난, 민족의 한(恨), 역사의 상관성을 깊이있게 부각시켜 1970년대 이후 한국의 대표적 장편 대하소설로 꼽히고 있다.
⑤ 제망매가(祭亡妹歌) -월명사(月明師)
(위에꺼랑 순서가 바뀌었네..벌써 새벽 5시당.....^^ )
* 제망매가 배경설화 원문
明又嘗爲亡妹營齋 作鄕歌祭之 忽有驚風吹紙錢 飛擧向西而沒
명우상위망매영재 작향가제지 홀유경풍취지전 비거향서이몰
---출전 : [삼국유사] 권 5 감통(感通), '월명사 도솔가(月明師 兜率歌)'
* 월명사 : 신라 경덕왕 때 경주 사천왕사에 속해 있던 승려. 피리를 잘 불었다함. 일찍이 달 밝은 밤에 문 앞 큰 길에서 피리를 불자 달이 가기를 멈춤. 그리하여 그 마을을 월명리라 하고, 이름도 월명이라 함. 향가를 잘 지었으며, 제망매가 외에 4구체의 '도솔가'를 남김.
* 짜임
. 제 1구 - 제 4구 : 누이의 죽음 (죽음에의 공포, 비애)
. 제 5구 - 제 8구 : 혈육간의 이별 (삶의 고뇌)
. 제 9구 - 제10구 : 종교적 승화, 초극
* 주제 : 죽은 누이에 대한 명복을 빎
⑥ 어우야담 -유몽인
요약
조선 광해군 때 어우당(於于堂) 유몽인(柳夢寅:1559∼1623)이 지은 한국 최초의 야담집(野談集).
본문
야사(野史)·항담(巷談)·가설(街說) 등이 수록되었는데, 흔히 민간에 유포된 음담패설이 아닌 풍자적인 설화와 기지 있는 야담들로서 조선 중기 설화문학의 좋은 자료이다. 왕실 귀인에서 상인·천민·기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인간의 삶과 시문에 얽힌 사연 꿈·귀신, 풍속·성에 관한 이야기를 생동감 있게 기록한 설화문학이다. 원본은 한문본(漢文本)이나, 후인의 손으로 번역되어 널리 퍼졌다.
어우는 유몽인의 호 어우당(於于堂)에서 온 것으로, 《장자(莊子)》 〈천지(天地)〉편의 "쓸데없는 소리로 뭇사람을 현혹시킨다(於于以蓋衆)"고 한 데서 인용하였다.
한문본은 5권 1책으로 되었는데, 내용은 권1은 인륜편으로 효열(孝烈)·충의·덕의(德義)·은둔·혼인·처첩·기상(氣相)·붕우·노비·배우(俳優)·창기(娼妓), 권2는 종교편으로 선도(仙道)·승려·서교(西敎)·무격(巫覡)·몽(夢)·영혼·귀신·속기(俗忌)·풍수·천명, 권3은 학예편으로 문예·식감(識鑑)·의식(衣食)·교양·음악·사어(射御)·서화·의약·기예·점후(占候)·복서(卜筮)·박혁(博奕), 권4는 사회편으로 과거(科擧)·구관(求官)·부귀·치부·내구(耐久)·음덕·붕당(朋黨)·무망(誣罔)·고풍(古風)·외임(外任)·용력(勇力)·처사(處事)·구변(口辯)·오기(傲忌)·교학(驕虐)·욕심·재앙·생활고·도적·해학(諧謔), 권5는 만물편으로 천지 ·초목·인류·금수(禽獸)·인개(鱗介)·고물(古物)로 각각 분류·수록하였다. 책머리에 저자의 초상과 필적 및 서문과 연보를 실었다. 1964년에 종후손 제한(濟漢)이 발문(跋文)을 붙여 활자본으로 간행하였다.
⑦ 짜장면 -정진권(97수능출제)
▶주제 : 자장면에 배어 있는 여유 있는 삶
누구에게나 향수가 있다. 어린 날 해가 지는 줄 모르고 동네의 골목길을 누비던 기억, 어머니가 부르는 소리에 이끌려 쓰윽 흙묻은 손을 엉덩이에 씻으며, 어머니는 먼지를 쫓기 위함인지, 늦도록 놀기만 하는 아이를 나무라기 위함인지 엉덩이를 냅다 두들기시던 그 아련한 한 폭의 그림이 있다. 누구에게나, 그러나 그 이미지는 우리의 내면 깊숙이를 틀어 박혀 좀처럼 얼굴을 내밀지 않는다. 우리는 너무나 바쁜 일상 속에 묻혀 지내고 있으며, 늘 현실을 버팅겨 가기에도 힘에 겹기 때문이다. 그러나 불현 듯 그 옛날의 모습들은 우리 목전에 살아 나온다. 작가의 힘을 빌어, 아니 꼭 작가가 아니라도 진솔한 생활의 기록에서.
이 글은 짜장면에 얽힌 추억을 되새기고 있다. 파리가 날리는 허름한 집, 그 쫄깃쫄깃한 면발. 그러나 이제 그런 짜장면 집은 도시의 한 가운데에서는 찾기가 힘들어졌다. 사라져 가는 훈훈한 인정에 대한 아쉬움이 이렇게 이 글에서는 묘사되어 있다.
점점 거대해지는 사회 속에서 음식점 또한 예외가 아니며, 작자는 그 사라져 가는 편안함과 넉넉함이 그리운 것이다. 구체적인 대상을 통해 현재의 느낌을 군더더기 없이 묘사하고 있는 이 글을 통해 우리는 다시금 옛날의 가난했던, 그러나 마음은 넉넉했던 시절들을 떠올려 보는 것이다.
1. 사라져가는 옛날의 짜장면 집을 작가가 드러내고자 하 는 것은 무엇인가?
▶넉넉함과 편안함
2. 이 글에 나타나 있는 필자의 정서는 무엇인가?
▶아쉬움
⑧ 웃음의 철학 -이희승(97년수능)
▶주제 : 웃음이 우리에게 주는 긍정적 측면
▶특징 :
-웃음을 다양한 시각에서 고찰하고 있다.
-예리한 관찰과 비유적 표현이 나타나 있다.
-삶의 국면에 따라 웃음의 속성을 밝히고 있다.
-웃음의 의의를 삶과 연관지어 평가하고 있다.
웃음이 인간의 삶에 어떤 의미를 지니고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긍정적 시각으로 살피고 있는 글이다. 철학적이고 논리적인 접근은 아니지만, 다양한 시각을 통해 웃음이 우리들 삶에 활력소가 된다는 점을 여러 국면에서 확인하고 있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3,3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4.12.10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78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